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강_3장_근대_과학의_성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용한다는 법칙.
(여기서 =만유인력상수, 과 은 질량, 은 거리이다)
고대 이래로 신성한 하늘의 별들과 비천한 땅에서의 모든 물체들은 동일한 수학공식의 지배를 받게됨으로써 근대역학 혁명은 그 토대가 완성.
오늘날 우리는 고전장론은 퍼텐셜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데 가속도의 3차원적인 표현으로서 중력장과 전자기장이론의 토대가 바로 뉴턴의 만유인력론에서 나온 것이다. 이후에 18세기와 19세기의 수학의 대가들, 오일러, 라그랑즈, 달랑베르, 라플라스, 가우스 등은 뉴턴의 후배라고 볼 수 있으며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그들의 수리물리 체계를 형성했는데, 여기서 뉴턴의 법칙은 언제나 같은 뿌리였던 것이다. 이후 수학의 발전은 거리함수 로만 표현이 가능하여 함수공간이라는 개념이 나와서 함수해석이라는 한 분야를 낳았다.
쿨롱(Charles Augustin de Coulomb, 1756~1806): 뉴턴의 만유인력모델을 사용하여 전기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쿨롱의 공식.
몇 년, 몇 월, 몇 시, 몇 분에 어느 행성의 위치가 어디에 있을 것인지를 예견하는 것이 가능하여 18세기에 뉴턴의 위상은 신적인 존재로 부각.
계몽사조
계몽사조(Enlightenment): 인간에 의한 자연의 정복가능성은 산업혁명과 더불어 서구에서 기계론적 사상과 사조에 대한 존경심이 자리 굳힘에 절대적. 18세기의 유럽사상의 주류를 형성. 최초의 근대사상.
1) 무지몽매한 시민을 계몽해야될 뿐만이 아니라 계몽주의자 자신이 이를 앞에서 선도해 나가야만 된다는 것.
2) 과학과 기술분야에서의 성공을 정치, 경제, 문화 등까지 같은 모델을 취해서 넓혀 나가야 된다는 것.
3) 독단적, 철학적, 전제주의적, 형이상학적인 것들을 합리적, 이성적, 과학적, 경험적인 것들로 대치시켜야 된다는 것.
뉴턴주의자이었던 영국의 로크(J. Locke, 1632-1704)와 프랑스의 볼테르(F.M.A de Voltaire, 1694~1778) 등이 대표적인 인물. 프랑스에서는 백과전서파들이 이 운동의 주동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이들은 수학을 비롯한 과학의 지식에 조예가 깊었던 것이 특징.
이러한 기계적인 사상을 밑바탕에 둔 계몽사조는 지나친 사회의 수학화가 냉혹함과 무미 건조함을 준다고 하여 이를 비판하는 사조가 등장. 낭만주의(Romanticism)라 불리는 이 사조는 지나친 기계적 사고와 수학적 인간을 메마르게 한다고 하여, 여기에 반동으로 생겨난 것.

키워드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1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