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붕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명의 붕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갈리아 인들로부터 배운 의술 때문에 건강을 극도로 과신하여 멸망하였기 때문이라는 이론도 있다. 그렇지만 어느 하나를 꼭 지목해서 그것이 로마의 멸망 요인이라고는 할 수 없다. 로마는 여러 가지 복잡한 요인 때문에 멸망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다수의 갈등 이론가들은 어떤 사회와 다른 복잡한 사회와 갈등을 빚을 경우 양측의 붕괴보다는 어느 한 쪽이 승리한 후 그 쪽의 팽창을 낳는 결과가 대부분이라고 말한다. 이는 이 이론과 상반되는 의견이다.
침략자에 의한 문명 붕괴
붕괴의 원인으로 가장 흔히 지목되는 것의 하나가 바로 외부 세력의 침입이다. 복잡성이 덜한 외부 세력이 문명의 중심부를 공격하여 그 문명을 붕괴 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사례는 옛날 유럽, 중국 지역에서 많이 들 수 있다.
★ 로마제국 멸망
로마제국은 너무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멸망되었기 때문에 딱히 하나의 이유를 들자면 매우 어렵다. 단지 마지막으로 일격을 가한 요인이 침략자라는 요인이었기 때문에 이 사례도 로마를 들 수 있다. 앞서 예를 들었던 게르만 민족의 침공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게르만 민족이 침공했을 당시 로마에는 국방력이 너무 약해져서 여러 이민족들을 용병으로 쓰곤 했는데 용병 중 대다수가 게르만 민족이었다. 그러던 차에 훈족은 게르만 본토를 침공하였고 훈족을 피해 본토의 게르만 민족들은 허약해진 로마 제국으로 쳐들어오게 되었다. 이 때 로마의 게르만 용병 대장 오토아케르가 로마에 있던 게르만 용병들과 노예들을 선동하여 쳐들어온 게르만 인들과 합세하여 로마를 무너뜨렸다. 동로마 제국도 비잔틴 제국이라는 이름으로 몇 백년을 더 존속했지만 이미 아시아 문명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아 로마 자체의 특색을 잃어버려 일부 학자들은 동로마 제국을 아류 국가라고 치부하기도 한다. 이 제국 역시 터키 민족의 오스만 튀르크 제국에 의해 멸망한다.
★ 중국 고대 국가들의 멸망
중국 고대 국가들은 전투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수한 이민족들이 중국 본토를 침공하여 그 곳에 있던 문명들을 무너뜨린 역사는 매우 많다. 예를 들어 거란족의 요나라의 경우 여진족에 의해 멸망하였고 그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 역시 몽골 계통의 민족에 의해 멸망하였다. 그리고 그 몽골 민족이 세운 원나라 역시 한족 계통의 민족에게 무너지고 말았는데 이러한 고대 중국의 역사는 침략자가 문명을 붕괴 시킨다는 이론에 가장 적합한 사례가 될 수 있다.
★ 마야 문명의 멸망
앞서 마야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멸망하였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번에 제시하는 마야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멸망한 고전 마야 문명이 아니라 신 마야 문명(AD 900 ~ AD 1500)이다. 신 마야 문명은 고전 마야 문명의 멸망 후에 세워진 것으로 정확한 연대는 추측이 불가능 하나 대략 10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신 마야 문명은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멸망당하였다. 이 침략자들은 단순히 직접적으로 마야를 멸망시켰을 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의 병원체를 퍼뜨렸다. 마야인들은 그 병원체에 면역이 되어있지 않아 대다수의 마야인들이 그것에 의해 죽게 되었다. 그리하여 신 마야 문명도 멸망하게 되었다.
★ 침략자 이론의 약점
침략자 이론은 복잡성이 덜한 세력이 문명의 중심부를 공략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복잡한 사회를 가진 스페인 제국이 아메리카 지역에 있는 단순한 사회를 가진 문명들을 정복하여 그 문명을 붕괴시키는 것은 설명하기가 힘들다. 그리고 침략자 이론은 어떤 주도적 국가가 부족 차원의 조직을 가진 약한 민족에 의하여 무너지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들을 생략한다. 주장 자체만으로 이 이론을 성립하려는 것이 맹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략자가 무엇 때문에 침공한 땅의 문명을 이용하지 않고 폐허로 만들었는지에 대한 사례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결론
지금까지 여러 문명이 붕괴하는 과정과 그것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각 이론마다 적용 가능한 점이 있고 그렇지 않은 점도 있었다. 우리가 문명의 붕괴를 연구하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과거 찬란했던 문명의 발전 과정을 연구하여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온고지신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들을 설명하기 위한 기존 이론들에 대한 반박과정을 통해 기존 이론의 한계점과 그것의 극복 방법 또한 알 수 있게 되었다. 문명의 붕괴 요인은 매우 다양하고 또 그러한 것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긴 것임을 이번 기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