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고전 문학사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
서론
본론
향가, 혹은 사뇌가에 대해서는 대체로
서동요-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한국 최초의 4구체 향가
혜성가-신라 진평왕 때 융천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풍요-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4구체(四句體) 향가
원앙생가-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는 10구체 향가
모죽지랑가-신라 효소왕 때 득오가 지은 8구체 향가
헌화가-신라 성덕왕 때 한 노옹에 의하여 불린 4구체 향가
원가-신라 효성왕 때 신충이 지은 10구체 향가
제망매가-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도솔가-신라 경덕왕 19년에 월명사가 지은 향가
찬기파랑가-신라 경덕왕 때 충담이 화랑 기파랑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안민가-신라 경덕왕 24년에 충담이 지은 10구체 향가
도천수대비가-신라 경덕왕 때 희명이 지은 10구체 향가로 <도천수관음가>라고도 부른다.
우적가-신라 원성왕 때 영재가 지은 10구체 향가
처용가-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보현십원가-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11수가 있다.
결론
출처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
서론
본론
향가, 혹은 사뇌가에 대해서는 대체로
서동요-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한국 최초의 4구체 향가
혜성가-신라 진평왕 때 융천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풍요-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4구체(四句體) 향가
원앙생가-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는 10구체 향가
모죽지랑가-신라 효소왕 때 득오가 지은 8구체 향가
헌화가-신라 성덕왕 때 한 노옹에 의하여 불린 4구체 향가
원가-신라 효성왕 때 신충이 지은 10구체 향가
제망매가-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도솔가-신라 경덕왕 19년에 월명사가 지은 향가
찬기파랑가-신라 경덕왕 때 충담이 화랑 기파랑을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
안민가-신라 경덕왕 24년에 충담이 지은 10구체 향가
도천수대비가-신라 경덕왕 때 희명이 지은 10구체 향가로 <도천수관음가>라고도 부른다.
우적가-신라 원성왕 때 영재가 지은 10구체 향가
처용가-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
보현십원가-고려 광종 연간에 승려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11수가 있다.
결론
출처
본문내용
참회로부터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다짐을 한 내용의 노래이다. <수희공덕가>는 누구의 공덕이든 그 공덕을 자신의 일처럼 따라서 함께 기뻐한다는 노래이고 <청전법륜가>는 불교의 교법(敎法)이 널리 퍼지기를 청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상수불학가>는 항상 부처님을 따라 배우기를 원한다는 내용이며 <항순중생가>는 항상 중생의 뜻을 따르게 하여 달라는 내용이다. <보개회향가>는 자기가 닦는 모든 선업(善業)을 중생에게 돌려 달라고 비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총결무진가>는 앞의 10수를 묶어 결론짓는 것으로 보현행원만을 열심히 행하겠다고 다짐하는 내용이다.
<보현십원가>가 지어지고 나서 사람들을 통해 널리 퍼져 가끔 담벼락에 써지기도 했다는 기록이 [군여전]에 있다고 한다. 이것은 사람들에게 향가가 매우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으로 ‘戱樂之具(희락지구)’에서 끌어냈던 대중성과 관련이 깊다. 사람들에게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던 향가는 자연스럽게 신라 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하도록 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羅人尙鄕歌者尙矣(라인상향가자상의)’라는 구절에서 얻었던 향가의 성격과 일치한다.
결론
지금까지 향가에 대한 몇 가지 용어에서 얻을 수 있었던 향가의 성격을 바탕으로 현재 전해지고 있는 25수의 향가에 적용하여 설명해 보았다.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든 향가는 뜻이 깊고 정교하며 가사가 맑고 곱다. 또한 뜻이 가사보다 정교한 까닭에 뇌라고 이른다.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은 ‘신라인들은 일찍부터 향가를 숭상했고 이것은 대개 시(詩)송(頌) 같은 것이다. 때문에 이따금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라고 해석되는데 이것은 향가를 대하는 신라인들의 태도가 매우 신성했고 향가는 주술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된다. 또한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의 구절을 통해 ’무릇 사뇌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놀고 즐기는 도구이다’라는 향가의 성격을 얻을 수 있었다. 놀고 즐긴다는 것은 대중적인 오락과 유희에 적합하다는 말로서 향가가 매우 대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향가의 성격을 알아보고 현존하는 향가 25수에 나름대로 적용해 보면서 관심이 부족했던 향가에 대해 조금이나마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보고서를 써 나가는 것이 조금 버겁기는 했지만 매우 보람 있는 작업이었다. 향가가 아닌 우리나라의 다른 문학 장르에 관해서도 조금이나마 생각을 해보고 노력을 기울인다면 이와 같은 보람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출처
<<한국시가의 정신세계>> 조기영, (주)북스힐
<<우리의 고전시가 1>> 임종욱 엮음, 나무아래사람
<<향가 문학 연구>> 김종규, 경인문화사
http://korstudy.com/ 강기룡의 정선국어자료실
http://www.woorimal.net/ 우리말사랑 누리 집
http://www.jongryul.com/ JR이 만들어가는 국어나라
http://100.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보현십원가>가 지어지고 나서 사람들을 통해 널리 퍼져 가끔 담벼락에 써지기도 했다는 기록이 [군여전]에 있다고 한다. 이것은 사람들에게 향가가 매우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으로 ‘戱樂之具(희락지구)’에서 끌어냈던 대중성과 관련이 깊다. 사람들에게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던 향가는 자연스럽게 신라 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하도록 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羅人尙鄕歌者尙矣(라인상향가자상의)’라는 구절에서 얻었던 향가의 성격과 일치한다.
결론
지금까지 향가에 대한 몇 가지 용어에서 얻을 수 있었던 향가의 성격을 바탕으로 현재 전해지고 있는 25수의 향가에 적용하여 설명해 보았다.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든 향가는 뜻이 깊고 정교하며 가사가 맑고 곱다. 또한 뜻이 가사보다 정교한 까닭에 뇌라고 이른다.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은 ‘신라인들은 일찍부터 향가를 숭상했고 이것은 대개 시(詩)송(頌) 같은 것이다. 때문에 이따금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라고 해석되는데 이것은 향가를 대하는 신라인들의 태도가 매우 신성했고 향가는 주술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된다. 또한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의 구절을 통해 ’무릇 사뇌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놀고 즐기는 도구이다’라는 향가의 성격을 얻을 수 있었다. 놀고 즐긴다는 것은 대중적인 오락과 유희에 적합하다는 말로서 향가가 매우 대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향가의 성격을 알아보고 현존하는 향가 25수에 나름대로 적용해 보면서 관심이 부족했던 향가에 대해 조금이나마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보고서를 써 나가는 것이 조금 버겁기는 했지만 매우 보람 있는 작업이었다. 향가가 아닌 우리나라의 다른 문학 장르에 관해서도 조금이나마 생각을 해보고 노력을 기울인다면 이와 같은 보람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출처
<<한국시가의 정신세계>> 조기영, (주)북스힐
<<우리의 고전시가 1>> 임종욱 엮음, 나무아래사람
<<향가 문학 연구>> 김종규, 경인문화사
http://korstudy.com/ 강기룡의 정선국어자료실
http://www.woorimal.net/ 우리말사랑 누리 집
http://www.jongryul.com/ JR이 만들어가는 국어나라
http://100.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