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의 언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디오의 언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라디오란?
우리나라 라디오 방송의 역사
라디오 방송의 원리
라디오의 특성
라디오의 커뮤니케이션
방송사별 라디오 채널
라디오 편성현황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대별 분위기 변화>
시간대별 프로그램의 특징
라디오의 광고

본문내용

0~30대 관심사인 사랑, 연애 등 흥미위주의 사연 및 프로그램으로 구성
<광고>
- 통신, 자동차, 증권, 주택, 자동차 보험 (20~30대 타켓)
- 아이스크림, 학습지, 두타쇼핑몰, 찹쌀죽 먹거리 소개 (10대 타켓 광고)
광고를 통해서도 주 청취자 층을 알 수 있음 (10대부터 20~30대를 아우름)
<신해철의 고스트네이션> 심야 1:00~3:00 / 진행 : 신해철 / 연출 : 남태정
진행형태
※ 사연소개가 주를 이루는 1부를 중심으로 분석
전체적인 포멧은 10대 일부에서 20~30대까지의 매니아들을 위한 심야의 컬트 프로그램
극히 주관적인 진행과 구성
1부의 토크 파트와 2부의 락 음악 전문 파트로 나뉨
<오프닝 음악> -신해철의 자작 로고송
We are the children of darkness. we're friends of moon and star. you're one of us.
welcome~welcome~welcome~
우리는 어둠의 자식. 달과 별은 우리친구. 너도 식구다. 방가방가~
<오프닝> 멘트 없이 곧바로 사연을 읽음
틀의 관습(P 223)을 벗어난 타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고정적인 청취대상)
<1부 사연소개>
- 게시판에 올라온 청취자들의 의견 내지는 반론들을 소개하며 시작(221쪽 넷째)
- 소개가 끝나면 약간은 현학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와 환담이 이어짐.
- 내용은 대부분 사회정치문화일반(ex>사회적 폭력, 여성인권, 전쟁, 정치...)이나 혹은 가끔 일상(ex>술,
담배, 음악...) 내지는 성과 같은 가십거리에 대한 진행자의 주관적인 시선 내지는 주장 표출
- 방송이라는 느낌이 거의 들지 않는 말투. 매우 단순한 형태의 방송을 추구함으로서 코너와 같은 오락서비스
의 개념보다는 1:1매체 느낌의 원맨 토크쇼의 개념이 적절.(단지 진행자의 말만이 줄기차게 흘러나옴)
- 고정청자들을 위한 어휘 사용 (마녀, 좀비, 고스, 버섯순이, 마왕…)
- 일상어, 구두어의 사용. 때로는 욕설, 때로는 고차원적인 지식을 강연하는 듯한 극단적인 말투의 공존.
- 합니까? 합니다. 하겠죠. 하십시오. 그렇잖습니까? 등과 같이 정작 진행자 본인은 까 나 다 체를 사용
하므로써 이성적이고 토론적인 어투 사용
(농담하는 분위기로 흐를 때는 그렇지 않음, 특히 게스트가 왔을 때 - 이 프로그램은 원래 게스트를 초청하
지 않음)
- 전반부는 토크를 위주로 진행되며 일정정도의 오락성도 포함하지만 주된 요소는 진행자 개인의 주관표명에
따른 청취자들의 컬트적인 집단 의사 표명에 가까운 양상을 띤다.
<2부 코너진행>
- 게스트들과 함께 함.(사설방송의 냄새가 사라짐)
- 진행은 매우 오락적으로 진행됨.
- 음악은 모두 쉽게 접할 수 없는 매니아적인 락 음악으로만 방송.(전문성 혹은 비대중성의 극단적 표현)
- 구어체, 특히 개그 멘트나 가벼운 욕설의 증폭.
- 청취자와 직접대면 양상을 띠는 1부와는 달리 방송영역이 스테이션 내부로 한정됨.
* 음악은 국내외 인디락 계열을 주로 소개.
1. Third eye blind- Blinded
2. Audioslave- What you are
3. 피터팬컴플렉스- You know I love you
4. 럼블피쉬- T.O.P
5. Offspring- Hit that
<광고>
CF ost모음 컴필레이션 음반 광고(음악 프로그램으로서의 정체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삼성의 기업이미지광고(구매력 있는 2-30대 청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들)
라디오의 광고
1. 라디오 광고의 특징
- 보통 CM에 의해 전달되며 실내외를 막론하고 전파가 가는 곳이면 어디서든지 들을 수 있음
- 특히 젊은층과 운전자들에게 효과가 큼
- 청각에 의존하므로 TV광고에 비해 청각적 효과가 많음
(TV에서 이미지 위주로 표현되는 광고를 라디오에서 말이나 소리위주로 표현함)
2. 장단점
1) 장점
① 메시지의 빈도수가 높으며 신속한 전달 광고에 적합(브랜드명 반복)
② CM송으로 친숙한 느낌
③ 다른 일을 하면서도 들을 수 있음(병행성)
④ 순발력이 있으며 개인적 소구력이 강하다
⑤ 방송 시작 전, 후에 또는 프로그램 중간에 넣을 수 있으므로 효과가 큼
- 토막광고(방송이 쉬는 시간에 방송되는 광고)
- 프로그램 광고(프로그램 후원자로서 참여하는 광고)
- 시보 광고(시간을 알릴 때 고지하는 광고)
2) 단점
① 청각에만 의존
② 청취자가 임의로 의미를 혼동할 수 있다.
③ 많은 사람에게 한꺼번에 전달할 수 없다.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1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