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더니즘 발생 배경
2. <시의 모더니티(1933.「예술」)>
3.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9.「인문평론」)>
2. <시의 모더니티(1933.「예술」)>
3.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1939.「인문평론」)>
본문내용
문제의식은 문학사 속에서 리얼리즘만이 아닌, 모더니즘의 실천성을 논의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정리하여 말하자면, 전체시론은 문학사적으로 20년대 카프가 이룩한 리얼리즘의 ‘내용’, 즉 ‘현실’ 삶에 대한 존중과 모더니즘이 추구한 문학의 자율성을 통합시킨 창작방법론으로 30년대 후반 열악한 식민지 근대에 대응하려는 문학 주체의 실천적인 양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모더니즘 비평가였던 김기림은 모더니즘이 근대사회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문학론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근대사회 속에서 문학이라는 영역이 자율성을 가진 독자적 영역이고 도 문학은 그만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사회에 대응해야 한다는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더니즘이 자신의 자율성을 강조하다보면 기술과 기교에 치우치게 되고 공소해 질 수 있기 때문에 김기림은 이를 경계하는 한편 모더니즘이 역사적으로 변화하면서 그 사회성을 표현해야 함을 강조하는데 이런 인식의 결과물이 바로 전체시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김기림의 이런 변화는 30년대 후반 모더니즘의 위치기 중요한 쟁점이었음을 알게 해준다. 김진희, 「김기림의 전체시론과 모더니즘의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5, p. 28.
<참고문헌>
김기림, 《김기림의 시론》, 앞선책, 1994.
김유중, 《김기림》, 세계사, 1996.
한상규, 「김기림 문학론과 근대성 기획-<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일지사, 1994.
김진희, 「김기림의 전체시론과 모더니즘의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5.
정리하여 말하자면, 전체시론은 문학사적으로 20년대 카프가 이룩한 리얼리즘의 ‘내용’, 즉 ‘현실’ 삶에 대한 존중과 모더니즘이 추구한 문학의 자율성을 통합시킨 창작방법론으로 30년대 후반 열악한 식민지 근대에 대응하려는 문학 주체의 실천적인 양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모더니즘 비평가였던 김기림은 모더니즘이 근대사회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문학론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근대사회 속에서 문학이라는 영역이 자율성을 가진 독자적 영역이고 도 문학은 그만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사회에 대응해야 한다는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더니즘이 자신의 자율성을 강조하다보면 기술과 기교에 치우치게 되고 공소해 질 수 있기 때문에 김기림은 이를 경계하는 한편 모더니즘이 역사적으로 변화하면서 그 사회성을 표현해야 함을 강조하는데 이런 인식의 결과물이 바로 전체시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김기림의 이런 변화는 30년대 후반 모더니즘의 위치기 중요한 쟁점이었음을 알게 해준다. 김진희, 「김기림의 전체시론과 모더니즘의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5, p. 28.
<참고문헌>
김기림, 《김기림의 시론》, 앞선책, 1994.
김유중, 《김기림》, 세계사, 1996.
한상규, 「김기림 문학론과 근대성 기획-<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일지사, 1994.
김진희, 「김기림의 전체시론과 모더니즘의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