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1. 수액 및 전해질 필요량
2. 수액의 종류 및 성분
3. 질환별 수액요법
2. 수액의 종류 및 성분
3. 질환별 수액요법
본문내용
Total body fluid
세포 내액(ICF) 70%
체중의 40%차지
포함되어있는 양이온은 : K+, Mg++이고,
주요 음이온은 단백질 및 ATP, ADP, AMP같은 유기산.
세포 외액(ECF) 30%
간질액(75%), 혈장(25%)로 구분
혈장은 혈관내부를 순환하는 액체(물, 알부민, 글로블린, 섬유소원,
아미노산, 지질 등 )
간질액은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
.
.
수분(water) 필요량
◆ 정상 성인 30mL/kg 필요 (매일 약2~3L) 70kg 기준
남성 : 체중의 약 60% / 여성 : 체중의 약 50%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5~10%가량 감소
◆ 체온이 10C 증가할 때마다 약 15%씩 요구량 증가(전해질포함)
◆ 정상 성인 수분 배출경로와 양(2600mL/day)
소변 : 1500ml/day
피부 : 600ml/day
폐 : 400ml/day
대변 : 100ml/day
불감손실(호흡, 피부증발)에 의한 체액량 감소
◆ 간략화한 성인용 계산식 : 15ml X 체중(kg)
예) 체중 60kg 성인 15 X 60 = 900ml
폐 : 피부 = 1 : 2 비율 -> 300 : 600
◆ + 발한이 있을시 = 수분, 염분 소실 증가
전해질 필요량
◆ 나트륨(Na+)
1~2 mEq/kg/day로
약 100mEq (5.9g NaCl)
◆ 칼륨(K+)
약 60mEq (4.5g KCl)
◆ 마그네슘
약 8~20mEq (1~3g MgSO4)
세포 내액(ICF) 70%
체중의 40%차지
포함되어있는 양이온은 : K+, Mg++이고,
주요 음이온은 단백질 및 ATP, ADP, AMP같은 유기산.
세포 외액(ECF) 30%
간질액(75%), 혈장(25%)로 구분
혈장은 혈관내부를 순환하는 액체(물, 알부민, 글로블린, 섬유소원,
아미노산, 지질 등 )
간질액은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
.
.
수분(water) 필요량
◆ 정상 성인 30mL/kg 필요 (매일 약2~3L) 70kg 기준
남성 : 체중의 약 60% / 여성 : 체중의 약 50%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5~10%가량 감소
◆ 체온이 10C 증가할 때마다 약 15%씩 요구량 증가(전해질포함)
◆ 정상 성인 수분 배출경로와 양(2600mL/day)
소변 : 1500ml/day
피부 : 600ml/day
폐 : 400ml/day
대변 : 100ml/day
불감손실(호흡, 피부증발)에 의한 체액량 감소
◆ 간략화한 성인용 계산식 : 15ml X 체중(kg)
예) 체중 60kg 성인 15 X 60 = 900ml
폐 : 피부 = 1 : 2 비율 -> 300 : 600
◆ + 발한이 있을시 = 수분, 염분 소실 증가
전해질 필요량
◆ 나트륨(Na+)
1~2 mEq/kg/day로
약 100mEq (5.9g NaCl)
◆ 칼륨(K+)
약 60mEq (4.5g KCl)
◆ 마그네슘
약 8~20mEq (1~3g MgSO4)
키워드
추천자료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Bronchiolitis
피부질환증상과치료
폐렴(pneumonia)의 원인과 진단 종류
너싱홈의 개설현황을 조사하고, 너싱홈 운영의 강점과 약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마그네슘 불균형
소아과 CROUP 크룹 CASE 간호과정
APN (Acute Pyelo Nephritis)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
Ⅳ.상부 호흡기계의 장애
[쇼크, 충격, 쇼크 정의, 쇼크 원인, 쇼크 분류, 쇼크 증상, 충격 단계, 쇼크 치료]쇼크(충격...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케이스 스터디
맹장수술케이스
[전염성질환관리] 전염성 질환의 종류와 특징 및 예방접종의 필요성, 전염성질환의 증상과 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