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찬성측
- 사회방위를 위한 피해의 원리의 확대해석
- 최소한의 안전구조를 권리로 인정해 보호할 필요성
- 사회적 책임원칙과 법적 도덕주의의 필요성
2. 반대측
- 최소한의 범죄화정책론
- 자선의 강제론
- 자유에의 부당한 간섭론
- 사회방위를 위한 피해의 원리의 확대해석
- 최소한의 안전구조를 권리로 인정해 보호할 필요성
- 사회적 책임원칙과 법적 도덕주의의 필요성
2. 반대측
- 최소한의 범죄화정책론
- 자선의 강제론
- 자유에의 부당한 간섭론
본문내용
상황에서 예측 불가능한 작위를 강제하므로 예측된 부작위보다 훨씬 자유제한적임.
예컨대 작위의무는 주변사에 대한 관찰과 경계의무를 수반함.
(산책 예시) 자유허용의 가치(발견 시 도움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은)를 경계의무로써 무너뜨리므로 작위 중심의 형법규범원칙에 어긋남.
소극적 작위마저 거부할 부도덕한 소수 때문에 대다수의 자유권을 침해해서는 안 됨.
예컨대 작위의무는 주변사에 대한 관찰과 경계의무를 수반함.
(산책 예시) 자유허용의 가치(발견 시 도움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은)를 경계의무로써 무너뜨리므로 작위 중심의 형법규범원칙에 어긋남.
소극적 작위마저 거부할 부도덕한 소수 때문에 대다수의 자유권을 침해해서는 안 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