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판의 경계는 크게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발산형 경계
○ 맨틀의 상승부에 해당한다.
○ 두 판이 해령이나 열곡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멀어진다.
○ 해령과 열곡대가 발달한다.
○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되므로 해저가 확장된다.
○ 화산활동과 단층에 의한 천발지진이 발생한다.
○ 대표적인 곳
- 대서양 중앙 해령
- 동아프리카 열곡대
2. 수렴형 경계
○ 맨틀의 하강부에서 생성된다.
○ 두 판이 해구나 습곡산맥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진다.
○ 해구
- 호상열도, 호상화산, 베니오프대가 발달한다.
- 역단층이 발달한다.
- 화산활동과 심발, 천발 활동이 모두 일어난다.
○ 습곡산맥
- 두 대륙지각의 해저지층이 습곡, 융기되어 거대한 습곡산맥을 형성한다.
- 천발지진과 심발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 화산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알프스, 히말라야 산맥이 대표적인 예이다.
3. 보존형 경계
○ 판이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고 단지 이동만 하는 경계로 두 판이 서로 어긋나게 이동하는 경계이다.
○ 변환단층이 발달한다.
○ 주로 천발지진이 발생하고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 세계적으로 유명한 단층으로는 산안드레아스 단층이 있다.
이제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히말라야 산맥에 조개 화석이 발견된 이유를 질문한다.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나타낸 그림(가)과 판이 대륙 지각 밑으로 섭입 될 때 나타나는 지각변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그림(나)이 있는 탐구 활동지를 나누어준다.
학생들이 탐구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1. 일본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갈수록 지진의 깊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2. 그림 (나)는 판의 경계형태로 볼 때 어떤 경계의 형태인가?
3.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까닭을 생각해보자.
학생들에게 탐구 활동지의 내용을 발표하도록 한다.
교사의 설명을 듣고 탐구 활동지를 작성한다.
자신이 작성한 내용을 손을 들어 발표한다.
제시한 내용을 필기한다.
제시한 내용을 필기한다.
- 히말라야 산맥은 예전에 바다에 있던 대륙판과 다른 대륙판이 충돌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조개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탐구 활동지를 작성한다.
작성한 내용을 손을 들고 발표한다.
- 점차 깊어진다.
- 일본은 호상열도, 우리나라는 대륙판에 해당된다.
탐구활동지
PPT제시
+
판서
PPT제시
+
판서
탐구활동지+PPT제시
20분
7분
정리
정리
2분
이제까지 배운 내용을 판서를 통해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한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면서 내용을 정리한다.
형성평가
5분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항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확인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틀린 문항에 손을 들게 하여 많이 틀린 문항을 보충 설명해준다.
형성평가를 풀어보고 모르는 것을 질문한다.
PPT
차시 예고
차시 학습 내용 예고
1분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예고한다.
- 다음 시간에는 대기와 해양 단원의 일기에 대해 알아보겠다.
차시 학습 내용을 확인한다.
판서 계획
Ⅴ. 지구
1. 지구의 변동
(3) 판의 경계와 그 경계에서의 지각 변동
판의 경계
경계부의 두 판(지각)
지형
예
경계 부근에서의 지각 변동
발산 경계
해양-해양
해령, 열곡
대서양 중앙 해령
천발지진, 화산활동
대륙-대륙
열곡
동아프리카 열곡대
수렴 경계
해양-대륙
해구, 호상열도, 습곡산맥
일본해구, 안데스 산맥
천발-심발지진, 화산활동
해양-해양
해구, 호상열도
알류산 해구
천발-심발지진, 화산활동
대륙-대륙
습곡산맥
히말라야산맥, 알프스산맥
천발지진
보존 경계
대륙-대륙
변환단층대
산안드레아스 단층
천발지진
해양-해양
변환단층대
대서양중앙해령의 단층
천발지진
형성평가
< 탐구 활동지 1 >
- 판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판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1. 두 판이 멀어지는 곳과 가까워지는 곳, 또 반대방향으로 서로 스쳐지나간 곳은 각각 어디인가? 각각 다른 색연필로 표시하여 보자.
2. 지진과 화산 활동은 판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까?
3. 우리 나라는 어느 판에 속해 있는지 말해 보자.
< 탐구 활동지 2 >
- 우리나라 주변의 지각 변동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일본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갈수록 지진의 깊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2. 그림 (나)는 판의 경계 형태로 볼 때 어떤 경계의 형태인가?
3.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까닭을 생각해보자.
1. 발산형 경계
○ 맨틀의 상승부에 해당한다.
○ 두 판이 해령이나 열곡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멀어진다.
○ 해령과 열곡대가 발달한다.
○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되므로 해저가 확장된다.
○ 화산활동과 단층에 의한 천발지진이 발생한다.
○ 대표적인 곳
- 대서양 중앙 해령
- 동아프리카 열곡대
2. 수렴형 경계
○ 맨틀의 하강부에서 생성된다.
○ 두 판이 해구나 습곡산맥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진다.
○ 해구
- 호상열도, 호상화산, 베니오프대가 발달한다.
- 역단층이 발달한다.
- 화산활동과 심발, 천발 활동이 모두 일어난다.
○ 습곡산맥
- 두 대륙지각의 해저지층이 습곡, 융기되어 거대한 습곡산맥을 형성한다.
- 천발지진과 심발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 화산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알프스, 히말라야 산맥이 대표적인 예이다.
3. 보존형 경계
○ 판이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고 단지 이동만 하는 경계로 두 판이 서로 어긋나게 이동하는 경계이다.
○ 변환단층이 발달한다.
○ 주로 천발지진이 발생하고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 세계적으로 유명한 단층으로는 산안드레아스 단층이 있다.
이제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히말라야 산맥에 조개 화석이 발견된 이유를 질문한다.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나타낸 그림(가)과 판이 대륙 지각 밑으로 섭입 될 때 나타나는 지각변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그림(나)이 있는 탐구 활동지를 나누어준다.
학생들이 탐구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1. 일본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갈수록 지진의 깊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2. 그림 (나)는 판의 경계형태로 볼 때 어떤 경계의 형태인가?
3.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까닭을 생각해보자.
학생들에게 탐구 활동지의 내용을 발표하도록 한다.
교사의 설명을 듣고 탐구 활동지를 작성한다.
자신이 작성한 내용을 손을 들어 발표한다.
제시한 내용을 필기한다.
제시한 내용을 필기한다.
- 히말라야 산맥은 예전에 바다에 있던 대륙판과 다른 대륙판이 충돌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조개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탐구 활동지를 작성한다.
작성한 내용을 손을 들고 발표한다.
- 점차 깊어진다.
- 일본은 호상열도, 우리나라는 대륙판에 해당된다.
탐구활동지
PPT제시
+
판서
PPT제시
+
판서
탐구활동지+PPT제시
20분
7분
정리
정리
2분
이제까지 배운 내용을 판서를 통해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한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면서 내용을 정리한다.
형성평가
5분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항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확인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틀린 문항에 손을 들게 하여 많이 틀린 문항을 보충 설명해준다.
형성평가를 풀어보고 모르는 것을 질문한다.
PPT
차시 예고
차시 학습 내용 예고
1분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예고한다.
- 다음 시간에는 대기와 해양 단원의 일기에 대해 알아보겠다.
차시 학습 내용을 확인한다.
판서 계획
Ⅴ. 지구
1. 지구의 변동
(3) 판의 경계와 그 경계에서의 지각 변동
판의 경계
경계부의 두 판(지각)
지형
예
경계 부근에서의 지각 변동
발산 경계
해양-해양
해령, 열곡
대서양 중앙 해령
천발지진, 화산활동
대륙-대륙
열곡
동아프리카 열곡대
수렴 경계
해양-대륙
해구, 호상열도, 습곡산맥
일본해구, 안데스 산맥
천발-심발지진, 화산활동
해양-해양
해구, 호상열도
알류산 해구
천발-심발지진, 화산활동
대륙-대륙
습곡산맥
히말라야산맥, 알프스산맥
천발지진
보존 경계
대륙-대륙
변환단층대
산안드레아스 단층
천발지진
해양-해양
변환단층대
대서양중앙해령의 단층
천발지진
형성평가
< 탐구 활동지 1 >
- 판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판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1. 두 판이 멀어지는 곳과 가까워지는 곳, 또 반대방향으로 서로 스쳐지나간 곳은 각각 어디인가? 각각 다른 색연필로 표시하여 보자.
2. 지진과 화산 활동은 판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까?
3. 우리 나라는 어느 판에 속해 있는지 말해 보자.
< 탐구 활동지 2 >
- 우리나라 주변의 지각 변동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일본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갈수록 지진의 깊이가 어떻게 변하는가?
2. 그림 (나)는 판의 경계 형태로 볼 때 어떤 경계의 형태인가?
3.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까닭을 생각해보자.
추천자료
농구 학습지도안
10학년 기술가정과 연구수업 지도안
축구학습지도안
일반사회과 중학교 3학년 사회 학습지도안
국사과 교수학습지도안 : 3.1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의의
테니스 학습지도안
농구 학습지도안
테니스(Tennis) 학습지도안
테니스 학습지도안 (테니스 역사, 시설과 용구, 예절과 복장, 수업의 배경 및 목적)
3)과학-동물의_한살이-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고 한 살이 과정 살펴보기
[ICT]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교수학습의 분류와 도구,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교수학...
<(수학) 수업계획안, 교육계획안> Ⅲ 식의 계산 1. 식의 계산 §2. 지수법칙
[수업 지도안] 청소년기의 특성과 과제
<스카프로 춤추기 학습지도안> (만3세) 생활주제 : 가족 스카프로 춤추기 수업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