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대표작품 및 해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대표작품 및 해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희곡
2. 비극이란?(What is tragedy?)
3. 셰익스피어
4. Romance

본문내용

와 모친의 간청으로 신왕의 용서를 받는 오머얼.
4장⇒선왕을 위해 리처드의 살해를 결심하는 엑스톤.
5장 ⇒ 엑스톤에게 살해당하는 리처드.
6장 ⇒ 리처드의 죽음을 애도하며 성지순례를 떠나는 신왕.
5. 극중인물의 성격
▶리처드 2세 : 유약함, 감상적, 우유부단함, 실제성의 결핍, 시적 성품.
(신의 대리자로서 나라를 통치할 권리를 갖고 있다고 믿는 중세적 개념의 군주)
▶볼링브루크 : 남성적, 북구적, 이지적, 현실적, 산문적, 행동형의 인간.
충실한 애국주의자인 동시에 대담한 야심가.
(새로운 인간중심의 세계, 르네상스를 대표)
▶고온트 : 정의감이 강하고 왕을 직간하는 기백을 지님. 낭만적, 관념적.
▶요오크 : 신념의 결핍, 자기 생존을 위한 사대주의적 경향을 지님.
▶오머얼 : 타고난 성품은 우직하나 임기웅변의 기지를 상실한 인물.
▶노덤벌랜드 : 새로운 권력에 아부하는 비열한 인물.
▶칼라일 : 성실, 정직, 현명, 용기를 겸비한 유일의 숭고한 인물.
현왕의 폐위 현장에서도 신왕을 면박하는 패기를 지님.
▶왕비 : 순진하면서도 애감을 자아내는 여인상
4. Romance
Romantic 이야기의 내용은 처음부터 Shakespeare 희극의 중요한 요소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특히 같은 유형의 희극 즉 romance로 분류되고 있는 다른 후기의 희극들, 이를 테면 The Winter's Tale, Cymbeline, Pericles에서와 같이 이 작품에서도 상실과 회복, 그리고 과거의 슬픔에서 솟아나는 새로운 행복이라는 전통적인 주제와 함께 romance의 전형적인 내용이 이 극의 구석구석을 지배하고 있다. 이들 후기의 희극들은 비극의 어두운 세계에 대한 일종의 epilogue라고 생각되어 왔는데, 여기에서는 악과 폭력 그리고 삶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당할 수 밖에 없는 온갖 재난이 갖는 의미에 대한 Shakespeare의집요한 탐색이 인간과 자연의 본질적인 선과 완결성을 믿고 그것을 대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에 이르게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Tempest의 배경에는 Golden Age라는 고전적 이상이 자리하고 있는데, 그 시대에는 영웅적 인물들이 완벽한 생복 가운데서 살았다고 한다. 서구 문학에 있어서 pastoral tradition은 이런 Arcadian romance에서 그려지는 공상의 세계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이상사회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기독교에서는 이런 이상 사회를 Adam과Eve가 타락하기 이전의 The Garden of Eden이라고 생각했다. Shakespeare는 이 극에서 Golden Age는 과서의 악은 사랑과 용서로써 지워지고 Ferdinand와 Miranda라는 젊은 연인들이 결합해서 새로운 세계를 맞이함으로써 이룩되는데, 이 새로운 세계에서는 그들의 아버지 세대가 보여 주었던 적의가 사라지고 예술과 자연, 문명 세계와 전원 세계가 화합하고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로 된다.
2. Synopsis
3. Analysis
※ Autobiographic works ~ connected with Prospero
※ Romanticism
Shakespeare는 비록 신고전주의적 관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지만 이 작품에서 새로운 안목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고 그의 이런 풀이는 낭만주의자들의 관점을 예견하게 해주고 있다. 이 작품을 한 편의 극시로 보려고 했던 낭만주의 평자들의 생각은 이 극의 시적 구조와 의미에 더 많은 철학적 관심을 기울였음을 반영해 준다. Edward Dowden은 이들 후기극들을 한 편의 희곡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만년에 이르러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에 빠져 있던 작가가 꿈꾸었던 이상 세계 자체라고 생각하고 해석했다. 그는 이 극의 epilogue를 작가가 도달한 인생의 epilogue처럼 풀이하고 있다. 한편 또 다른 비평가 Lytton Strachey는 작가가 이 극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은 '시와 시적인 꿈'을 제외하고 보면 인간은 말할 것도 없고 속세의 삶 가운데서 마주치지 않을 수 없는 모든 일에 싫증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극을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작가 개인의 환멸과 냉소를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던 Strachey의 '반감상주의적 반낭만주의적 사실주의' 해석은 20세기에 들면서 나타난 이 극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 중 한 가닥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an play of disenchantment).
※ Imperialism
신세계의 식민지화는 Shakespeare 당시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서 여행 문학이 크게 유행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Samuel Purchas가 편집해서 출판한 Philgrimes와 같은 것들이었다. 이들 여행 문학에서는 날카롭게 대립하는 두 가지 주제가 다루어 졌었다: 그 중 하나가 'primitivism'이라는 이상인데, 그것은 178세기 문학에서 점점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신세계는 문명에 의해서 더렵혀지지 않은 사람들이 사는 곳이었다. 그들은 원죄도 짓지 않은 '순수한' 자연 상태에서 살고있다는 것이다. 인간에 의해서 이룩된 문명 사회보다는 자연 상태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이런 생각은 작품 속에서 특히 Gonzalo의 대사(2막 1장)에 잘 나타나 있다 당시의 여행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하나의 주제는 Golden Age에 대한 동경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서구 정착자들의 현실적 경험의 반영이다. 식민지 개척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이 신세계에서 만난 토인들은 'noble savages' 가 아니라 신의 은총을 받지 못했고, 그래서 고귀한 감정을 가질 수 없는 사악한 창조물들에 불과했다. 그들은, 자연 자체는 추악한 것이므로 문명화를 통해서만 통제할 수 있고 또한 아름다운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개화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인간은 예술과 기타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저급한 동물적 격정에 좌우되므로 개화된 서구 백인의 지배를 받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이 작품에서의Prospero와 Caliban의 관계).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9.21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