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학기행 -심훈(沈熏)-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문학기행 -심훈(沈熏)-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표 요약문........................................................1
2. 생 애............................................................ 1
 1) 연보........................................................... 1
 2) 일화 및 특이사항................................................. 2
 3) 참고 도서...................................................... 2
3. 일반적 평가.......................................................2
 1) 작가 소개...................................................... 2
 2) 대표작에 대한 기존의 평가......................................... 2
 3) 대표작 감상..................................................... 2
 4) 참고 도서...................................................... 3
4. 대표작 분석 및 이해................................................4
 1) 대표작 선정 이유................................................ 4
 2) 대표작 내용 소개................................................ 4
 3) 대표작의 특징................................................... 4
 4) 대표작에 대한 평가............................................... 4
 5) 작가에 대한 평가................................................. 5
5. 답사 과정 소개..................................................... 6
 1) 답사 과정....................................................... 6
6. 관련 자료 소개.................................................... 6
7. 관련 사이트 및 참고 문헌............................................ 7

본문내용

훗날 발표된 <동방의 애인>이라든지 <불사조>등은 당시의 생활을 소재로 한 것이다. 1923년 귀국 후 "염군사" 연극부에 가담하기도 하고 신극 연극단체인 "극문회"를 조직하였다. 카프(KARF)의 발기인으로 참여했다가 그 이듬해에는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
- 1925년 영화 <장한몽>에 이수일 역의 후반부를 대역하면서 처음 영화와 인연을 맺었고 이후에 영화에 몰두하게 되었다. 1926년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 소설인 <탈춤>을 연재하였고, 일본으로 건너가 정식으로 영화를 공부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영화 <먼동이 틀 때>를 원작·각색·감독하여 단성사에서 개봉하는 등 영화에 대한 열정을 나타냈다.
- 1932년 고향 충남 당진으로의 낙향과 더불어 소설 집필에 전념한 결과 <영원의 미소>(1933),<직녀성>(1934), 그리고 <상록수>(1935)등 세 장편을 내놓았다. 특히 이기간 동안 그는 실제 농촌에 살면서 농민의 삶을 접하고 또한 당시 그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공동경작회' 회원들과 교류하면서 우리 근대문학의 대표적인 농민소설로 손꼽히는 <영원의 미소>와 <상록수> 를 썼다.
- 심훈이 작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은 <상록수>에서이다. 1935년 <동아일보> 장편 현상 모집 당선작인『상록수』는, 브나로드 운동의 시범작으로 발표된 이광수의 <흙>의 시혜(施惠)적 태도를 뛰어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실제 인물을 모델로 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문제작이다.
- 당시의 현실이 칠흙 같은 암흑세계로 뒤덮히고 현실적인 출구가 봉쇄된 상황을 비관하여 통속소설이 만연하는 풍조속에서 이런 주류에 편승할수도 있었지만 심훈은 결코 저속한 통속소설로만 낙착되지 않는 경건한 항일정신과 민족의식의 작품화를 기도했다.
5. 답사 과정 소개
1) 답사 과정
① 심훈 작품 활동 장소
- 위치 : 충남 당진군 송악면 부곡리 251-12
- 답사 내용
2007년 4월28일 오전11시에 수원 터미널에서 조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11시50분차를 타고 당진으로 향했다. 다행히 당진 터미널에서 필경사까지 가는 시내버스가 있어서 2시간여를 기다린 끝에 버스를 타고 필경사에 도착했다. 필경사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었고 심훈(沈熏)의 문학 산실(産室)이었던 집으로, 대지 661㎡에 건평 62㎡(18.7평)인 팔작지붕의 목조집이고, 심훈이 1932년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당진으로 내려와 이 집을 직접 설계하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필경사 기념관으로 가보니 안에 있던 직원이 심훈 선생의 일생을 담은 영상물을 보여줬고 다 본 후에 동영상과 사진을 촬영했다. 동영상 촬영중 필경사 옆집에서 오랫동안 사셨다는 할머님으로부터 필경사에 대한 이야기와 옛날 일들을 들을 수 있었다. 필경사 정원이 공사중이었던 관계로 촬영이 약간은 제한적이었지만 그 가운데서 나름대로 촬영을 끝 마칠 수 있었다. 필경사는 상당히 시골이었던 관계로 버스의 시간간격이 길었는데 다행스럽게도 막차를 타고 당진 터미널로 올 수 있었다. 당진에서 버스를 타고 수원에 도착하니 밤 10시를 막 넘긴 시간이었고 그것으로 필경사 답사는 끝이 났다.
② ‘상록수’ 관련 장소
- 위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3동 상록수 공원
- 답사 내용
2007년 5월 5일 필경사 답사에 참여가지 않은 다른 조원들이 경기도 안산시에 위차하고 있는 상록수 공원을 답사했다. 지하철 4호선‘상록수’역에서 주변상가를 지나 본오동 방향으로 표지판을 따라 5분정도 걷다보면 상록수 공원을 만날 수 있다. 이곳은 심훈의 소설‘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인물이며 1930년대 농촌 계몽운동의 상징적 인물인‘최용신 선생’이 농촌계몽 운동을 벌였던 역사성을 지닌 현장이다. 최용신 선생은 장중첩증으로 숨지기 전 유언을 남겨 그 뜻을 받아 샘골 학원이 잘 보이고 종소리가 들리는 이곳 상록수 공원의 언덕에 유택을 마련했는데 많은 세월이 지난 1974년 11월 30일 루씨 동문 과 천곡교회에서 상록수 최용신 선생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를 세웠다. 작가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보다는 작품 ‘상록수’에 관한 답사 장소였기에 그에 따라 촬영을 하고 답사를 끝마쳤다.
6. 관련 자료 소개
- 필경사
이 집은 심훈선생이 1932년 서울에서 이곳에 내려와 작품 활동을 하던 곳으로 1934년에 직접 설계하여 짓고, <필경사(筆耕舍)> 라 이름을 붙였다.
필경사란 이름은 1930년 "그날이 오면" 이란 제목으로 시집을 내려다 일제의 검열에 걸려 못 냈는데, 그 시집 원고 중에 있는 <필경>이란 시의 제목에서 딴 것이라 한다.
낮은 자연석 기단 위에 다듬지 않은 주춧돌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는데, 측면 중앙 기둥을 중심으로 앞뒤로 나누어 공간을 구성한 것이 특이하다.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비교적 큰 규모로 지어졌다.
- 상록수 공원과 소설 상록수의 실제 인물 최용신 (1909~1935)
일제 때 어두운 세대에 여성으로써 나라를 걱정하고 몸소 계몽운동에 나서 갗은 악조건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굳은 마음의 심념으로 살기 어려운 농촌을 일깨워 보겠다는 일념으로 몸소 겪었던 최용신 그의 본관은 경주, 함경남도 원산 출신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최창희이다. 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협상여자신학교[현,감리교신학대학교] 농촌과에 재학하면서 황에스더 교수님의 지도로 농촌계몽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문화관광부에서는 1996년 문화의 해를 맞아 심훈의 문학비를 상록수 작품의 고향인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세웠다, 최용신은 2001년도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하는 2월의 문화인물로 선정되였으며, 국권상실기의 농촌계몽과 민족의식 고취를 위하여 순교자적인 활동을 해 애국지사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7. 관련 사이트 및 참고문헌
- http://korean.new21.org/pds_main.php?id=pds_trip_18
- http://blog.naver.com/narang1950?Redirect=Log&logNo=120034608860
- 한국의 명시를 찾아서, 박제천, 문학아카데미, 1998년 2월 1일
- 한국사전연구사간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0.21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