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변화가 주인공에게 성인세계를 지시해 주거나 이끌어가는 소설. Mordecai Marcus 『What is an Initiation Story』, Critical Approches to Fiction
「이니에이션 스토리」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작가가 총총히 끝내기 위하여 『눈을 겨우 뜰때』의 끝 부분에 「이에 끝났음니다. 연속하여 쓰고 싶지만 한 단편을 해를 걸쳐서 쓰는 것은 재미 없는 일일 뿐이다」
자살인지 실수로 죽인 것인지를 알 수 없게 끝을 맺었다는 데서, 원래는 죽음의 결말이 아닌 새로운 삶으로의 전개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금패의 죽음은 단지 실수일 수도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하지만 어쨌든 결국 금패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게 된 것은 사실일 것이다.
●결론
1920년대의 근대적 연애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연애와의 개념은 많이 다르다. 일본 식민지라는 이름과 함께 이 땅에 처음 들어온 연애는 조선인들의 호기심 속에서 서툴게 받아들여져 갔을 것이다. 근대적 연애는 사랑을 목적으로 한 연애라기보다는 연애라는 것을 한번 체험해 보고 싶은 호기심 속에 물질까지 투자하면서 기생과의 근대적 연애를 소망했던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리고 기생과의 연애가 대부분 죽음 등의 비극적인 결말로 끝남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기생들과의 연애를 꿈꿨던 것은 답답한 조국의 현실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기를 원했던 것 때문은 아니었을까 추측해 본다.
※참고문헌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金東仁硏究』
『金東仁小說硏究』
김동인, 『눈을 겨우 뜰때』
나도향, 『환희』
김남천, 『少年行』
「이니에이션 스토리」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작가가 총총히 끝내기 위하여 『눈을 겨우 뜰때』의 끝 부분에 「이에 끝났음니다. 연속하여 쓰고 싶지만 한 단편을 해를 걸쳐서 쓰는 것은 재미 없는 일일 뿐이다」
자살인지 실수로 죽인 것인지를 알 수 없게 끝을 맺었다는 데서, 원래는 죽음의 결말이 아닌 새로운 삶으로의 전개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금패의 죽음은 단지 실수일 수도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하지만 어쨌든 결국 금패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게 된 것은 사실일 것이다.
●결론
1920년대의 근대적 연애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연애와의 개념은 많이 다르다. 일본 식민지라는 이름과 함께 이 땅에 처음 들어온 연애는 조선인들의 호기심 속에서 서툴게 받아들여져 갔을 것이다. 근대적 연애는 사랑을 목적으로 한 연애라기보다는 연애라는 것을 한번 체험해 보고 싶은 호기심 속에 물질까지 투자하면서 기생과의 근대적 연애를 소망했던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리고 기생과의 연애가 대부분 죽음 등의 비극적인 결말로 끝남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기생들과의 연애를 꿈꿨던 것은 답답한 조국의 현실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기를 원했던 것 때문은 아니었을까 추측해 본다.
※참고문헌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金東仁硏究』
『金東仁小說硏究』
김동인, 『눈을 겨우 뜰때』
나도향, 『환희』
김남천, 『少年行』
키워드
추천자료
'연애'-그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하여...
모던보이 박태원- 소설가 구보와 작가 구보
[모더니즘]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이론, 모더니즘의 등장, 모더니즘의 전성, 모더니즘...
현진건의 소설 '고향'에 대하여
나도향 <물레방아> 분석 - 20년대 문학의 흐름과 관련하여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에 나타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이태준의 작품 <꽃나무는 심어 놓고>와 <촌띄기>의 줄거리와 주인공 성격을 비교하여 설명하...
이상의 _'날개_'와 1930년대의 도시소설._0
식민지 시대 소설의 주제
이상 소설에 나타난 카페 여급에 관한 고찰
김유정 (1930년대 문학 개관)
최명익 소설 연구
이기영 고향 (경향소설)
[독후감] 연애의 시대 _ 권보드래 지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