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더십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리더십의 개념과 요소
2, 리더십의 수준과 요구 기술
3, 리더십의 영향 방법
4, 영향력의 원천 (French and Raven, 1960)
5, 리더십의 특성이론과 행동이론
6. 리더십의 상황이론 (situational theory)
7. 경쟁적 가치접근에 의한 리더십 (R. Quinn, 1988)

본문내용

t al., 2001; Judge, 1999)
① 지능
- 대체로 부하보다 높은 리더의 지능수준
② 성취의욕과 내적 동기
- 리더의 결과지향적이고 높은 수준의 성취의욕과 내적 동기
③ 성숙도
- 리더의 정서적으로 성숙하고 폭넓은 관심도
④ 정직성
- 부하들을 고무시키는 리더의 신뢰성, 정직성, 성실성(integrity)
(3) 특성이론의 문제점 (Bass, 1990; Northouse, 1997)
① 리더의 특성이 너무 많고, 이해ㆍ해석ㆍ적용의 어려움
- 성공적인 리더의 특성을 연구하면 할수록 리더의 특성이 무한정 증가(현재 100여개)
- 리더십 상황과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고는 연구결과를 잘못 이해하거나 해석하고, 나아가 조직체에 잘못 적용할 위험성이 큼
② 연구결과의 일관성 결여
- 서로 상반되는 연구결과가 많아 리더 특성의 예언성이 의문시됨
- 대개 연구결과가 상식적인 수준을 넘지 않아 실질적 예언가치 없음
③ 리더십의 주요 요소인 부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연구결과의 타당도 저하
- 부하의 역할 도외시
- 리더 개인의 특성 연구만으로는 리더십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움
2) 리더십 행동이론(1): 독재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1) 리더 스타일의 분류 (Jennings, 1962; White and Lippitt, 1960)
독재적 리더십(독단적) VS 민주적 리더십(권한부여)
(2) 리더스타일과 집단효율성
○ 독재적 스타일
-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벌과 위협을 사용 - 단기적으로는 효과적
- 장기적으로는 역효과
○ 민주적 스타일
- 장기적으로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음
- 집단구성원의 만족감이 높음
○ 자유방임적 스타일
- 기업체에서는 구성원 간에 혼란과 갈등을 야기시킴으로써 생산성에 역기능을 가져옴
3) 리더십 행동이론 (2): 구조주도적-고려적 리더십
※ 오하이오 주립대학(Ohio State University) 경영연구소의 연구
- 리더십의 행동유형과 이에 따른 집단 성과 및 구성원의 만족감 간의 상호관계 분석
(1) 리더 스타일의 분류
○ 구조주도적(initiating structure) 리더십
- 생산성 중심의 리더십 = 일 중심의 리더십 = 구조중심의 리더십
- 부하의 성과 환경을 구조화하는 리더십
- 부하의 과업을 설정ㆍ배정하고 부하와의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절차도 명백히 하는 한편, 성과도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하는 행동스타일
○ 고려적(consideration) 리더십
- 근로자 중심의 리더십 = 관계 중심의 리더십 = 인정 중심의 리더십
- 부하와의 인간관계를 중요시
- 리더-부하 및 부하들 사이의 신뢰성, 온정, 친밀감, 상호존중 그리고 상호협조를 조성하는 데 주력하는 리더 행동
(2) 연구결과
○ 실제 연구결과는 기대와 달리 나타남
- 일반적으로 구조주도적 행동과 고려적 행동을 높게 갖춘 리더십이 가장 효율적일 것(즉, 높은 집단 성과 + 높은 만족감)으로 기대되지만 (또 그것이 사실이지만)
- 일부 연구에서는 높은 구조주도적-고려적 리더십 스타일이 높은 결근율과 고충처리율 등의 부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됨
○ 연구의 타당성 문제
- 연구를 계속할수록 조직의 상황적 요소들이 리더십효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조직의 상황적 요소를 연구 변수로 포함하지 않은 것이 구조주도적-고려적 리더십연구의 가장 중요한 취약점
4) 리더십 행동이론 (3): 관리그리드 (Blake and Mouton, 1985)
<리더십유형의 분류>
① (1ㆍ1)무관심형(impoverished)
- 생산과 인간에 대한 관심이 모두 낮은 무관심 스타일
- 리더 자신의 직분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의 노력만을 투입하는 리더 유형
② (1ㆍ9)인기형(country club)
- 인간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고 생산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음
- 구성원과의 만족한 관계와 친밀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역점을 기울이는 리더스타일
③ (9ㆍ1)과업형(task)
- 인간관계는 경시하고 업무만 강조 (업무 모형)
- 생산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지만 인간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음
- 인간적인 요소보다도 과업수행상의 능력을 최고로 중요시하는 행동스타일
④ (5ㆍ5)타협형(middle of the road)
- 과업의 능률과 인간적 요소를 절충하여 적당한 수준의 성과를 지향하는 리더스타일
⑤ (9ㆍ9)이상형(team)
- 인간관계와 일 모두를 강조 (팀 모형)
- 구성원들과 조직체의 공동목표 및 상호 의존관계를 강조하고, 상호신뢰적이고 상호존중적인 관계에서 구성원들의 헌신(commitment)을 통하여 과업을 달성하는 리더스타일
그림 7-5: 관리그리드 리더 행동유형
자료: 이학종ㆍ박헌준, 2004: 352.
※ 관리그리드 이론에 의하면,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이 정해져 있지 않음
- 환경변화에 따라 이상형(팀모형)이 가장 효과적일 수도 있고, 무관심형(무력화모형)이 가장 효과적일 수도 있으며, 인기형(컨트리클럽모형)이 가장 효과적일 수도 있음
- 상황이 변하면 과업형(업무모형)과 타협형(중간길모형)도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이 될 수 있음
6. 리더십의 상황이론 (situational theory)
<상황이론에서 고려하는 주요 상황적 요소> (Tannenbaum and Schmidt, 1973)
① 리더의 행동적 특성
② 부하의 행동적 특성
③ 과업과 집단구조
④ 조직체 요소
1) 상황적합성이론 (Contingency Theory) (Fiedler, 1967)
2) 의사결정상황이론 (Vroom and Yetton, 1973)
3) 경로-목표이론 (Path Goal Theory) (House, 1971)
4) 수명주기이론 (Life Cycle Theory) (Hersey, 1984; Hersey and Blanchard, 1993)
7. 경쟁적 가치접근에 의한 리더십 (R. Quinn, 1988)
○ 대등한 값어치를 갖고 있는 다양한 가치들(경쟁적 가치: competing values)이 혼재해 있는 행정관리의 상황에서는 ‘가장 좋은’ 리더십이 있을 수 없음
-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조직 및 관리수행의 모델로 리더십을 설명 가능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9.1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8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