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향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존감향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론
4. 결론

본문내용

균이 26.63±3.36점, 대조군 평균은 27.50±3.10점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인관게에서도 실험군 평균 88.75±11.53점, 대조군 90.19±11.3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인관계 하위영역별 점수는 만족감의 실험군 평균 13.19±2.76점, 대조군은 13.88±1.82점이었고, 의사소통이 실험군 평균은 14.63±2.42점, 대조군은 15.31±1.31점, 대조군 10.81±1.52점, 친근감은 실험군 평균 11.44±2.00점, 대조군 10.69±1.35점, 민감성의 실험군 평균 7.38±1.75점, 대조군 7.06±1.24점, 개방성의 실험군 평균 17.19±2.76점, 대조군 17.94±3.43, 이해성의 실험군 평균 14.81±2.07점, 대조군 14.50±2.53점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군 임이 밝혀졌다.
3.5 게임을 이용한 REBT집단상담이 여중생의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게임을 이용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를 프로그램 실시 전, 후 및 12주 후에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의 개인별 점수변화는 <표 3>과 같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추후의 측정치들 간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3.6 진로의식·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학습동기와 자존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로 MANOVA를 실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동기와 자존감에 대한 사후검사 점수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각각 p<.01과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4. 결론
게임을 이용하던가 멘토링을 이용하거나 많은 분석을 통하여 자존감 향상의 노력을 확인해 보았다. 언어치료나 그림치료 및 몸짓으로 치료하는 과정까지 나온 결과 자존감 향상 및 자존감 치료를 위한 자료가 많은 것으로 보아 아동기부터 자좀감향상을 위하여 부모들이 신경 써주는게 올바른 것 같고, 학교 자체적으로 매달 자존감 향상을 위해 신경쓰는게 아동기 및 청소년, 수감중인 비행 청소년까지 앞으로 미래를 위하여 더 좋은 방책이 될수 있을 것이다.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