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전쟁의 발발과 전개
Ⅱ. 한국전쟁의 원인
Ⅲ. 한국전쟁의 책임 문제
Ⅳ. 한국전쟁의 결과와 영향
Ⅱ. 한국전쟁의 원인
Ⅲ. 한국전쟁의 책임 문제
Ⅳ. 한국전쟁의 결과와 영향
본문내용
두에 의해 전개됐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의 학살만을 비판할 경우 그 비판이 갖는 이념적 편향성을 지우기가 어렵다. 북한의 학살사례는 미군·남한의 학살사례를 공격하는 데 대한 반대증거로 제시된다. 북한도 학살했기 때문에 미군·남한의 학살 역시 이해될 수 있고, 정당할 수도 있다는 전제는 시대착오적 논리일 뿐이다. 인권과, 자유, 민주주의의 보편적 관점에서 학살을 비롯, 한국전쟁에 접근해야한다고 했다.
또한 학살 속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인된 전쟁의 후유증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한국전쟁은 잊혀진 전쟁Forgotten War이라고 불리는데, 그중에서도 학살은 잊혀진 전쟁 중에서도 가장 깊숙이 묻혀버린 사건이었다.
민간인 학살만큼이나 끔찍스러운 일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100만명 가량의 희생자가 발생한 이 학살에 대해 우리 사회가 모르는 척하거나 정말로 모른 채 반세기를 보냈다는 점이다. 수십만 명의 죽음을 50년 간 외면해온 우리 사회의 구성원 모두는 학살 그 자체는 아닐지라도 학살 은폐의 방조자가 되었다.
과연 학살은 한국의 사회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노령의 진보적인 어른들은 ‘똑똑한 사람들은 그때 다 죽고, 쭉정이만 남았다’라는 말을 하고, 군사정권 시절 ‘나서지 마라’는 부모들이 대학생이 된 자식들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이었다. 한국사회에 오랜 기간 군사독재가 유지되고, 군사독재가 물러난 뒤에도 반공주의보신주의가 횡행하는 것은 학살의 무덤 위에 한국사회가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또 가족의 생존과 이익을 최고의 가치로 보는 신가족주의나 살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있다는 가치관의 전도 역시 학살이 남긴 상처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학살의 진상을 밝히는 작업은 이렇게 한국사회의 구석구석까지 지배하고 있는 전도된 가치관의 해부와 청산으로 이어져야 한다.
참고
강준만,『한국현대사 산책 - 195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4.
김동춘,『전쟁과 사회 -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2000.
류승렬,『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 현대』, 솔, 2003.
하영선,『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 - 전통주의와 수정주의를 넘어서』사회비평신서7, 나남,1990.
한홍구,『대한민국사 1』, 한겨레신문사, 2004.
김진웅,「冷戰體制下의 韓國戰爭 - 原因에 대한 學說的 接近」, 오주환 外,『革命, 思想, 社會變動』,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1.
또한 학살 속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인된 전쟁의 후유증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한국전쟁은 잊혀진 전쟁Forgotten War이라고 불리는데, 그중에서도 학살은 잊혀진 전쟁 중에서도 가장 깊숙이 묻혀버린 사건이었다.
민간인 학살만큼이나 끔찍스러운 일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100만명 가량의 희생자가 발생한 이 학살에 대해 우리 사회가 모르는 척하거나 정말로 모른 채 반세기를 보냈다는 점이다. 수십만 명의 죽음을 50년 간 외면해온 우리 사회의 구성원 모두는 학살 그 자체는 아닐지라도 학살 은폐의 방조자가 되었다.
과연 학살은 한국의 사회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노령의 진보적인 어른들은 ‘똑똑한 사람들은 그때 다 죽고, 쭉정이만 남았다’라는 말을 하고, 군사정권 시절 ‘나서지 마라’는 부모들이 대학생이 된 자식들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이었다. 한국사회에 오랜 기간 군사독재가 유지되고, 군사독재가 물러난 뒤에도 반공주의보신주의가 횡행하는 것은 학살의 무덤 위에 한국사회가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또 가족의 생존과 이익을 최고의 가치로 보는 신가족주의나 살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있다는 가치관의 전도 역시 학살이 남긴 상처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학살의 진상을 밝히는 작업은 이렇게 한국사회의 구석구석까지 지배하고 있는 전도된 가치관의 해부와 청산으로 이어져야 한다.
참고
강준만,『한국현대사 산책 - 195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4.
김동춘,『전쟁과 사회 -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2000.
류승렬,『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 현대』, 솔, 2003.
하영선,『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 - 전통주의와 수정주의를 넘어서』사회비평신서7, 나남,1990.
한홍구,『대한민국사 1』, 한겨레신문사, 2004.
김진웅,「冷戰體制下의 韓國戰爭 - 原因에 대한 學說的 接近」, 오주환 外,『革命, 思想, 社會變動』,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1.
추천자료
한국전쟁
학교 폭력 '왕따'에 대하여
한국전쟁 이후 학생 은어 비교
한국전쟁시 한강교 폭파에 대하여
[현대사회의과제]한국전쟁 후 통일사상의 전개와 민족공동체의 모색
한국 근현대사 역사, 근대의 시작, 3.1운동, 항일 투쟁, 일본 제국주의, 해방, 좌우 갈등, 한...
한국전쟁상황
[경제사A+] 1950년대 한국 경제상황 고찰(정부수립 이후의 경제, 한국전쟁,경제부흥계획대충...
6.25 한국전쟁의 기원
2018년 1학기 사회문제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 삶)
한국역사속의전쟁 - 고려와 거란여진과의 전쟁-
한국역사속의전쟁 - 매소성 전투(삼국통일 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