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안선
-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낳은 개인, 그리고 집단의 광기 -
서론 : 광기의 배경
철조망과 깨진 유리, 그리고 족구장을 가르는 네트
본론 : 광기의 악순환
(미영, 강상병, 김상병, 그리고 박쥐부대를 타고 흐르는 광기)
개인의 광기 1 - 강상병의 이야기
개인의 광기 2 - 미영의 이야기
개인의 광기 3 - 김상병의 이야기
집단의 광기
개인과 집단의 관계
결론 : 한반도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어라
-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낳은 개인, 그리고 집단의 광기 -
서론 : 광기의 배경
철조망과 깨진 유리, 그리고 족구장을 가르는 네트
본론 : 광기의 악순환
(미영, 강상병, 김상병, 그리고 박쥐부대를 타고 흐르는 광기)
개인의 광기 1 - 강상병의 이야기
개인의 광기 2 - 미영의 이야기
개인의 광기 3 - 김상병의 이야기
집단의 광기
개인과 집단의 관계
결론 : 한반도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어라
본문내용
출되기도 한다.
결국 <해안선> 전체를 타고 흐르는 광기의 근원은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에 있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간에 이들은 분열된 한반도가 낳은 희생자들이다.
결론 : 한반도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어라
미국의 신학자인 라인홀드 니버는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회를 구성하는 인간의 개체는 도덕적이다. 그러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이 속할 경우 그 사회는 비도덕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의 목적성에 의해 도덕적인 인간도 비도덕적인 선택을 강요받기 때문이다. 즉, 부도덕한 세계의 근본원인은 부도덕한 인간이 아닌 사회시스템에 있다”
김기덕 감독이 <해안선>을 제작한 궁극적 의도는 영화의 마지막에 드러난다. 군인들이 편을 갈라서 족구를 하는 장면으로 영화는 막을 내리는데 유심히 살펴보면 족구장을 양쪽으로 나누고 있던 네트가 점점 희미해지는 것을 눈치 챌 수 있다. 이는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남북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해안선>에는 비극적 광기를 초래한 한반도의 현주소를 바라보는 김기덕 감독의 시선이 배어있다. 분단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는 것, 그것이 이 영화가 염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결국 <해안선> 전체를 타고 흐르는 광기의 근원은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에 있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간에 이들은 분열된 한반도가 낳은 희생자들이다.
결론 : 한반도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어라
미국의 신학자인 라인홀드 니버는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회를 구성하는 인간의 개체는 도덕적이다. 그러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이 속할 경우 그 사회는 비도덕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의 목적성에 의해 도덕적인 인간도 비도덕적인 선택을 강요받기 때문이다. 즉, 부도덕한 세계의 근본원인은 부도덕한 인간이 아닌 사회시스템에 있다”
김기덕 감독이 <해안선>을 제작한 궁극적 의도는 영화의 마지막에 드러난다. 군인들이 편을 갈라서 족구를 하는 장면으로 영화는 막을 내리는데 유심히 살펴보면 족구장을 양쪽으로 나누고 있던 네트가 점점 희미해지는 것을 눈치 챌 수 있다. 이는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남북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해안선>에는 비극적 광기를 초래한 한반도의 현주소를 바라보는 김기덕 감독의 시선이 배어있다. 분단의 비극에 종지부를 찍는 것, 그것이 이 영화가 염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