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감 상 】
▶ 작가 정도전(鄭道傳) [1337(충혜왕 복위 3) ~ 1398(태조 7)]
▶ 작가 김종직(金宗直) [1431(세종 13)~1492(성종 23)]
▶ 작가 임억령(林憶齡) [1496(연산군 2) ~ 1568(선조 1)]
▶ 작가 정도전(鄭道傳) [1337(충혜왕 복위 3) ~ 1398(태조 7)]
▶ 작가 김종직(金宗直) [1431(세종 13)~1492(성종 23)]
▶ 작가 임억령(林憶齡) [1496(연산군 2) ~ 1568(선조 1)]
본문내용
꽃이 되고 봄이 되어 벌을 몰고 돌아오는 것이다. 시인은 봄이 떠나감을 떠나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시인은 자신의 벗에게 벗과 헤어져 있음도 헤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벗이 시인이고 시인이 곧 벗이라는 뜻을 전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 작가 임억령(林憶齡) [1496(연산군 2) ~ 1568(선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선산(善山). 자는 대수(大樹). 호는 석천(石川). 1516(중종 11) 진사, 1525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부교리, 사헌부지평, 홍문관교리, 사간, 전한, 세자시강원설서 등 여러 직위에 임명되었다. 금산군수로 있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 때 동생 백령(百齡)이 소윤 일파(윤원형 일파)에 가담하여 대윤(윤임 일파)의 많은 선비를 추방하자, 자책을 느끼고 벼슬을 사퇴하고 해남에 은거하였다. 뒤에 다시 등용되어 1552년 동부승지, 병조참지를 역임하고 이듬해 강원도 관찰사를 거쳐 1557년 담양부사가 되었다. 천성적으로 도량이 넓고 청렴결백하여 시문을 좋아하여 사장(詞章)에 탁월하였으므로 당시의 현인들이 존경하였으나 이직(吏職)에는 적당하지 않았던 것으로 사신(史臣)들이 평하였다.
▶ 작가 임억령(林憶齡) [1496(연산군 2) ~ 1568(선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선산(善山). 자는 대수(大樹). 호는 석천(石川). 1516(중종 11) 진사, 1525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부교리, 사헌부지평, 홍문관교리, 사간, 전한, 세자시강원설서 등 여러 직위에 임명되었다. 금산군수로 있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 때 동생 백령(百齡)이 소윤 일파(윤원형 일파)에 가담하여 대윤(윤임 일파)의 많은 선비를 추방하자, 자책을 느끼고 벼슬을 사퇴하고 해남에 은거하였다. 뒤에 다시 등용되어 1552년 동부승지, 병조참지를 역임하고 이듬해 강원도 관찰사를 거쳐 1557년 담양부사가 되었다. 천성적으로 도량이 넓고 청렴결백하여 시문을 좋아하여 사장(詞章)에 탁월하였으므로 당시의 현인들이 존경하였으나 이직(吏職)에는 적당하지 않았던 것으로 사신(史臣)들이 평하였다.
추천자료
조선시대 한문사대가
[과외]중학 한문 1-17 삼성 정정당당
야담계 한문단편과 판소리 문학이 향유될 수 있었던 배경
한문문학의 정의와 개념과 특징
(한문고전강독)삼국사기 열전 김유신 조에 등장하는 구토지설(龜兎之設)의 연원과 이 작품이 ...
운영전에 대한 북한문학사에서 시대변천에 따른 가치평가 고찰 A++[고전소설강독]
고전문학사 <한국문학통사3 - 조선후기 : 한문과 국문, 기록과 표현>
소설의 기원, 고전소설 시대의 소설관, 소설의 본질
허균, 시대의 문제에 대해 홍길동전으로 답하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
<최척전(崔陟傳)>의 작가의식 (줄거리, 이본, 한문본과 국문본의 대비, 사상 및 서사적 특성,...
2016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한국한문학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