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고려속요(고려가요)의 개념
Ⅲ.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성격
1. 고려속요의 내용은 남녀상열지사가 중심을 이룬다
2. 고려속요는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대부분이다
3. 고려속요는 현존하는 작품이 매우 적은 편이다
Ⅳ.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이해
Ⅴ.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태
Ⅵ.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성
Ⅶ. 고려속요(고려가요)의 명칭
1. 고려속요와 고려 가요
2. 속악가사(俗樂歌詞)
3. 고속가(古俗歌)
4. 속요(俗謠)
5. 장가(杖家)
6. 별곡(別曲)
Ⅷ.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주요작품
1. 동동
2. 상저가
3. 가시리
4. 서경별곡
5. 청산별곡
6. 남여상열지사 3곡
7. 향가계 여요 2곡
참고문헌
Ⅱ. 고려속요(고려가요)의 개념
Ⅲ.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성격
1. 고려속요의 내용은 남녀상열지사가 중심을 이룬다
2. 고려속요는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대부분이다
3. 고려속요는 현존하는 작품이 매우 적은 편이다
Ⅳ.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이해
Ⅴ.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태
Ⅵ.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성
Ⅶ. 고려속요(고려가요)의 명칭
1. 고려속요와 고려 가요
2. 속악가사(俗樂歌詞)
3. 고속가(古俗歌)
4. 속요(俗謠)
5. 장가(杖家)
6. 별곡(別曲)
Ⅷ.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주요작품
1. 동동
2. 상저가
3. 가시리
4. 서경별곡
5. 청산별곡
6. 남여상열지사 3곡
7. 향가계 여요 2곡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속요의 형태는 여러 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것과 하나의 장으로 이루어진 두 가지가 있다. 여러 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것은 후렴구가 반드시 따르는데,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기 좋은 형태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후렴구는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의미 없는 소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하나의 장으로 이루어진 형태는 혼자서 부르기 좋은 형태의 노래라고 볼 수 있다.
고려속요의 대부분은 원래 민간의 노래였을 것이다. 고려속요의 대부분은 민간으로 노래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많으며, 지방색을 띤 노래가 많고, 노래의 내용이 남녀상열지사로 되어 있어서 민요의 내용과 많이 닮아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는 작품이 많다는 점도 민간의 노래였다는 증거가 된다. 위에서 말한 특징들은 민요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에 고려속요는 민간의 노래였던 작품이 많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Ⅵ.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성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그 일부가 궁중악으로 편입되어 전해지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편찬된 ‘악화궤범’,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등에 채록되었다.
Ⅶ. 고려속요(고려가요)의 명칭
국문학의 장르 중에서 가장 이견이 많고 불명확한 개념을 가진 분야가 속요이다. 장르명칭으로 고려가요, 여요, 고려가사, 속요, 고속가, 속악가사, 별곡, 麗歌 등의 이름이 있으나. 학계에서 통일된 명칭으로 정립되지 못한 형편이다.
1. 고려속요와 고려 가요
작품의 형식과 내용, 사상 등의 동질성을 장르형성의 요소로 볼 때, 특정한 시대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함
2. 속악가사(俗樂歌詞)
속악에 얹혀진 가사라는 의미로 경기체가시조도 속악가사에 속함
3. 고속가(古俗歌)
조선후기에 발달한 속가와 고려의 속악가사는 그 성질이 완전히 다름
4. 속요(俗謠)
명칭의 ‘謠’라는 어휘도 동요나 민요 등에만 쓰여 우리 시가장르의 가치를 폄하하고 있는 술어
5. 장가(杖家)
막연한 길이에 따른 이름
6. 별곡(別曲)
경기체가와 가사작품에 공히 사용되는 명칭
Ⅷ.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주요작품
1. 동동
전 13연의 월령체, 월령체(달거리 형식)노래의 효시
2. 상저가
노동요, 효심을 노래
3. 가시리
이별의 정한을 노래, 후렴구(위증즐가 태평성대)
4. 서경별곡
서경(평양)을 무대로 한 남녀간의 이별의 정한을 노래, 후렴구(위 두어령셩 두어령셩 다링디리)
5. 청산별곡
현실의 비애. 고독, 도피, 체념을 노래, 후렴구(얄리 얄리 얄라성 얄라리 얄라)
6. 남여상열지사 3곡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7. 향가계 여요 2곡
정과정, 도이장가
참고문헌
김종길(1985), 고려속요에 나타난 애정관, 세종대 석사학위 논문
김진희(2000), 고려속요의 음악적 구성원리, 연세대학교
박병채(1995), 고려속요의 어석연구, 반도출판사
윤영아(1997), 고려속요의 운율적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전규태(1976),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조하연(2010),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고려속요의 대부분은 원래 민간의 노래였을 것이다. 고려속요의 대부분은 민간으로 노래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많으며, 지방색을 띤 노래가 많고, 노래의 내용이 남녀상열지사로 되어 있어서 민요의 내용과 많이 닮아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는 작품이 많다는 점도 민간의 노래였다는 증거가 된다. 위에서 말한 특징들은 민요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에 고려속요는 민간의 노래였던 작품이 많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Ⅵ. 고려속요(고려가요)의 형성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그 일부가 궁중악으로 편입되어 전해지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편찬된 ‘악화궤범’,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등에 채록되었다.
Ⅶ. 고려속요(고려가요)의 명칭
국문학의 장르 중에서 가장 이견이 많고 불명확한 개념을 가진 분야가 속요이다. 장르명칭으로 고려가요, 여요, 고려가사, 속요, 고속가, 속악가사, 별곡, 麗歌 등의 이름이 있으나. 학계에서 통일된 명칭으로 정립되지 못한 형편이다.
1. 고려속요와 고려 가요
작품의 형식과 내용, 사상 등의 동질성을 장르형성의 요소로 볼 때, 특정한 시대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함
2. 속악가사(俗樂歌詞)
속악에 얹혀진 가사라는 의미로 경기체가시조도 속악가사에 속함
3. 고속가(古俗歌)
조선후기에 발달한 속가와 고려의 속악가사는 그 성질이 완전히 다름
4. 속요(俗謠)
명칭의 ‘謠’라는 어휘도 동요나 민요 등에만 쓰여 우리 시가장르의 가치를 폄하하고 있는 술어
5. 장가(杖家)
막연한 길이에 따른 이름
6. 별곡(別曲)
경기체가와 가사작품에 공히 사용되는 명칭
Ⅷ. 고려속요(고려가요)의 주요작품
1. 동동
전 13연의 월령체, 월령체(달거리 형식)노래의 효시
2. 상저가
노동요, 효심을 노래
3. 가시리
이별의 정한을 노래, 후렴구(위증즐가 태평성대)
4. 서경별곡
서경(평양)을 무대로 한 남녀간의 이별의 정한을 노래, 후렴구(위 두어령셩 두어령셩 다링디리)
5. 청산별곡
현실의 비애. 고독, 도피, 체념을 노래, 후렴구(얄리 얄리 얄라성 얄라리 얄라)
6. 남여상열지사 3곡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7. 향가계 여요 2곡
정과정, 도이장가
참고문헌
김종길(1985), 고려속요에 나타난 애정관, 세종대 석사학위 논문
김진희(2000), 고려속요의 음악적 구성원리, 연세대학교
박병채(1995), 고려속요의 어석연구, 반도출판사
윤영아(1997), 고려속요의 운율적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전규태(1976),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조하연(2010),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