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특성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의 특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의 특성에 대한 자료 풀이
2. 향가의 특성
3. 현전하는 향가 25수의 분류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적으로 접근하고 그것의 해결을 결국 불교의 힘을 빌린다는 구조로 되어있다.
③ 주술적 성격
哀反多矣徒良 서러운 중생이여
功德修叱如良來如 <풍요>
공덕 닷가라 오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혜성가>
혜성이여 사뢴 사람이 있다
願往生願往生 원왕생 원왕생
慕人有如白遣賜立 <원왕생가>
그럴 사람 있다
千隱手叱千隱目 천 손에 천 눈을
一等下叱放一等 除惡支 <천수대비가>
하나를 놓고 하나를 더옵기
<풍요>는 민요이지만 이와 함께 주술적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후렴구가 그간절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혜성가>는 불길한 자연현상(혜성이 심대성을 범한 것)을 불교와 주술적 의미로 풀어낸 것이다. <원왕생가>는 극락세계에 가기위한 신도들의 노래로 원왕생, 원왕생 반복하는 것이 주술의 의미를 부각시켜주고 있다. <천수대비가>는 주술적 성격이 가장 아름답게 표현된 향가라고 하여도 좋을 만큼 섬세하고 주술적이다. <보현십원가>는 불교적 성격과 주술적 의미를 함께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예는 생략한다. 불찬을 할 때에는 기도하는 장면이 향가 속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 간절함과 비는 마음이 직접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대부분의 주술적 성격을 띈 시가에는 반복을 한다거나, 기도하고 있는 상황을 묘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향가는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불린 시가이며, 이두와 향찰로 표기된 시가이다. 향가로 불리워지기 위해서는 현전하는 25수의 공통된 성격을 파악해야한다. 불교적 성격을 띈 시가의 모임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서정적 의미가 나타나있고, 또 무겁지 만은 가벼운 민요도 눈에 띈다. 사뇌라는 것은 메시지가 있는 화려한 시를 말하기도 하지만 세속 사람들의 흥미를 위한 시가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시가를 향가라고 정의하는 것일까.
향가는 어떤 일정 장르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장르가 되기 위해서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시기별로 문학을 구분 짓는 것의 모순이라고 볼 수 도 있다. 향가에는 두드러지는 세가지 성격, 앞서 말한 불교적 성격, 민요적 성격, 주술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문헌에 전해내려오는 향가라고 하는 것은 시기별로 구분할 때의 향가와는 차이가 있는 것을 반드시 염두해 두어야 한다.
사뇌라는 것은 메시지가 있는 시가라는 것을 부른 옛이름이다. 이 메시지는 위의 성격들을 모두 포함한다. 오늘날의 향가는 시기적으로 분류를 한 것이지만 이 안에 사뇌가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우리는 향가를 사뇌가라고도 부르는 것이다. 하지만 그 수준이 매우 높고 승려와 높은 사람들에게도 창작되고 불리워진 졌기 때문에 단순한 메시지를 담은 세속 사람들의 노래라고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향가는 메시지를 담은 옛 선조들의 시가의 집합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는 매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5. 참고문헌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이재선, 『鄕歌의 理解 』, 한국학술정보, 2003
일연,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 지식산업사, 1986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1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