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학과 생리학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위생학과 생리학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악의 생리적 안정위 유지
- 저작력 조절
③ 치근인대 저작근 반사
- 치아를 두드리거나 치아에 지속적 힘을 가하면 폐구근의 활동이 증가하는 반사
- 자극에 의해 치근막에 있는 감각수용기가 흥분해서 유발되는 반사
- 저작력 강화 및 약화 작용
④ 폐구반사
- 음식물이나 물을 삼킬 때 일어나는 반사
* 혀
1) 혀의 기능
① 감각수용기로서의 작용
- 미각기능
- 감각에 의한 저작 및 연화하기 쉬운 위치로 음식물 이동
- 감각에 의해 물체의 성질 및 이물질 확인
- 타액분비촉진
② 운동기관으로서의 작용
- 음식물의 구강 내에서 이동
- 음식물과 타액 혼합
- 식괴를 인두부로 이송하여 연하
③ 발음기관으로서의 작용
2) 설근과 혀의 운동
① 외래설근 : 혀의 위치와 형태 변화
- 혀 이외의 부위에서 시작하여 혀에서 끝남
- 이설근, 설골설근, 소각설근, 경골설근
② 내래설근 : 혀의 형태만 변화시킴
- 혀에서 시작하여 혀에서 끝남
- 상종설근, 하종설근, 횡설근, 수직설근
* 교합력과 저작력
- 교합력 : 교합에 의해 치아의 교합면에 가해지는 힘
- 교합압 : 교합면의 단위면적당의 교합력
- 최대교합력 : 최대의 힘으로 깨물 때의 경우 가해지는 힘
- 저작력 : 저작 중에 근육에 의해 발생되는 힘
- 저작압 : 교합면의 단위면적당의 저작력
* 교합력의 일반적 특징
- 남녀 모두 20대 때 최대(연령이 증가 할수록 교합력 저하)
- 남자 > 여자
- 정상치열자의 최대교합력의 크기순서 : 대구치부(특히 제1대구치) > 소구치 > 견치 > 전치
- 무치악 교합력 : 유치악의 1/2
- 최대교합력의 개구도 : 절치간 15~20mm(악간거리 클수록 교합력 ↓)
- 최대교합력의 각도 : 교합면에 대해 수직방향에서 10° 이내
- 치아부위 : 구치부 > 전치부(통각에 대한 감수성이 전치부보다 구치부가 낮기 때문)
* 타액의 성상과 성분
- 전타액(혼합타액) : 여러 종류의 타액선에서 나온 침이 섞인 것
- 치은열구에서 주로 중성호성백혈구(호중구)가 유출, 편도에서 림프구(타액소체)가 유출, 식균작용
1. 타액분비량
- 일일타액분비량 : 평균 1.0~1.5L
- 안정 시 분비량 : 0.1~0.0mL/min
- 타액분비량은 연령, 계절 및 시간별로 변동
※ 안정시, 자극시 모두 악하선에서 대부분을 분비
자극시 분비가 증가하는 타액은 이하선
2. 물리적 성상
- 전타액 : 무색투명 또는 약간 백탁, 점성이 있음
- 점성이 높은 순으로 설하선타액 > 악하선타액 > 이하선타액
- 점도는 mucin의 함유량에 의해 결정
- 무색, 무미, 무취, 비중 : 1.004~1.009
3. 타액의 pH
- 타액중의 []/[]에 의해 변동, 범위는 pH 5.5~8.0, 평균 약 pH 6.36
- 분비량이 많을 때는 약알칼리, 분비량이 적을 때는 약산성
4. 타액의 성분
1) 수분 : 99.2~99.5%
2) 유형성분(0.5~0.8%)
3) 유기성분 중 주된 것은 당단백질과 효소
① 전타액의 타액단백질 : 절반은 당단백질(장액물질, 점액물질 등), 절반은 효소
② 이하선 타액 : 효소가 많음
③ 악하선, 설하선 타액 : 점액성 당단백질이 많음
④ 타액단백질의 약 1%는 혈장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lipoprotein 등 함유
* 타액의 기능
1) 소화작용
2) 윤활작용
3) 점막의 보호작용
4) 완충작용 : pH를 거의 중성으로 유지
5) 탈회작용과 성숙, 재석회화 작용
6) 청정작용
7) 향균작용
8) 배설작용 : 수은, 납, 암모니아 등의 유독물질을 타액으로 배설
9) 체액량 조절작용 : 수분조절 관여
10) 내분비작용
고삭신경(혀 앞쪽 2/3)
대추체신경
연수
시상
대뇌
설인신경(혀 뒤쪽 1/3)
미주신경(인두, 후두, 식도상부)
피질
* 미각의 신경기구
* 맛과 혀 부위
① 단맛 : 혀끝에서 가장 민감(지각역치 낮다)
② 신맛 : 혀 가장자리에서 가장 민감(지각역치 낮다)
③ 쓴맛 : 설근부(혀 뒤쪽)에서 가장 민감(지각역치 낮다)
④ 짠맛은 혀 부위 전반에 별 차이 없음
⑤ 용액의 농도가 높으면 부위에 따른 차이 상실
⑥ 동일물질이라도 혀 부위에 따라 느끼는 미각이 다른 경우 있음
* 역치의 농도 : 쓴맛 > 신맛 > 짠맛 > 단맛
* 연하
1) 연하의 특징
- 연하 : 음식물 구강에서 위로 보내기 위한 운동
- 연수의 연하중추에 있는 신경회로에 의해 일단 운동이 개시되면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진행(수의적으로 시작되어 불수의적으로 완성)
2) 연하의 단계
① 구강단계
- 수의적 단계
- 음식물이 구강~인두로 이송
- 혀가 경구개에 접촉 → 저작한 음식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 설배에 의해 인두로 음식물 이동 → 구순 닫히고 상하 치아 교합
② 인두단계
- 불수의적 단계
- 음식물이 인두~식도에 도달
- 반사성 운동(연하반사)
- 음식물은 점막의 촉각, 압각 수용기가 자극되면서 시작
- 액체 연하 시 후두와 인두 점막의 화학수용기가 연하반사에 중요한 역할
- 비강 차단 : 연구개와 목젖 후상방 견인, 인두벽 전방 이동 → 설골·후두 전상방 이동 → 후두개 하방 회전 → 후두 입구 폐쇄 →
호흡 일시정지(연하성 무호흡)
③ 식도단계
- 불수의적 단계
- 음식물이 식도~위까지 도달
- 시도의 연동운동
* 구취
1) 구취의 발생
- 휘발성 황화물(황화수소), 구강 내 세균의 단백질 분해로 발생
2) 구취의 특성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호기의 냄새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심해지는 경향
- 성별에 따라 다름
- 기상 직후 구취가 가장 심함(생리적 구취) - 칫솔질로 소실
- 병적 구취 : 대부분 구강 내에 기인, 호흡기계, 소화기계에서 유래
- 심인성 구취 : 실제로 냄새가 나지 않는데도 본인이 구취를 호소
3) 구강에서 유래하는 구취의 원인
- 청결 불량(치태, 설태, 음식물 찌꺼기 축적)
- 구강이 건조(타액분비기능 저하, 구호흡)
- 우식, 치주질환, 구강 연조직의 염증에 의해 조직이 파괴될 때
* 치과임상과 발음
- 상악전치의 결손 : [d], [t] 폐쇄음의 장애
- 상악, 하악의 전돌 : [S], [Z]의 장애
- 개교 : [f], [v], [p], [m], [th]의 장애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