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업개요
2. 사업계획서
3.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Vincenzi & Grabosky)
4.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5.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조사
2. 사업계획서
3.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Vincenzi & Grabosky)
4.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5.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조사
본문내용
군청
0 0 방면
0 0 방면
0 0 소방서
0 0 노인종합복지관
0 0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Vincenzi & Grabosky)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ESLI)는 1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회적 관점과 정서적 관점에서의 고립과 소외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15문항은 개인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인식과 그것에 대한 감정을 대비시키도록 한 paired format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ESLI는 4가지 요인들- 사회적 고립감(1~8번 문항, 첫 번째 질문 set), 정서적 고립감(1~8번 문항, 두 번째 질문 set)을 구분하고, 사회적 소외감(9~15번 문항, 첫 번째 질문 set)과 정서적인 소외감(9~15번 문항, 두 번째 질문 set)으로 구성되어 있다. ESLI는 연구자와 임상가로 하여금 사회적 및 정서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활용될 수 있다.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
(Emotional/ 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ESLI)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때때로 그렇다. ③ 자주 그렇다. ④ 항상 그렇다.
1-1. 나에겐 친한 친구가 없다.
1-2. 나에겐 친한 친구가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2-1. 다른 사람들은 나와의 관계에서 나를 이용한다.
2-2. 나는 다른 사람을 믿는 것이 두렵다.
3-1. 나에겐 이성친구(여자/남자)가 없다.
3-2. 나는 이성친구(여자/남자)가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4-1. 내 문제로 다른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
4-2. 나와 가까운 사람들에게 나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그들은 부담스러워 한다.
5-1. 나를 의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5-2.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필요하거나 중요한 존재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6-1. 나의 개인적인 생각들을 나눌 만큼 친한 사람이 없다.
6-2. 나의 개인적인 생각들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7-1. 나에게는 날 이해해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없다.
7-2. 나는 이해 받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8-1. 내 삶 속에서 나와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다.
8-2. 나는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이 편안하지 않다.
9-1. 나는 많은 시간을 혼자 보낸다.
9-2. 나는 외로움을 느낀다.
10-1. 나는 사회집단이나 조직의 일부가 아니다.
10-2. 나는 내가 사회집단이나 조직의 일부라고 느끼지 않는다.
11-1. 나는 오늘 누구와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11-2. 나는 오늘 어느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았다고 느낀다.
12-1. 나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 할 공통화제가 별로 없다.
12-2. 나는 사람들과 이야기 할 것이 별로 없다고 느껴진다.
13-1.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내 자신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하지 않는다.
13-2.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내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14-1. 나는 사회적인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
14-2.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 있을 때 부끄러움을 느낀다.
15-1. 사람들은 나를 흥미있는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
15-2. 나는 내가 흥미있는 사람이라고 느끼지 않는다.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1) 척도소개
- 생활만족도는 ‘과거 및 현재의 삶과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미래의 삶과 활동의 전반적인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정도’라고 정의한다.
(2) 척도의 출처
-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다음에는 지나온 인생과 현재 및 미래의 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의 말이 있습니다. 그 말이 선생님 자신에게도 그렇게 생각되면 ‘그렇다’로, 그렇게 생각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로, 잘 모르겠으면 ‘잘 모르겠다’로 대답해 주십시오.
범주 : 그렇다(긍정문항 2개, 역문항 0점), 그렇지 않다(긍정문항 0점, 역문항 2점), 잘 모르겠다(긍정, 부정문항 모두 1점)
1. 지난 평생을 돌아볼 때 후회할 일이 별로 없다.
2. 나의 지난 평생은 성공적인 편이었다.
3.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다복한 편이었다.
4. 나는 내 동갑내기들보다 어리석은 판단을 많이 내린 편이다.
5. 내가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면 이루어 놓은 게 별로 없다.
6. 나의 지난 평생은 힘들고 괴로워서 생각하기도 싫다.
7. 요즘은 나는 살맛이 난다.
8. 나이를 먹어가면서 보니 세상사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좋게 느껴진다.
9. 요즘이 내 인생에 있어서 가장 즐거운 때이다.
10. 나는 현재의 생활방식에 만족한다.
11. 매일매일의 생활이 따분하고 지루하다.
12. 요즘은 나는 매사가 짜증스럽고 귀찮다.
13. 요즘은 기쁜 일보다는 슬픈 일이 더 많다.
14. 요즘은 화나는 일만 점점 더 많아진다.
15. 나는 오래오래 살고 싶다.
16. 앞으로 살아가는 데 희망이 있다.
17. 앞으로 내 주위에 재미있고 즐거운 일이 많이 생길 것 같다.
18. 앞으로 내가 할 만한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19. 나는 가치 있는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것이다.
20. 더 이상 나이 먹는 것보다는 죽는 편이 낫다.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조사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프로그램 진행기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원했던 도움을 받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이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동안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가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구성원들과 상호협력 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여러 프로그램을 참여함으로써 정서적 안정을 찾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의 현재의 모습을 재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유사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다른 사람에게도 이 프로그램의 참여를 요구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참여하는 동안 프로그램의 구성 및 서비스내용에 만족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0 0 방면
0 0 방면
0 0 소방서
0 0 노인종합복지관
0 0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Vincenzi & Grabosky)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ESLI)는 1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회적 관점과 정서적 관점에서의 고립과 소외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15문항은 개인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인식과 그것에 대한 감정을 대비시키도록 한 paired format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ESLI는 4가지 요인들- 사회적 고립감(1~8번 문항, 첫 번째 질문 set), 정서적 고립감(1~8번 문항, 두 번째 질문 set)을 구분하고, 사회적 소외감(9~15번 문항, 첫 번째 질문 set)과 정서적인 소외감(9~15번 문항, 두 번째 질문 set)으로 구성되어 있다. ESLI는 연구자와 임상가로 하여금 사회적 및 정서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활용될 수 있다.
정서적 및 사회적 고립 척도
(Emotional/ 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ESLI)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때때로 그렇다. ③ 자주 그렇다. ④ 항상 그렇다.
1-1. 나에겐 친한 친구가 없다.
1-2. 나에겐 친한 친구가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2-1. 다른 사람들은 나와의 관계에서 나를 이용한다.
2-2. 나는 다른 사람을 믿는 것이 두렵다.
3-1. 나에겐 이성친구(여자/남자)가 없다.
3-2. 나는 이성친구(여자/남자)가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4-1. 내 문제로 다른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
4-2. 나와 가까운 사람들에게 나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그들은 부담스러워 한다.
5-1. 나를 의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5-2.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필요하거나 중요한 존재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6-1. 나의 개인적인 생각들을 나눌 만큼 친한 사람이 없다.
6-2. 나의 개인적인 생각들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7-1. 나에게는 날 이해해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없다.
7-2. 나는 이해 받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8-1. 내 삶 속에서 나와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다.
8-2. 나는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이 편안하지 않다.
9-1. 나는 많은 시간을 혼자 보낸다.
9-2. 나는 외로움을 느낀다.
10-1. 나는 사회집단이나 조직의 일부가 아니다.
10-2. 나는 내가 사회집단이나 조직의 일부라고 느끼지 않는다.
11-1. 나는 오늘 누구와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11-2. 나는 오늘 어느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았다고 느낀다.
12-1. 나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 할 공통화제가 별로 없다.
12-2. 나는 사람들과 이야기 할 것이 별로 없다고 느껴진다.
13-1.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내 자신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하지 않는다.
13-2.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내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14-1. 나는 사회적인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
14-2.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 있을 때 부끄러움을 느낀다.
15-1. 사람들은 나를 흥미있는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
15-2. 나는 내가 흥미있는 사람이라고 느끼지 않는다.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1) 척도소개
- 생활만족도는 ‘과거 및 현재의 삶과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미래의 삶과 활동의 전반적인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정도’라고 정의한다.
(2) 척도의 출처
-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다음에는 지나온 인생과 현재 및 미래의 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의 말이 있습니다. 그 말이 선생님 자신에게도 그렇게 생각되면 ‘그렇다’로, 그렇게 생각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로, 잘 모르겠으면 ‘잘 모르겠다’로 대답해 주십시오.
범주 : 그렇다(긍정문항 2개, 역문항 0점), 그렇지 않다(긍정문항 0점, 역문항 2점), 잘 모르겠다(긍정, 부정문항 모두 1점)
1. 지난 평생을 돌아볼 때 후회할 일이 별로 없다.
2. 나의 지난 평생은 성공적인 편이었다.
3.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다복한 편이었다.
4. 나는 내 동갑내기들보다 어리석은 판단을 많이 내린 편이다.
5. 내가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면 이루어 놓은 게 별로 없다.
6. 나의 지난 평생은 힘들고 괴로워서 생각하기도 싫다.
7. 요즘은 나는 살맛이 난다.
8. 나이를 먹어가면서 보니 세상사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좋게 느껴진다.
9. 요즘이 내 인생에 있어서 가장 즐거운 때이다.
10. 나는 현재의 생활방식에 만족한다.
11. 매일매일의 생활이 따분하고 지루하다.
12. 요즘은 나는 매사가 짜증스럽고 귀찮다.
13. 요즘은 기쁜 일보다는 슬픈 일이 더 많다.
14. 요즘은 화나는 일만 점점 더 많아진다.
15. 나는 오래오래 살고 싶다.
16. 앞으로 살아가는 데 희망이 있다.
17. 앞으로 내 주위에 재미있고 즐거운 일이 많이 생길 것 같다.
18. 앞으로 내가 할 만한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19. 나는 가치 있는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것이다.
20. 더 이상 나이 먹는 것보다는 죽는 편이 낫다.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조사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프로그램 진행기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원했던 도움을 받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이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동안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가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구성원들과 상호협력 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여러 프로그램을 참여함으로써 정서적 안정을 찾았다.
①
②
③
④
⑤
나의 현재의 모습을 재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유사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다른 사람에게도 이 프로그램의 참여를 요구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참여하는 동안 프로그램의 구성 및 서비스내용에 만족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평가]독일 숲유치원이란? 독일의 숲유치원 프로그램에 대하여(독일 숲...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혼합연령프로그램의장단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 현장에서 다문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영유아 프로그램의 각 흥미영역 구성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라 -...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인 카미 드브리스(Kami-Dervies)프로그램을 설명하시오. 1. 이론적 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향후 개발되어야 할 보육프로그램 유형으로서는 어떠한 것이 있...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근거한 통합프로그램을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개발된 영유아보육프로그램들 중 현 시대적 요구와 가장 부합된다고 생...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