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뉴미디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속 뉴미디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홈 네트워크
2.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3. 휴대폰을 사용한 화상대화
4. 생체 인식
5. 그리드 컴퓨팅을 이용한 광고
Ⅲ 결론

본문내용

있다.
② 생체 인식의 장단점
얼굴모양이나 음성·지문, 홍채 등과 같은 개인특성은 열쇠나 비밀번호처럼 타인에게 도용이나 복제될 수 없으며, 변경되거나 분실할 위험성이 없어 보안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이용자에 대한 사후 추적이 가능하여 관리 면에서도 안전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그리드 컴퓨팅을 이용한 광고
① 그리드 컴퓨팅이란?
최근 그리드 컴퓨팅이 화제가 되고 있다. IT업계의 거인 IBM이 최근 차세대 인터넷 전략을 발표하면서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기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WWW 로 대표되는 현재의 인터넷 환경을 완전히 새롭게 변모시킬 수 있는 기술로 그리드 컴퓨팅을 꼽은 것이다. 그리드 컴퓨팅은 한마디로 지구상의 모든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가상 컴퓨터를 만든다는 개념으로 개념 자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왔으나 최근 들어서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 마련됐다. 버클리 공대의 제임스 포스터 교수는 “그리드 컴퓨팅의 진정한 위력은 슈퍼 컴퓨터를 하나로 엮었을 때 발휘된다” 고 지적했다. 즉 PC를 이용했을 때 슈퍼 컴퓨터급 성능을 발휘한다면 슈퍼 컴퓨터를 하나로 묶었을 때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정보처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포스터 교수는 이어서 “그리드 컴퓨팅이 실용화된다면 상업화를 떠나서 인류가 이룩해 놓은 정보 통신 문명을 한 단계 뛰어넘는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 이라고 예견했다.
② 그리드 컴퓨팅을 적용한 광고와 장단점
그리드가 도입되면 우리는 마치 작동원리도 모르고 전기를 사용하듯, 컴퓨터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삶의 일부로 자리 잡을 것이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의 정보가 이 쪽에서 저 쪽으로 우리가 필요한 곳은 어디나 옮겨 다닐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리드 컴퓨팅은 뉴미디어 중 하나이며 이를 광고에 적용한 영화가 있다. ‘마이너리티 리포트’ 의 주인공은 그리드로 인하여 개별 맞춤형 광고의 홍수 속에 살며 백화점에서는 가상의 세일즈 맨이 주인공 톰 크루즈를 스캔해 그가 최근 구매했던 옷과 어울릴만한 아이템을 추천해준다. 모든 전자 광고 보드는 개개의 소비자 중 잠재 고객을 가려내고 그 사람에게 딱 맞는 소비제안을 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이러한 개인 맞춤형 광고가 등장하면 우선 개개인의 생활수준, 습관, 선호도 등을 통한 마케팅과 홍보가 가능하고 그렇기 때문에 그것이 구매로 이어지기 쉽게 된다. 또 노동자 수의 절감을 통한 생산 비용의 절감을 할 수 있다. 장점에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개인 정보’ 문제이다. 실제로도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도 주인공은 그리드를 피하기 위해 암시장에서 안구 이식수술을 받는다. 또 영화 가타카에서는 타인의 혈액을 빌려 DNA 칩에 의한 보안 검색을 교묘하게 피하기도 한다. 광고에서 그리드가 한번 잘못 입력되면 이는 처음부터 고객 접근을 잘못하게 될 뿐 아니라 기존의 오프라인에서는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자그마한 실수도 엄청난 실수로 변모할 수 있다. 또 데이터가 방대해지면 방대해 질수록 고객 정보를 담당하고 있는 엔지니어가 아무리 많다 하여도 모든 정보를 통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또 개인 정보가 노출되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그리드 컴퓨팅 광고는 기분이 언짢을 수 있다. 이러한 그리드 컴퓨팅 광고의 문제점은 문제가 생기면 스스로 진단하여 고객과 엔지니어들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같이 개발시키고 있다고 한다.
Ⅲ 결론
뉴미디어가 어디까지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생각해 보았다. 사회는 발전하기 마련이고, 따라서 미디어도 발전한다. 뉴미디어는 끊임없이 나올 것이고 그것들은 사람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는 미디어끼리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상생한다. 홈 네트워크는 생채인식과 컴퓨터, 혹은 휴대전화와 같이 기술 발전이 진행되어야 뉴미디어로서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다. 화상 대화 역시 휴대폰과 통신 위성의 발전을 가져 올 것이며, GPS 역시 위성과 휴대전화의 발전 없이는 GPS의 발전은 불가능하다.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기계의 발전과 따로 갈 수 없다.
곧 미디어가 사람을 앞질러 가게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에서 보듯 내가 걷는 동안 수많은 광고가 내 귀를 자극 할 것이고, 내가 어디에 가든, 무엇을 하든 다른 누군가가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내가 미디어를 차단 한다면 내 정보가 아무 곳으로도 가지 않겠지만, 더불어 다른 정보도 하나도 받아 들 일수 없게 된다. 이런 생활에 사람들이 익숙해진다면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 과도기에 있는 사람들은 무작정 받아들이기도 힘들고, 그렇다고 받아들이지 않기도 어려운 현실에 부딪치게 될 것이다. 원치 않는 정보도 받아 들어야 하고, 그 정보를 걸러내는 교육을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뉴미디어를 접하기 위해 들여야 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뉴미디어가 정작 필요한 사람들에게 사용 되지 못하고 또 하나의 빈부격차를 만들어 내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디어는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서 발전 해 왔다. 사람들은 뉴미디어 덕분에 멀리 있는 사람과 더 가까이 지낼 수 있게 되었고 오랜 시간이 걸리던 일을 단시간에 해 낼 수 있게 되었다. 늙은 부모님의 안위도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밖에 나가서 놀고 있는 아이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인신 매매 등의 범죄는 아주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뉴미디어 덕분에 시간,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많아 진 만큼 사람들은 그것들을 잘 사용해서 사회의 발전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 뉴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이 개인 공간이나 시간의 침해를 받게 된다면 뉴미디어의 발전은 무의미할 뿐이다.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단절된 가족 간의 대화가 늘어나고, 지문 인식 등 생체 인식으로 개인 정보의 침해를 최대한 막고, GPS를 통해 사람들의 삶이 발전 되는 유의미한 발전을 가져 왔으면 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올 수많은 뉴미디어들도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사람과 관계없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삶에 필요해서 발전하게 되는 과정을 거쳤으면 한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