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성을 가진다. 특히 이 소설의 경우 작중인물은 작가의 자화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낙동강>의 작가 조명희는 ‘배고픈 고통’을 체험하면서 사회의식을 문학적인 관심사로 두게 되었다. 이 시기 조명희의 작품에서 그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현실적인 대응력을 상실한 무기력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낙동강>에서 박성운은 구체적인 목적성을 인물로 부각되면서 자기 성취를 이룩한다. 여기에는 작가의 의식전환이 여기에 한 몫을 했겠지만, 작가는 새로운 인물형을 통해 기존의 무기력하고 행동하지 않는 지식인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④ 사회주의라는 유토피아적 열망
<낙동강>은 결말 부분에서 사회주의로 인해 이뤄질 유토피아를 전망하고 있다. 비록 박성운을 중심으로 사회주의가 제창되고, 계급투쟁이 열렬하게 일어났지만 박성운에서 로사로 사회주의는 계승될 것임이 드러난다. 또한 ‘낙동강’ 농민들도 스스로 당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는 투쟁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므로 계급투쟁과 혁명의 지속은 더욱 희망적이다. 이러한 사회주의라는 유토피아 지향성은 극도로 악화된 현실 상황을 극복하고자하는 작가 내면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작가 조명희는 이 작품을 쓸 무렵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다고 하는데, (김홍식, 1989 : 98)
그에 비례하여 사회주의를 향한 그의 열망도 더욱 커져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대는 죽을 때에도 날더러, 너는 참으로 폭발탄이 되라, 하였나이다. 옳소이다. 나는 폭팔탄이 되겠나이다. 이것은 묻지 않아도 로사의 만장임을 알 수 있었다. … 중략 … 그는 돌아간 애인의 밟던 길을 자기도 밟아 보려는 뜻인가 보다.
4. 나오며
지금까지 <낙동강> 속 주요인물들의 성격과 사상을 통해 소설에 형상화 된 주제의식을 고찰해봤다. <낙동강>은 사회주의 및 민족주의를 표방한 목적 문학임은 분명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카프계열의 작품에서 작가의 목적성은 소설의 주제와 연관되며, 이를 형상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치는 바로 인물이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낙동강>의 주인공 박성운과 로사는 사회주의 및 민족주의 등 작가의 사상을 담는데 좋은 역할을 했으며, 한발 나아가 계급투쟁의 구호에서 방법, 방향까지를 제시하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박성운과 로사, 그리고 한반도의 남쪽의 젖줄인 낙동강을 배경으로 한 것을 통해 우리는 이 작품에서 사회주의만큼이나 민족주의적 성향이 짙게 깔린 작품이라고 결론 내린다.
하지만 <낙동강>에서 박성운은 구체적인 목적성을 인물로 부각되면서 자기 성취를 이룩한다. 여기에는 작가의 의식전환이 여기에 한 몫을 했겠지만, 작가는 새로운 인물형을 통해 기존의 무기력하고 행동하지 않는 지식인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④ 사회주의라는 유토피아적 열망
<낙동강>은 결말 부분에서 사회주의로 인해 이뤄질 유토피아를 전망하고 있다. 비록 박성운을 중심으로 사회주의가 제창되고, 계급투쟁이 열렬하게 일어났지만 박성운에서 로사로 사회주의는 계승될 것임이 드러난다. 또한 ‘낙동강’ 농민들도 스스로 당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는 투쟁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므로 계급투쟁과 혁명의 지속은 더욱 희망적이다. 이러한 사회주의라는 유토피아 지향성은 극도로 악화된 현실 상황을 극복하고자하는 작가 내면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작가 조명희는 이 작품을 쓸 무렵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다고 하는데, (김홍식, 1989 : 98)
그에 비례하여 사회주의를 향한 그의 열망도 더욱 커져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대는 죽을 때에도 날더러, 너는 참으로 폭발탄이 되라, 하였나이다. 옳소이다. 나는 폭팔탄이 되겠나이다. 이것은 묻지 않아도 로사의 만장임을 알 수 있었다. … 중략 … 그는 돌아간 애인의 밟던 길을 자기도 밟아 보려는 뜻인가 보다.
4. 나오며
지금까지 <낙동강> 속 주요인물들의 성격과 사상을 통해 소설에 형상화 된 주제의식을 고찰해봤다. <낙동강>은 사회주의 및 민족주의를 표방한 목적 문학임은 분명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카프계열의 작품에서 작가의 목적성은 소설의 주제와 연관되며, 이를 형상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치는 바로 인물이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낙동강>의 주인공 박성운과 로사는 사회주의 및 민족주의 등 작가의 사상을 담는데 좋은 역할을 했으며, 한발 나아가 계급투쟁의 구호에서 방법, 방향까지를 제시하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박성운과 로사, 그리고 한반도의 남쪽의 젖줄인 낙동강을 배경으로 한 것을 통해 우리는 이 작품에서 사회주의만큼이나 민족주의적 성향이 짙게 깔린 작품이라고 결론 내린다.
추천자료
[국어교육] 제7차 교육과정 문학영역 교육내용 분석
한국 고대 중세 근대의 문학적 특성
“순수로의 회귀” :『내 생애의 아이들』과 만나다
[추천레포트] 셰익스피어 레포트,한여름밤의 꿈,르네상스문학,만점리포트
소설은 구호일 수 있는가, 박영희 작가에 대해
김동환의 민요시와 서사시 국경의 밤의 문학사적 의의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생애와 가사를 통해 본 문학사상
19C(19세기)의 자연주의문학과 재혼풍습, 19C(19세기)의 동아시아침략과 철학, 19C(19세기)의...
[소설 보바리 부인]플로베르 소설 보바리 부인의 작가, 플로베르 소설 보바리 부인의 주인공,...
[이문열][반페미니즘][소설]이문열 소설 선택의 줄거리, 이문열 소설 선택의 작가, 이문열 소...
[홍길동전]홍길동전(허균 소설)의 내용요약, 홍길동전(허균 소설)의 작가, 홍길동전(허균 소...
염상섭 단편소설 두 파산의 개요, 염상섭 단편소설 두 파산의 줄거리, 염상섭 단편소설 두 파...
영유아 발달에 맞는 동화책을 한권 선정하셔서 문학적 접근 활동의 세 단계에 맞추어 구체적...
소설, 영화, 만화간의 시점비교분석(매체간이동, 화자와시점, 소설의영화제작, 각색, 대중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