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특수 효과 및 그래픽 효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특수 효과 영화의 발자취 - 국내에서 활용사례

2. 국내 영화에서의 CG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의 진단 제작 기술과 제작 환경의 문제
2.1. 감각의 부재, 적당주의적 태도
2.2. PRE-PRODUCTION 단계의 문제
2.3. 선전효과: 무의미한 CG 도입
2.4. 예산상의 문제: 경비절감에 대한 선입견
2.5. 영화 시장의 협소
2.6. 영화 전문 프로덕션의 부재

3.개선 방향에 대해서
3.1.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CG SFX 도입
3.2. 소재의 국제화
3.3. CG SFX 에 대한 이해와 꼼꼼한 후반작업
3.4. 과감한 투자

본문내용

각 2대 이상 구입해서 원하는 영화사에 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만 한다. 또한 영진공은 공동 사용이 가능한 대형 세트장을 만드는 동시에 컴퓨터 그래픽 전문 부서를 신설해서 원하는 영화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그래야 한국영화에도 특수 효과를 마음놓고 쓸수 있을 것이며 세트장 정도로는 한국영화가 부흥할 수 없는 것이다.
이어서 대기업의 과감한 투자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열악한 국내 영화 산업의 상황을 볼 때 대기업의 투자는 필요하다.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시장확보 노하우, 경쟁에 의한 투자 가속화는 국내 영화 산업에 적잖은 보탬이 될 것이라 본다. 실례로 <은행나무 침대>는 모금융회사의 지원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영화인들 자신의 투자다. 영화 전문 프로덕션이 전무한, 혹은 빈약한 상태에서 신경 써야 할 것은 노하우의 축적이다. 어차피 당장 굉장한 CG 영화를 선보일 수 없을 바에야 실패를 거울삼아 나날이 발전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헐리우드영화도 하루아침에 CG SFX를 활용한 것은 아니다. 많은 시행착오와 기존 특수효과간의 조화를 통하여 얻어진 노하우를 익히고 전수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국내 영화에서의 CG 의 활용과 문제점 개선방향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솔직히 서구의 영화에 비해 일천한 역사와(특수효과의 경우 더욱 심하다) 노하우 부족, 영화 제작 시스템 자체의 심각한 비효율성 등의 문제로 여전히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이 현실이다. 쥬라기 공원이 공전의 히트를 쳤을 때 한때 우리나라의 자동차 150만대를 수출한 것과 맞먹는 수익을 벌었다는 말이 있었다. 이 말은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 ‘고작 생각한다는 것이 자동차 팔아먹은 수익과 비교하는 것이냐’ 하는 질타의 소리일 수도 있고, 혹은 ‘영화도 산업이다’라고 인식하는 관심의 소리일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이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영화에서의 CG SFX에 대한 중요한 사항은 계속적인 시도와 끊임없는 투자, 기획이다. 시장의 논리에 의해, 영화생산의 경제성에 의해 CG 는 보편화될 수밖에 없다. 미래를 내다본다면 CG 를 남의 이야기로 듣지 말아야 한다. <구미호>실패 이후 <은행나무침대>에서는 보다 나은 CG 를 선보인 것과 같이 나날이 발전해 가는 한국의 영화 산업을 지켜보자. 그리고, 또한 관심있는 여러분의 동참이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키워드

영화,   특수,   효과,   그래픽,   시각,   디자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