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질병과 전쟁
1. 질병과 전쟁
2. 질병과 전쟁
2. 1. 고대 전쟁에서의 질병
2. 2. 중세시기 전쟁과 질병
2. 3. 식민지 전쟁에서의 질병
2. 4. 나폴레옹의 전쟁과 질병 그리고 의학의 발전
2. 5. 식민지 전쟁과 질병
3. 의도하지 않았던 질병에서 의도한 질명으로
1. 질병과 전쟁
2. 질병과 전쟁
2. 1. 고대 전쟁에서의 질병
2. 2. 중세시기 전쟁과 질병
2. 3. 식민지 전쟁에서의 질병
2. 4. 나폴레옹의 전쟁과 질병 그리고 의학의 발전
2. 5. 식민지 전쟁과 질병
3. 의도하지 않았던 질병에서 의도한 질명으로
본문내용
발병자 수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리드’의 뒤를 이어 ‘고거스’가 황열 퇴치에 공헌했다. 또한 ‘고거스’와 함께 활동했던 적이 있는 간호사 ‘마스’도 황열 퇴치에 공헌했다. 그녀는 예방 접종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에 참가하다 사망했다. 이처럼 황열이 억제되자 미국은 파나마 운하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제국주의 황열을 퇴치하면서 식민지를 넓혀 갔다.
1957년 ‘테일러’에 의해 황열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황열은 여전히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황열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기에 모기 퇴치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온난화로 인해 모기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은 더 많아졌다.
3. 의도하지 않았던 질병에서 의도한 질명으로
인류 역사를 살펴보면 전염병은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 이것은 ‘출애굽기’에서 이집트 인들에게만 전염되었던 질병이나 ‘사무엘 전서’에서 ‘블레셋 인’들에게만 질병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은 이것을 의도적으로 이용하기도 했는데, 영국군이 ‘카리용’ 요새를 공격했던 방법이다. 의도하지 않은 질병이 전쟁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경험은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의도한 질병이 될 수 있었다. 바로 생물학 무기이다. 제국주의 일본 군대의 731부대가 생물학 무기 개발에 몰두한 것도 질병이 전쟁의 판도를 한 번에 바꿀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행위는 인류의 멸망이다. ‘카를 폰 클아우제비츠’는 그의 ‘전쟁론’이라는 책에서 전쟁은 개인이나 집단의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 적을 강요하는 폭력행동”이라고 했다. 하지만 질병을 이용한 전쟁은 ‘적’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폭력이다.
1957년 ‘테일러’에 의해 황열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황열은 여전히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황열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기에 모기 퇴치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온난화로 인해 모기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은 더 많아졌다.
3. 의도하지 않았던 질병에서 의도한 질명으로
인류 역사를 살펴보면 전염병은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 이것은 ‘출애굽기’에서 이집트 인들에게만 전염되었던 질병이나 ‘사무엘 전서’에서 ‘블레셋 인’들에게만 질병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은 이것을 의도적으로 이용하기도 했는데, 영국군이 ‘카리용’ 요새를 공격했던 방법이다. 의도하지 않은 질병이 전쟁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경험은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의도한 질병이 될 수 있었다. 바로 생물학 무기이다. 제국주의 일본 군대의 731부대가 생물학 무기 개발에 몰두한 것도 질병이 전쟁의 판도를 한 번에 바꿀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행위는 인류의 멸망이다. ‘카를 폰 클아우제비츠’는 그의 ‘전쟁론’이라는 책에서 전쟁은 개인이나 집단의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 적을 강요하는 폭력행동”이라고 했다. 하지만 질병을 이용한 전쟁은 ‘적’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폭력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