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One. 들어가는 말.
#윤리적 비평의 정의#
Two. 오스카 와일드의 ‘반 - 윤리적 비평’
Three. 'Korn'의 음악과 그 윤리적 비평
@가치의 표현으로서의 예술
(양분된 미적가치와 도덕적가치의 융합)
Four. 맺음말...- 올바른 윤리적 비평
#윤리적 비평의 정의#
Two. 오스카 와일드의 ‘반 - 윤리적 비평’
Three. 'Korn'의 음악과 그 윤리적 비평
@가치의 표현으로서의 예술
(양분된 미적가치와 도덕적가치의 융합)
Four. 맺음말...- 올바른 윤리적 비평
본문내용
있는 콘의 뒷편에 상징적으로 표현된 정자의 살기위한 몸부림의 영상은 우리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하고 낙태문제에 대해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Four. 맺음말...- 올바른 윤리적 비평
윤리적 비평은 예술의 사회적 연결성으로 인한 그 영향력에 기인하여 예술의 사회적인 도덕적 가치 준수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러한 비평들은 도그마에 사로잡히고 종교에 사로잡힌 예술 위의 폭군으로서 존재해왔다. 그리하여 윤리라는 가면을 쓴 예술의 억압자로서 자유로운 인간적 사고의 흐름을 방해하고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인간 내면의 성격을 부정하며 사회적이고 정치적이며 종교적인 도구의 하나로 예술을 이용하는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때문에 예술, 그리고 예술가들은 그들의 자유로운 정신이 일말의 방해나 억압을 당하는 것에도 민감해졌으며 윤리적 비평은 반 예술적이고 반감성적인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예술을 윤리, 도덕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는 것은 ‘기존의 정석적인 사회적 윤리가 존재한다’고 했을 때 반강제적으로 그 사회의 정치적 룰을 지키게 하며 기존의 사회적 윤리와 정치적 방향의 숨은 반항자들을 일정 선 밖으로 내몰고 제한시키며 존재론적인 감각조차 그 바깥으로 눈돌리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되기에 이른다.
그리하여 그 반동으로 오스카 와일드같은 이는 ‘Art for Art's Sake’를 주장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앞에서 예술은 힘을 가졌다고 했다. 윤리는 모든 것을 컨트롤할 수 있는 힘이 아니다. 예술을 윤리적으로 비평한다고 예술이 사회적으로 온당한 영향력을 가진 매체로 변화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 윤리적 비평의 힘은 위에서 오해한대로 현대 사회에서 정치적인, 사회 구속적인 힘의 논리에 의한 수단으로 사용될 여지도 다분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도덕적인 판단이란 예술에 대한 최소한의 구속력으로 하여금 상호간의 관계성에서 미치는 힘 자체를 변화시켜 지금보다 조금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게 되리라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예술은 확실히 개인적인 감정의 미적 발현이며 개인적인 소지가 다분하지만 사회와의 연관성을 부정할 수 없으며, 발전하고 진화해나갈 예술과 서로 영향을 받으며 같이 변모해갈 사회에 있어서 최소한의 접근으로 사회와 예술간의 관계를 보호하는 하나의 장치로서의 윤리적 비평을 강구하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Four. 맺음말...- 올바른 윤리적 비평
윤리적 비평은 예술의 사회적 연결성으로 인한 그 영향력에 기인하여 예술의 사회적인 도덕적 가치 준수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러한 비평들은 도그마에 사로잡히고 종교에 사로잡힌 예술 위의 폭군으로서 존재해왔다. 그리하여 윤리라는 가면을 쓴 예술의 억압자로서 자유로운 인간적 사고의 흐름을 방해하고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인간 내면의 성격을 부정하며 사회적이고 정치적이며 종교적인 도구의 하나로 예술을 이용하는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때문에 예술, 그리고 예술가들은 그들의 자유로운 정신이 일말의 방해나 억압을 당하는 것에도 민감해졌으며 윤리적 비평은 반 예술적이고 반감성적인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예술을 윤리, 도덕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는 것은 ‘기존의 정석적인 사회적 윤리가 존재한다’고 했을 때 반강제적으로 그 사회의 정치적 룰을 지키게 하며 기존의 사회적 윤리와 정치적 방향의 숨은 반항자들을 일정 선 밖으로 내몰고 제한시키며 존재론적인 감각조차 그 바깥으로 눈돌리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되기에 이른다.
그리하여 그 반동으로 오스카 와일드같은 이는 ‘Art for Art's Sake’를 주장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앞에서 예술은 힘을 가졌다고 했다. 윤리는 모든 것을 컨트롤할 수 있는 힘이 아니다. 예술을 윤리적으로 비평한다고 예술이 사회적으로 온당한 영향력을 가진 매체로 변화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 윤리적 비평의 힘은 위에서 오해한대로 현대 사회에서 정치적인, 사회 구속적인 힘의 논리에 의한 수단으로 사용될 여지도 다분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도덕적인 판단이란 예술에 대한 최소한의 구속력으로 하여금 상호간의 관계성에서 미치는 힘 자체를 변화시켜 지금보다 조금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게 되리라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예술은 확실히 개인적인 감정의 미적 발현이며 개인적인 소지가 다분하지만 사회와의 연관성을 부정할 수 없으며, 발전하고 진화해나갈 예술과 서로 영향을 받으며 같이 변모해갈 사회에 있어서 최소한의 접근으로 사회와 예술간의 관계를 보호하는 하나의 장치로서의 윤리적 비평을 강구하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예술과 예술작품
[대중음악][대중가요][음반유통][음악산업][음반산업]대중음악 성격,의의,현황과 문제점 및 ...
[낭만주의][미술][문학][음악][낭만주의 시대 미술][낭만주의 시대 문학][낭만주의 시대 음악...
한국 무용의 종류 - 시대별 종류 및 궁중 무용과 민속무용 정의,특징,종류 정리
[한국사상][한국적사상][민족성][한민족][한국전통사상]한국사상(한국적 사상)의 정의, 한국...
[광고심의][광고][방송광고][방송윤리][마케팅]광고의 정의, 광고의 중요성, 광고의 역할, 광...
[해체주의][구조주의][데리다][가다머]해체주의(디컨스트럭션)의 정의, 구조주의의 해체주의(...
[창작학습][창작수업]시창작학습(시창작교육, 시창작수업), 소설창작학습(소설창작교육, 소설...
[미술감상활동][미술감상활동의 단계]미술감상활동의 정의, 미술감상활동의 실태, 미술감상활...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영화 영상의 이해] 블록버스터 (Blockbuster) 블록버스터의 정의,블록버스터 영화의 특징,어...
[고전소설강독 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