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메시지의 가능
제 2절 메시지의 구조
제 3절 과제 작성의 원리
제 2절 메시지의 구조
제 3절 과제 작성의 원리
본문내용
청하지 않는 경우
·치료에 참석한 것에 감사를 표하고 다시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함
2) 불평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은 아우 것도 하지 않음, 다른 가족 구성원을 탓함
·목표가 없는 경우 : 원하는 일들 중 어떤 것이 일어나는지 관찰해 보게 함
·예외상황이 발견되었거나 목표가 설정된 경우 : 어떻게 예외 또는 목표 상황이 일어났는지 관찰해 보게 함
3) 고객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의지가 있는 경우
·예외상황에서의 행동, 그 동안 효과적이었던 것을 더 많이 해보고 또 다른 예외를 발견 하게 함
·예외상황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 지금과는 다른 것을 해 보게 하거나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기 과제를 줄 수 있음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과제를 작성할 때에는 긍정적인 것을 관찰하고 예외를 발견하며 작은 것을 실행한다는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설정된 목표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
- 내담자 유형에 따라 과제를 달리 해야 하는데, 방문형 내담자에게는 과제를 주지 않는 것이 좋으며 불평형 내담자에게는 관찰 과제가, 고객형 내담자에게는 행동 과제와 관찰 과제가 모두 유용하다
·치료에 참석한 것에 감사를 표하고 다시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함
2) 불평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은 아우 것도 하지 않음, 다른 가족 구성원을 탓함
·목표가 없는 경우 : 원하는 일들 중 어떤 것이 일어나는지 관찰해 보게 함
·예외상황이 발견되었거나 목표가 설정된 경우 : 어떻게 예외 또는 목표 상황이 일어났는지 관찰해 보게 함
3) 고객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의지가 있는 경우
·예외상황에서의 행동, 그 동안 효과적이었던 것을 더 많이 해보고 또 다른 예외를 발견 하게 함
·예외상황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 지금과는 다른 것을 해 보게 하거나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기 과제를 줄 수 있음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과제를 작성할 때에는 긍정적인 것을 관찰하고 예외를 발견하며 작은 것을 실행한다는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설정된 목표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
- 내담자 유형에 따라 과제를 달리 해야 하는데, 방문형 내담자에게는 과제를 주지 않는 것이 좋으며 불평형 내담자에게는 관찰 과제가, 고객형 내담자에게는 행동 과제와 관찰 과제가 모두 유용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