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형, 개벽의 종교적 이상주의와 근대문학의 사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기형, 개벽의 종교적 이상주의와 근대문학의 사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도교의 미디어 정책: 인민성, 근대성, 사회적 헤게모니

2. 󰡔개벽󰡕의 문학: 천도교 인민주의의 선전 회로

3. 󰡔개벽󰡕과 사회주의문학: 지식에서 사상으로, 문학의 위치 전화

4. 천도교와 사회주의의 불화: 󰡔개벽󰡕 이후 천도교 미디어와 사회주의 문학

5. 남는 문제들

본문내용

30년대에 들어와 입문한 이들이 대다수였다. 1930년대 천도교 미디어가 적어도 문학의 영역에서 탈사회주의와 신인의 영입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문학의 영역에서만 그랬던 것은 아니다. 일반 논설의 경우도 상황은 비슷했다. 개벽과는 달리 별건곤, 혜성, 제일선에서 사회주의자들의 기고문은 거의 실리지 않았다.
이것은 확실히 천도교 미디어 집단과 사회주의의 소원해진 관계를 반영하는 현상이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천도교 청년당은 사회주의 세력과 농민 획득 경쟁에 나섰고 천도교 신파 또한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천도교와 사회주의의 전략적 동거는 와해되었다. 그러한 현실 상황은 자연스럽게 미디어 내부에 반영되었다. 천도교는 별건곤, 조선농민, 혜성, 제일선 등을 통해 천도교 미디어의 독자화를 도모했다. 사회주의 세력도 천도교 미디어와의 관계를 단절한 채 조선지광, 신계단, 비판 등 합법적인 미디어 공간을 확보해 나갔다.
5. 남는 문제들
개벽이 폐간(1926)된 이후에도 천도교 측은 개벽이 행사했더너 미디어 권력의 유지를 바랬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사회주의가 배제된 상황에서 개벽의 사회적 헤게모니를 유지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사회주의 또한 자기 세력의 합법적 선전활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었다. 개벽과 천도교라는 거대 종교집단의 배후 지원을 상실함으로써 그들의 합법 공간은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1920년대 후반 조선지광에 나타나는 참혹한 검열의 장면들은 적어도 개벽에서는 있기 어려운 일이었다. 이것은 사회주의 운동에 종교적 차단막이 제거된 결과로 나타난 현상 가운데 하나로 추정된다.
개벽이라는 복잡한 근대 미디어 공간 속에서 생장한 한국의 근대 사회주의 문학이 지녔던 역사적 성격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도모해 나갈 필요가 있다. 개벽이 폐간된 이후 사회주의 문학의 거점은 조선지광으로 이전되었다. 발표 매체의 변화가 사회주의 문학의 표현방식과 존재형태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가설적 판단은 가지고 있지만 아직 해명하지는 못했다. 한국 근대 사회주의문학의 성격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문학 텍스트 내부의 분석만이 아니라 그 텍스트가 서식했던 매체의 특성, 그리고 사회주의문학에 대한 지속적 견제와 허용을 정책적으로 반복했던 식민지 검열체제, 그리고 사회주의 문학에 대한 지식인과 대중의 시선과 그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나갈 필요가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