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종적인 방법으로 밝혀지기는 불가능하며 오히려 인간은 역사적으로 자기를 형성해 가는 존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대체로 학자들은 역사의 진보성을 믿는다. 칸트가 역사를 「완전한 정치적 상태를 실현하고자 하는 자연의 숨은 시도의 실행」이라고 보든가 메인이 법의 역사를 「신분에서 계약으로」의 진화로 보는 것은 모두 이러한 사상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新토마스주의자 중 한 사람인 델 베키오(Del Vecchio)도 법의 발달을 인정하고 그것이 독단론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다. 즉 자연법은 영원하며 불변의 진리라고 할 수 있는 영원법과 인간이 인간의 이성으로 만든 인정법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법은 그 특성상 진리를 추구하지만 신의 섭리를 온건히 갖고 있지 못하며, 가변성과 역사성을 지녔다 해도 인간사회에서도 인정법과는 달리 인간의 이성적 산물로 평가되지 못한다. 하지만 자연법은 신의 섭리를 벗어난 인간이 인간만의 실정법, 즉 인정법으로서 서로를 다스리는 자치의 실현을 가능하도록 하는 명분을 제시한다. 즉 자연법의 사상은 중세의 기독교적 세계관 안에서 청교도 운동과 인간 이성의 존중과 같은 근대화의 사상이 태어날 수 있도록 해준 양분으로 존재했다고 생각한다. 애링턴의 서양윤리학사는 참으로 잘 쓰여진 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연법의 특성이나 계단구조를 통한 자연법적 성향들과, 원리로부터 도출한 규정들의 특성과 예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했다. 하지만 분량의 문제일지 모르지만 자연법을 그와 다른 법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 특성을 설명했으면 하는 아쉬움으로 이 글을 적어보았다.
추천자료
[영문과 졸업논문] 토마스 하디 (hardy) 시의 honesty와 내적풍경에서 나오는 개선론
자연휴양림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청태산 자연휴양림에 대한 적용
자연의 지배자를 읽고 요약 및 용어정리(자연환경
[자연환경][전라도][제주도][경주][전라도(전라남북도) 자연환경][제주도 자연환경][경주 자...
[환경][자연환경][환경교육][환경사랑][교육사업]환경(자연환경)의 의미, 환경(자연환경)의 ...
[자연환경][한국][북한][일본][캐나다][나이지리아][네덜란드][시리아]한국의 자연환경, 북한...
[자연][자연의 배경][자연의 이용][자연의 본질][자연의 복원][자연과 덕][자연과 인간][자연...
[인간관][세계관][가정관][혼인관][자연관][환경관][심신관][인간][세계][가정][혼인]인간관,...
[자연철학]자연철학과 후기다원론자, 자연철학과 자연철학자, 자연철학과 헤겔, 자연철학과 ...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갈등과 조화 - 토마스만(Thomas Mann)의 『베니스에서...
자연치유의 맥을 짚는 오감멀티테라피 활용법 - 내추럴 코드(자연치유) 책 요점정리
[경제 사상사] 고전 학파의 성립 배경 {아담 스미스의 경제 사상과 이론, 토마스 맬더스의 경...
자연탐구 영역 : 표준보육과정 중 자연탐구 지도원리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