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의 개념, 유형, 한일월드컵 공식후원업체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텔레비전(TV)채널, 불어상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의 개념, 유형, 한일월드컵 공식후원업체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텔레비전(TV)채널, 불어상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의 개념

Ⅲ.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의 유형

Ⅳ. 한일월드컵 공식후원업체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1. 2002 한일 월드컵대회 기간 전, 중, 후 광고효과 분석
1) 월드컵대회 기간 전의 브랜드 인지도 분석
2) 월드컵대회 기관 중의 브랜드 인지도 분석
3) 월드컵대회 기간 후의 브랜드 인지도 분석
2. 15개 분야별 광고 효과 분석

Ⅴ. 텔레비전(TV)채널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1. 조사 방법
2. 조사 결과

Ⅵ. 불어상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1. 설문 방법
1) 설문 대상
2) 설문 방법
2. 설문 내용
3. 설문 결과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 부동산TV, KBS코리아, 한경와우TV, KTV, EBS위성1,2, JEI스스로, HBO PLUS, SBS드라마플러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건강정보, 홈쇼핑, 애니메이션, 영화정보, 관광레저정보, 경제뉴스, 교육, 드라마, 성인 채널 등으로 내용상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경제뉴스전문 채널 MBN이나 공공 채널인 KTV, EBS위성1, 2 등을 제외하고는 The Disney Channel, CCTV4 등 국내 신규 진출한 해외 재송신 채널이거나, 농수산TV, SBS드라마 플러스, HBO PLUS, 농수산TV, KBS코리아처럼 2002년 전후로 개국한 채널들이 대부분으로 브랜드 역사가 짧다는 공통점이 있다. 재능스스로 방송에서 브랜드 네임을 변경한 JEI스스로 방송이나 바둑TV에서 브랜드 네임을 변경한 온바둑의 경우도 최근 브랜드 네임을 변경한 만큼 새로운 브랜드 네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규 런칭한 채널들인 만큼 위성방송에서만 독점 방송되는 채널이거나 일부 SO들에서만 방송되는 채널이 많다는 점도 이들의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설명해준다.
이상과 같이 국내 텔레비전 채널 브랜드의 재인도 대비 회상도를 좌표 상에 표시하여 얻어진 결과는 일반 소비재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점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지적한 바와 같이 대다수 소비재 제품군의 경우 5-6 개미만의 메이저 브랜드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텔레비전 채널의 경우 고려 대상 브랜드들이 그보다 훨씬 많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 텔레비전 채널들, 특히 케이블 및 위성 채널들의 경우 브랜드 역사가 최장 7년에서 짧게는 1년 미만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수 십 년의 브랜드 역사를 갖춘 지상파 3사에 견줄만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할 수 없었던 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대다수 텔레비전 채널 브랜드의 인지도 좌표가 매우 밀집되어 나타나 뚜렷이 구분되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Ⅵ. 불어상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인지, 상표인지도) 조사
상표와 상호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불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지도를 조사하여, 불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 설문 방법
본 설문의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설문 대상
(1) 본 설문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성별로 보면 남자가 35명, 여자가 65명이다.
(3) 연령대로 보면 20~30세가 7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41~50세가 10명, 31~40세가 7명 그리고 그 이상은 4명이었다.
(4) 학력별로 보면 대졸이 7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는 고졸 19명, 대학원 졸 이상이 11명이었다.
(5) 전체 응답자 중 불어를 학습한 적이 있는 응답자는 35명에 불과하였으며, 그 중 대다수(34명)는 불어를 고등학교 때 배운 적이 있다고 하였다.
(6) 이중에서, 대학의 교양과정에서 혹은 전공과정에서 불어를 배운 사람은 10명(전공과정: 4명, 교양과정 : 6명)이었다.
2) 설문 방법
우선, 일반인 5명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pre-enquete)을 실시하여 설문 내용상 애매모호한 부분을 수정하였다. 그 다음, 일반인 10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9월 15일부터 10월 1일까지 3주 동안 이루어졌다.
2. 설문 내용
설문의 대상이 된 어휘는 잡지와 전화번호부에 나타난 불어를 빈도에 의해 선정한 것으로 상표와 상호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불어까지 포함하였다. 여기에서 상표와 상호로 쓰이는 불어는 26개이다. 나머지 15개는 ‘란제리’, ‘장르’, ‘바캉스’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불어이다.
설문 문항으로 선정한 41개의 불어는 빈도순으로 나열한 것이며, 문항의 대상이 된 불어의 한글 표기는 빈도를 통해 가장 많이 표기하는 방식에 기준을 둔 것이다. 또한 설문 내용은 세 가지의 영역으로 단어의 의미, 형태 그리고 철자에 관한 문항이다. 특히, 형태에 관한 문항은 불어 어휘의 전체적인 구조에 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문법적인 내용과 관련이 있다.
3. 설문 결과 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불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들이 불어를 접하게 되는 경우는 주로 잡지 혹은 광고를 통해서였다.
둘째, 불어의 철자에 대한 인지도는 의미와 형태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매우 낮았다.
셋째, ‘뷔페’, ‘바게트’, ‘크레용’과 같은 단어에 대한 인지도 분석을 통해서 의미의 축소와 확대와 같은 의미 변형의 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형태와 철자에서는 복합어보다 단일어로 이루어진 불어의 인지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철자에서는 폐음강세(accent aigu), 개음강세(accent grave)등과 같은 강세표시가 없는 어휘의 인지도가 높았다.
여섯째, 의미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인 불어는 상표와 상호에서 사용하는 어휘보다도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였으며 철자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인 어휘는 주로 상표와 상호에 해당하는 어휘였다.
설문 결과의 분석을 통해, 전체적으로 불어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결국 상표와 상호와 관련한 상업주를 비롯한 일반인들의 올바른 언어사용에 대한 관심의 부재 때문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공혜진(2005) /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에 관한 실증 연구, 경희대학교
박용규(2008) / 브랜드 인지도가 소비자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이성호 외 3명(2011) / 브랜드 현저성이 경쟁브랜드 회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수준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
정병국(2009) / 브랜드인지도가 브랜드선호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정병국 외 1명(2007) /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한 심벌마크의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한경희 외 1명(2004) / 브랜드 인지도와 관여도가 제품 품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