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종교(宗敎)란 무엇인가?
II. 종교의 파(派)
1. 기독교
2. 불교
3. 유교
III. 정리: 유교는 종교인가?
II. 종교의 파(派)
1. 기독교
2. 불교
3. 유교
III. 정리: 유교는 종교인가?
본문내용
앞서 달려갑니까? 무엇이 생사를 일으켜 무엇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까?” 애착과 욕심이 중생을 낳았고 마음이 앞서 달려가나니 생이 생사를 일으켰고 괴로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잡아함경』 “인간 세상은 하늘의 좋은 곳. 좋은 친구는 좋은 이익이 되며, 집을 떠나는 것 좋은 업이 되어, 번뇌가 다해 번뇌 없게 되느니라. 모든 불세존은 모두 인간세상에서 나왔고 하늘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다.” 『증일아함경』 문수사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무슨 인연으로 모든 중생들이 허망한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알지 못하며 깨닫지 못합니까?"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아견을 가진 중생이 허망한 윤회를 받는 것이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무시 이래로 계교와 집착을 일으켜서 남과 나를 분별하기 때문이다. 또 어리석은 중생이 허망한 윤회를 받는 것이니, 왜 그런가 하면 어리석은 중생은 최상의 적정법(寂靜法)을 듣지 못하고 알지 못해서 삼업(三業)을 경계하여 깨치지 못하고, 몸과 입과 뜻을 방자하게 하여 뭇번뇌로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은 업을 짓는 까닭이다." 『문수사리문법경』 “어리석은 사람은 세속법의 이름과 모습에 계착하여 마음이 따라 흘러서 흩어지며, 흩어지고 난 후 온갖 모습과 형상을 보므로 나[我]와 내 것[我所]이라는 견해에 치우치며, 희망하며 묘한 물질[妙色]에 계착한다. 계착하고 나면 무지(無知)가 덮여서 염착이 생기고, 염착하고 나면 탐욕과 성냄으로 지은 업이 쌓이고, 쌓이고 나면 망상에 스스로 얽히니 마치 누에가 고치를 짓는 것과 같다. 생사의 바다와 온갖 갈래[趣]의 광야에 떨어지는 것이 마치 우물의 도르래와 같다. 『능가아발다라보경』 *해탈: 미륵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부처님! 보살과 미래 중생이 여래의 큰 열반의 바다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윤회의 근원을 끊으며, 윤회에는 어떠한 원인이 있습니까? 그리고 보리를 닦는 데에는 몇가지 차별이 있으며, 어지러운 세상에 돌아와 중생을 교화하는 데는 어떤 방편을 써야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모든 중생에게는 시작 없는 옛적부터 갖가지 은애와 애정과 탐심과 음욕이 있기 때문에 생사에 윤회하는 것이다. 중생들은 음욕으로 인해 각자의 성품과 생명을 타고 나는 것이니, 윤회의 근원이 애욕(愛慾)임을 명심해야 한다. 음욕이 애정을 일으켜 생사가 계속되는 것이니, 음욕은 사랑에서 오고, 생명은 음욕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중생이 다시 생명을 사랑하여 드디어 음욕을 의지하니, 음욕을 사랑함이 원인이 되고, 생명을 사랑함이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음욕으로 인하여 마음에 들거나 싫은 것이 생기며, 그 대상이 사랑하는 마음을 거스르면 그만 미움과 질투를 내어 갖가지 업을 짓는다. 여기서 지옥과 아귀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생이 생사의 윤회를 면하려면 먼저 탐욕을 끊고 애정의 갈증을 없애야 한다. 보살이 몸을 빌어 세간에 나타나는 것은 애정의 원인이 되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자비(慈悲)로써 중생을 건지고자 방편으로 탐욕을 빌어 생사에 들어온 것이다. 만약 중생들이 욕심을 버리고 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없애며, 윤회를 끊기 위하여 부지런히 여래의 원각경지를 구한다면 깨끗한 마음에서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원각경』 “모든 선(善)을 사랑하기를 마땅히 아버지처럼 또한 어머니처럼 해야 할 것이니, 아름다운 선은 몸이 편안하고 능히 싸움과 다툼을 없애며, 아름다운 선은 인천(人天)이 기뻐하고, 선은 부지런하고 용기를 더하며, 선에는 권속이 많고 선은 삼도를 떠나며, 선은 모든 악을 그치게 하고, 선은 번뇌를 여의게 하는 것이니, 마땅히 말의 허물을 버리고 모든 선을 닦아야 할 것이다.”『묘법성염처경』
추천자료
과학의 역사
[신학][과학][교회론][과학 본질][과학기술문화]신학과 과학(신학, 교회론, 예정론, 성경, 과...
고려시대 유교와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
사회과학,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학문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맑스주의
신인문주의_페스탈로치
귀신신앙의 발전과 유교적 내세관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인문주의 교육의 분류, 인문주의 교육의 내용과 영향, 인문주의 교육...
일반계고등학교(인문계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법적 근거와 지침, 일반계고등학교(인문...
제5강_3장_근대_과학의_성립
과학 기술과 환경 문제 [심층생태론, 과학기술낙관론, 사회생태론]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다윈주의
[막스 베버]막스 베버의 연구가능주제, 막스 베버의 정치지도자론, 막스 베버의 인간행위, 막...
과학혁명에 대하여
[유학사상] 계몽의 빛 유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