목차
Ⅰ. 개요
Ⅱ. 전통민속놀이 사례1 독샘
1. 놀이방법
2. 놀이시 주의점
3. 보완규칙
Ⅲ. 전통민속놀이 사례2 깃대쓰러뜨리기놀이
1. 놀이인원
2. 준비물
3. 놀이장소
4. 놀이방법
Ⅳ. 전통민속놀이 사례3 보물찾기놀이
1. 준비물
2. 활동 장소
3. 방법
4. 승부 결정
Ⅴ. 전통민속놀이 사례4 쌀보리놀이
1. 놀이 소개
2. 놀이 규칙
Ⅵ. 전통민속놀이 사례5 성냥개비놀이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Ⅶ. 전통민속놀이 사례6 풀묻기
Ⅷ. 전통민속놀이 사례7 얼음땡놀이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참고문헌
Ⅱ. 전통민속놀이 사례1 독샘
1. 놀이방법
2. 놀이시 주의점
3. 보완규칙
Ⅲ. 전통민속놀이 사례2 깃대쓰러뜨리기놀이
1. 놀이인원
2. 준비물
3. 놀이장소
4. 놀이방법
Ⅳ. 전통민속놀이 사례3 보물찾기놀이
1. 준비물
2. 활동 장소
3. 방법
4. 승부 결정
Ⅴ. 전통민속놀이 사례4 쌀보리놀이
1. 놀이 소개
2. 놀이 규칙
Ⅵ. 전통민속놀이 사례5 성냥개비놀이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Ⅶ. 전통민속놀이 사례6 풀묻기
Ⅷ. 전통민속놀이 사례7 얼음땡놀이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손안에 주먹을 넣었다가 뺀다.
4) 이 때 \"쌀\"이라고 외칠 때 술래는 재빨리 이긴 사람의 손을 잡아야 술래가 바뀐다.
* 참고 : 이긴 사람은 놀이의 재미를 부여하기 위해 “보리”라고 외칠 때는 천천히 술래의 손 안에 주먹을 넣는다. 그리고 술래를 혼란하게 하기 위해서 “쌀-쌀-쌀- 보리”, “보리-보리 -쌀”등으로 같은 단어를 여러 번 외친 후에 다른 단어를 대면 놀이의 재미가 더 부여될 수 있다.
Ⅵ. 전통민속놀이 사례5 성냥개비놀이
1. 준비물
성냥개비
2. 방법 및 활동 내용
1) 순서를 정한 다음 차례로 성냥개비를 30-50개 정도 손에 쥐고 살짝 앞에 던진다.
2) 붙은 것은 놔두고 서로 떨어진 것은 옆으로 치운 다음 그 중 한 개비로 붙은 성냥개비를 차례차례 떼어 낸다. 떼어 낸 것은 자기가 갖는다.
3) 이때 다른 성냥개비가 움직이면 죽는다.
4) 이렇게 해서 많이 따낸 아이가 이긴다.
Ⅶ. 전통민속놀이 사례6 풀묻기
소년 소녀들 사이에 여름철에 흔히 하는 놀이이다. 모래를 한 말쯤 모아 놓고 그 속에 풀 끈으로 올가미를 만들어 감추고 나무꼬치로 모래 속에 있는 올가미를 꿰는 놀이이다. 꿰는 사람이 이기고, 못 꿰는 사람은 지게 된다. 아이들끼리 풀 묻기를 해서 내기를 하거나 내기 없이 오락으로 하는 수도 있다. 이 때에 풀은 땡이 넝쿨, 질겡이풀, 지랑풀 등을 사용한다.
Ⅷ. 전통민속놀이 사례7 얼음땡놀이
1. 준비물
없음
2. 놀이인원
5 - 20명 정도
3. 놀이방법
① 술래 1명을 정하고 나머지 인원들은 정해진 구역 내에서 도망다닌다.
② 술래의 손에 치이면 술래가 되며 술래가 치려 할 때 멈춰서며 “얼음”이라고 외치면 술래는 칠 수 없다. 그 사람은 움직일 수 없으며 다른 사람이 몸을 쳐주며 “땡”이라고 외쳐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③ 다른 사람이 “땡”을 해 주지 않으면 그 사람은 놀이가 끝날 때까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진항 - 전통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4
손종근 - 놀이 프로그램이 또래상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2005
이미영 - 놀이 활동을 통한 전래동요 지도안의 개발 및 적용, 건국대학교, 2008
이향은 -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목포대학교, 2005
편집부 - 우리 놀이 우리 문화, 토이트론, 2010
호원희 - 놀자 노세 전통놀이 이야기, 토토북, 2012
4) 이 때 \"쌀\"이라고 외칠 때 술래는 재빨리 이긴 사람의 손을 잡아야 술래가 바뀐다.
* 참고 : 이긴 사람은 놀이의 재미를 부여하기 위해 “보리”라고 외칠 때는 천천히 술래의 손 안에 주먹을 넣는다. 그리고 술래를 혼란하게 하기 위해서 “쌀-쌀-쌀- 보리”, “보리-보리 -쌀”등으로 같은 단어를 여러 번 외친 후에 다른 단어를 대면 놀이의 재미가 더 부여될 수 있다.
Ⅵ. 전통민속놀이 사례5 성냥개비놀이
1. 준비물
성냥개비
2. 방법 및 활동 내용
1) 순서를 정한 다음 차례로 성냥개비를 30-50개 정도 손에 쥐고 살짝 앞에 던진다.
2) 붙은 것은 놔두고 서로 떨어진 것은 옆으로 치운 다음 그 중 한 개비로 붙은 성냥개비를 차례차례 떼어 낸다. 떼어 낸 것은 자기가 갖는다.
3) 이때 다른 성냥개비가 움직이면 죽는다.
4) 이렇게 해서 많이 따낸 아이가 이긴다.
Ⅶ. 전통민속놀이 사례6 풀묻기
소년 소녀들 사이에 여름철에 흔히 하는 놀이이다. 모래를 한 말쯤 모아 놓고 그 속에 풀 끈으로 올가미를 만들어 감추고 나무꼬치로 모래 속에 있는 올가미를 꿰는 놀이이다. 꿰는 사람이 이기고, 못 꿰는 사람은 지게 된다. 아이들끼리 풀 묻기를 해서 내기를 하거나 내기 없이 오락으로 하는 수도 있다. 이 때에 풀은 땡이 넝쿨, 질겡이풀, 지랑풀 등을 사용한다.
Ⅷ. 전통민속놀이 사례7 얼음땡놀이
1. 준비물
없음
2. 놀이인원
5 - 20명 정도
3. 놀이방법
① 술래 1명을 정하고 나머지 인원들은 정해진 구역 내에서 도망다닌다.
② 술래의 손에 치이면 술래가 되며 술래가 치려 할 때 멈춰서며 “얼음”이라고 외치면 술래는 칠 수 없다. 그 사람은 움직일 수 없으며 다른 사람이 몸을 쳐주며 “땡”이라고 외쳐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③ 다른 사람이 “땡”을 해 주지 않으면 그 사람은 놀이가 끝날 때까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진항 - 전통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4
손종근 - 놀이 프로그램이 또래상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2005
이미영 - 놀이 활동을 통한 전래동요 지도안의 개발 및 적용, 건국대학교, 2008
이향은 -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목포대학교, 2005
편집부 - 우리 놀이 우리 문화, 토이트론, 2010
호원희 - 놀자 노세 전통놀이 이야기, 토토북, 2012
추천자료
- 민속놀이 교수학습 과정안
- 강강술래에 관한 고찰... (민속학, 놀이)
- 고대의 놀이
-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놀이 문화
- 한국 유아놀이문화의 현실과 해결
- 구비문학-민속극론(탈춤,인형극,발탈놀이)
- [민속예술]영남지역 탈놀이의 언어매체 분석 및 지역적 특성
- [꼭두각시놀음][박첨지놀이][꼭두각시놀음 기원론][박첨지놀이 유래]꼭두각시놀음의 기원론, ...
- 3)체육-여러 가지 민속 놀이하기(제기차기, 투호놀이)(중안)
-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의 축제적 재구성,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
- [고누놀이][고누놀이 정의][고누놀이 기원][고누놀이 종류][고누놀이 방법][고누놀이와 놀이]...
- [공기놀이][공기놀이 유래][공기놀이 종류][공기놀이 특징][공기놀이 준비물]공기놀이의 유래...
- [연희][거리굿 연희][마을굿 연희][민속극 연희][박첨지놀이 연희]거리굿의 연희, 마을굿의 ...
- 양주별산대놀이_양주별산대놀이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