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① 배경
② 목적
2. 현재의 소비문화
① 소비문화의 정의
② 소비생활의 변화
③ 소비문화의 변화
3. 인터넷 쇼핑이 현재의 소비문화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Ⅱ. 본론
1. 인터넷 쇼핑의 정의
2. 전북대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쇼핑 현황(현지조사)
3.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 비교분석
Ⅲ. 결론
1. 인터넷 쇼핑이 활성화되기 이전의 대학생의 소비문화와 이후의 소비문화의 비교
2. 인터넷 쇼핑이 대학생 소비문화에 미친 영향
1.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① 배경
② 목적
2. 현재의 소비문화
① 소비문화의 정의
② 소비생활의 변화
③ 소비문화의 변화
3. 인터넷 쇼핑이 현재의 소비문화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Ⅱ. 본론
1. 인터넷 쇼핑의 정의
2. 전북대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쇼핑 현황(현지조사)
3.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 비교분석
Ⅲ. 결론
1. 인터넷 쇼핑이 활성화되기 이전의 대학생의 소비문화와 이후의 소비문화의 비교
2. 인터넷 쇼핑이 대학생 소비문화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이 아니기 때문에 더치페이가 서로에게 부담이 적다. 더치페이를 개인주의적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겠지만 더치페이가 아닌 경우 공동체의 다른 성원에게 부담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오히려 공동체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쇼핑을 기반으로한 대학생 소비문화가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변화하였다. 인터넷 쇼핑은 편리성, 신속성, 다량의 제품을 동시에 비교 분석, 오프라인에 비해 저렴한 가격, 입소문 보다 더 믿을 수 있는 상품평, 쿠폰과 포인트의 사용 등 이러한 장점이 있다. 반면, 배송지연, 같은 제품을 비싸게 주고 사는 경우, 사기의 위험성, 해킹, 상품정보의 불일치, 사이즈와 색상의 불일치 등의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이 단점을 상쇄하고도 남기 때문에 오프라인과 맞먹는 매출신장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제 인터넷 쇼핑을 기반으로 한 대학생 소비문화는 개인주의적 소비이다. 같이 발품을 팔아가며 상품을 구입하기보다는 학교 또는 집, 게임방에서 모니터로 상품을 보고 혼자 구입한다. 현재의 대학생 소비문화는 전체사회의 개인주의와 소비문화에서의 개인주의가 상호작용함으로 개인주의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충동적 소비도 존재한다.
인터넷으로 상품을 구입할 때 품목이 너무 많아서 귀찮아 하는 측면이 있다. 이것은 신중하게 생각하기 보다는 충동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 계속 불고 있는 ‘명품 열풍’은 연구자가 조사한 대상자에게서는 빗나가 있었다. 하지만 분명 명품에 열광하는 대학생들이 있을 것이다. 기성세대의 조류에 휩쓸려 자신에 맞는 소비 보다는 과소비, 명품에 집착하는 모습도 존재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대학생 소비문화가 기성세대의 소비문화와 청소년의 소비문화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의 파급력이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이러한 대학생 소비 문화가 파급되거나 받으면서 그에 따른 장점, 단점을 논하기 보다는 그 안에 존재하는 내재적 의미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2. 인터넷 쇼핑이 대학생 소비문화에 끼친 영향
정보화 사회에 의한 변화에 자연스럽게 적응한 대학생들은 이 변화의 한 부분인 소비문화의 변화에도 적응하였다. 반면, 자신의 소비가 어떻게 변했는지 모르는 대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문화의 변화는 급격한 변화가 아닌 점진적 변화이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문화의 변화도 급격하게 일어났다. 급격한 변화는 기성세대에게 반발을 불러일으키지만 이전의 문화를 접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는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순응한다.
분명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대학생 소비문화는 변화하였다. 개인주의적인 소비, 더욱더 편리한 것을 구입하거나 서비스 받으려는 경향, 충동구매, 자신의 상품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려는 경향 등이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의 문화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앞서 언급한 개인주의적 성향의 심화가 일어났고 싼 물품을 다량 구매하면서 소유욕에 대한 정도가 높아졌다. 소비 자체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일어났고 중고제품을 꺼리는 경향(주로 헌 옷)도 드러난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경제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 인한 편리성으로 인해 내재적인 소비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기성세대들을 현하는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쓴다’라는 인식은 희미해졌다. 당장 현재의 소비가 중요하다. 하루 벌어 하루 쓰는 소비는 소비를 통해 현재의 행복을 추구한다. 소비가 생계를 위한 소비가 아닌 행복을 추구하는 놀이의 개념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대학생 소비문화의 내재적 의미를 깊이 연구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다. 그리고 대학생 소비문화가 기성세대와 청소년의 소비문화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하다. 심도깊은 현지조사가 되지 못했고 결론부분도 취약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대학생의 소비문화를 통해 현재의 문화가 어떤 문화인지 어떤 방향으로 변해가는지에 대해 알고,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을 통한 소비문화의 변화의 양상과 내적 구조 및 의미를 본 연구보다 더욱 심도 깊게 파악하는 연구가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Ⅳ. 참고문헌
1.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김종귀, 박성용, 한국소비자보호원 1997
2. 온라인 쇼핑몰에 따른 고객이용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경제학과 마케팅 전공, 박민주, 2005
3. 쇼핑사이트 http://dnshop.daum.net , WWW.ineterpark.com, WWW.gmarket.co.kr
이러한 오프라인 쇼핑을 기반으로한 대학생 소비문화가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변화하였다. 인터넷 쇼핑은 편리성, 신속성, 다량의 제품을 동시에 비교 분석, 오프라인에 비해 저렴한 가격, 입소문 보다 더 믿을 수 있는 상품평, 쿠폰과 포인트의 사용 등 이러한 장점이 있다. 반면, 배송지연, 같은 제품을 비싸게 주고 사는 경우, 사기의 위험성, 해킹, 상품정보의 불일치, 사이즈와 색상의 불일치 등의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이 단점을 상쇄하고도 남기 때문에 오프라인과 맞먹는 매출신장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제 인터넷 쇼핑을 기반으로 한 대학생 소비문화는 개인주의적 소비이다. 같이 발품을 팔아가며 상품을 구입하기보다는 학교 또는 집, 게임방에서 모니터로 상품을 보고 혼자 구입한다. 현재의 대학생 소비문화는 전체사회의 개인주의와 소비문화에서의 개인주의가 상호작용함으로 개인주의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충동적 소비도 존재한다.
인터넷으로 상품을 구입할 때 품목이 너무 많아서 귀찮아 하는 측면이 있다. 이것은 신중하게 생각하기 보다는 충동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 계속 불고 있는 ‘명품 열풍’은 연구자가 조사한 대상자에게서는 빗나가 있었다. 하지만 분명 명품에 열광하는 대학생들이 있을 것이다. 기성세대의 조류에 휩쓸려 자신에 맞는 소비 보다는 과소비, 명품에 집착하는 모습도 존재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대학생 소비문화가 기성세대의 소비문화와 청소년의 소비문화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의 파급력이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이러한 대학생 소비 문화가 파급되거나 받으면서 그에 따른 장점, 단점을 논하기 보다는 그 안에 존재하는 내재적 의미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2. 인터넷 쇼핑이 대학생 소비문화에 끼친 영향
정보화 사회에 의한 변화에 자연스럽게 적응한 대학생들은 이 변화의 한 부분인 소비문화의 변화에도 적응하였다. 반면, 자신의 소비가 어떻게 변했는지 모르는 대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문화의 변화는 급격한 변화가 아닌 점진적 변화이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문화의 변화도 급격하게 일어났다. 급격한 변화는 기성세대에게 반발을 불러일으키지만 이전의 문화를 접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는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순응한다.
분명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대학생 소비문화는 변화하였다. 개인주의적인 소비, 더욱더 편리한 것을 구입하거나 서비스 받으려는 경향, 충동구매, 자신의 상품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려는 경향 등이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의 문화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앞서 언급한 개인주의적 성향의 심화가 일어났고 싼 물품을 다량 구매하면서 소유욕에 대한 정도가 높아졌다. 소비 자체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일어났고 중고제품을 꺼리는 경향(주로 헌 옷)도 드러난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경제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 인한 편리성으로 인해 내재적인 소비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기성세대들을 현하는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쓴다’라는 인식은 희미해졌다. 당장 현재의 소비가 중요하다. 하루 벌어 하루 쓰는 소비는 소비를 통해 현재의 행복을 추구한다. 소비가 생계를 위한 소비가 아닌 행복을 추구하는 놀이의 개념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대학생 소비문화의 내재적 의미를 깊이 연구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다. 그리고 대학생 소비문화가 기성세대와 청소년의 소비문화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하다. 심도깊은 현지조사가 되지 못했고 결론부분도 취약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대학생의 소비문화를 통해 현재의 문화가 어떤 문화인지 어떤 방향으로 변해가는지에 대해 알고,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을 통한 소비문화의 변화의 양상과 내적 구조 및 의미를 본 연구보다 더욱 심도 깊게 파악하는 연구가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Ⅳ. 참고문헌
1.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김종귀, 박성용, 한국소비자보호원 1997
2. 온라인 쇼핑몰에 따른 고객이용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경제학과 마케팅 전공, 박민주, 2005
3. 쇼핑사이트 http://dnshop.daum.net , WWW.ineterpark.com, WWW.gmarket.co.kr
추천자료
인터넷쇼핑물성공사례
인터넷문화
[인터넷문화]인터넷 언어 현상과 전망
[인터넷문화]댓글문화의 언어현상 분석과 언어의 장단점 조사
도덕적인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한 방법
인터넷문화 소논문
[전자상거래][인터넷쇼핑]전자상거래(EC)의 개념, 전자상거래(EC)의 분류, 전자상거래(EC)의 ...
[대중문화의이해]인터넷범죄의 사례와 올바른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
사진과 인터넷문화
매스미디어와 인터넷문화의 차이에대해 논하시오
소비문화와 트렌드) 소비문화의 이해와 소비문화, 소비트랜드
환경과 소비문화) 환경관련 소비문화의 변화와 환경의 영속불가능성, 환경변화가 소비문화에 ...
전통사회에서의 소비문화적 배경) 한국의 가족문화와 소비, 가족생활에서 소비문화의 차이 및...
[예술문화의 소비] 예술문화의 소비자와 문화소비자의 속성 및 가계생산모델과 가계생산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