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al Shift (물류공동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odal Shift (물류공동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물류공동화
1) 물류공동화의 의의와 필요성
2) 물류공동화 방안
3) 물류공동화의 추진 방향

Ⅱ. 본론
◉ 화물운송체계의 문제점
1. 국내화물운송의 실태
2. 도로운송 위주위 화물운송 체계
3. 국가물류비 상승의 구조적인 원인
4. 국가물류 체계 왜곡의 요인
◉ Modal Shift 정책 비전
1. Modal Shift 정책의 필요성
2. 도로운송과 복합 운송의 경쟁력 비교
3. Modal Shift의 목표와 경제적 효과
4. Modal Shift 추진전략
◉사례

Ⅲ. 결론
1 .맺음말

본문내용

5,079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 Modal Shift의 효과는 2006년 수도권 화물의 30%, 2011년에는 50%가 연안해운으로 Modal Shift 된다고 가정하여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에너지 절약은 각각 721억원과 1,76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송 사업자에 귀속된다.
한편 화주에게 귀속되는 물류비운임절약, 컨테이너세 절약과 일반부두 - 항외 컨테이너 장치장- 컨테이너 부두간의 셔틀운송비 절약부분을 합하면, 2006년과 2011년 각각 2,080억과 5,079억원에 달한다. 이는 수도권 컨테이너화물의 국내운송이 도로운송으로 이뤄짐으로써 발생하는 추가비용이다.
4. 추진전략
-기본 방향은 환경 부담이 큰 도로운송을 줄이고 친환경 운송체계를 촉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정부는 무엇보다도 Modal shift에 대한 종합적인 구상과 더불어 정책 목표들을 실현 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준비해야한다.
해양수산부는 동북아 물류중심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우선외항해운의 경쟁력과 짝을 이룰수 있도록 연안해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동북아 경제권에서 우리 해운물류기업이 강력한 물류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정책수단을 마련하지 못하면 동북아 물류중심기지 건설은 빈 구호에 불과하다.
민간기업들(화주기업, 연안해운사업자와 도로운송사업자)도 modal Shift 정책에 자발적인 참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제 도로운송업계와 연안해운업계는 Madal Shift 정책의 시행 주체로서 상호협력과 상생전략을 추구해야 할 때이다. 이하에서 정부의 역할을 간단하게 제시한다.
①Modal shift 정책은 범정부 차원에서 추구하여야 한다.
-Modal shift 정책이 국가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사활적 중요성을 가진 것이라면, 정부 관련당국은 정부 부처 간 긴밀한 정책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정책수단을 동원하고 시의 적절하게 추진해야한다.
②사회간접자본 투자예산 배정에서 항만투자에 최우선순위를 부여해야한다.
-항만투자는 Modal shift의 주역인 연안해운업체들이 사업하기에 적합한 항만물류인프라를 조성하는 일이다. 연안해운은 화물의 수송분담률이 60% 이상인 국가 기간운송망이다. Modal shift에 필수적인 항만건설에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집중하여야 한다.
③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방식이 혁신되어야 한다.
-특히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모선과 연안선이 동일한 컨테이너부두에 접안하여 환적작업을 완결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한다. 부산항과 광양항의 컨테이너 부두 처리능력이 확보된 이상, 컨테이너 운송체계의 합리화와 Modal shift의 촉진차원에서 운영방식을 조속히 혁신해야한다.
④최선 경제선대의 확보는 Modal shift의 필요조건이며 성공요인이다.
-Modal shift의 주도적인 수송수단은 연안해운이다. 연안해운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선형은 초고속 컨테이너선이나 Ro-Ro화물선과 같은 최선 경제선이다. 수도권 수출입화물의 50%까지 Madal shift가 이뤄지려면, 수많은 컨테이너선이 투입되어야 한다. 컨테이너선이나 Ro-Ro선은 선가가 높으므로 이를 확보하는 데 장기 저리의 정책자금이 요청된다. 최선 경제선 투입정책은 국가에서 선박건조자금을 지원하고, 사업자가 선박을 운항하면서 선박의 사용기간 동안 건조비용을 갚아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선박 금융제도, 즉 연안해운 구조혁신 기금의 설립활용이 필요하다.
⑤Modal shift의 경제적 효과에 비추어 볼 때, 이 정책 참가업체들의 원가 경쟁력을 강화, 운임경쟁력을 확보해주는 일이 필요하다. 면세 유류의 공급이 Modal shift에 가장 효과적인 인센티브이다. 또한 각종 항비의 감면조치도 필요하다.
⑥디지털 경제시대에 Modal shift 추진의 한 정책수단으로 종합물류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일이다. 복합운송사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물류사슬을 형성하는 화주, 창고업체, 등 시장 참가자들 간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 one stop service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Ⅲ. 결론
1. 맺음말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 국가로서 연안해운의 성장과 발전에 천혜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물류체계는 에너지 다소비형 고비용 물류체계인 도로운송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에게는 국가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면서 국토를 자손 대대로 살기 좋은 금수강산으로 보전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연안운송과 도로운송의 각각 장점을 살린 Modal shift 정책이 가져올 국내 물류체계의 혁신은 기대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정부는 Modal shift의 종합적인 정책구상을 선명하게 제시하고 가능한 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여 강력하게 추진해야한다. Modal shift 정책이 성공하려면 정부차원 뿐만 아니라 화주와 운송사업자 등 모든 관련 당사자들의 공감대 형성과 협조와 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지속 가능한 물류경쟁우위는 Modal shift 정책의 추진으로 창출된다. 우리나라가 왜곡된 국가 물류체계에서 탈피하여 이음새 없이 매끄러운 녹색물류체계를 확보할 때, 동북아 물류중심기지 실현의 길이 열릴 것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 건설교통백서 1998-2002, 2003.3
건설교통부, 국가기간교통망계획 1998-2020, 1998.12
광양선박, 한국연안해운의 물류개선을 선도하는 철강제품 전용선과 ro-ro개발, 1999.6
한국기업의 물류성공사례, (사단법인 한국 물류협회 협찬)
일본물류연구회 (모달시프트 추진방안) 대성출판사 1995
일본선주협회, 해상모달시프트에 대한 조사, 2002.10
교통개발 연구원, 교통부문의 환경문제와 대응방안, 1998
물류공동화사업추진사례집 -대구상공회의소- 1997
21세기 국가물류정책의 비전과 전략 -국가물류기본계획부분- , 교통개발연구원 2000.3
물류용어집 -형설출판사-
www. empas.co.kr
www. yahoo.co.kr
www. naver.com
www. simmani. co. kr
www. logispark.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11.08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