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의 NGO 현황과 제도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요국의 NGO 현황과 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본부를 둔 원조 관련 NGO 도 많이 있다.
* 개발도상국의 NGO는 강한 정치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NGO활동에 대해 정치 적 위협이 될 것이라는 의구심을 가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른 유착 및 갈등이 발생한다.
* 그럼에도 정부, 유엔, 세계은행과 같은 다자간 기구들이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에 있어 NGO의 잠재력에 대해 인식을 넓히고 있다. 특히 국가조직이 약하거나 신뢰하기 어려울 때, NGO는 빈곤층에 대한 효과적인 복지전달 조직으로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 개발도상국 NGO를 연결하는 NGONET
http://fp.chaseque.net:8081/ngonet
1991년 결성, NGO간 정보 공유, 협력하는 접점의 기능
♠ CONGO (Conferenc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ttp://www.conferenceofNGOS.org/index1.html
NGO와 UN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담당
2) 개발도상국의 NGO 활동 사례
① 자조활동을 통한 빈곤 탈출
♠ COPAC (Committee for the Promotion and Advancement of Cooperatives)
http://www.copacgva.org
협동조합 활동을 촉진하고 각 조합 활동 연계위해 UN의 지원을 받아 NGO를 연결함
② 부당한 철거저지와 주거권 확보
♠ ACHR
http://www.achr.net
태국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각국 주거권 운동들의 경험과 정보 공유, 공동으로 정부에 대해 압력 행사, 각종 국제기구에 대해 주거권 침해사례를 고발. 지역별 철거 감시, 주민 훈련 프로그램, 청년 전문가 양성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여성참여 네트 워크, 신용협동조합운동을 지도하고 있다.
③ 빈곤대책 촉구
♠ Social Watch
http://www.socwatch.org.uy
각국의 빈곤실태를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정부의 정책이 실제 약속처럼 이행되고 있는지 감시하고 있다. 사회개발과 성차별 해소에 참여하는 시민들과 민간단체의 접점이며 네트 워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④ 인권과 정치적 자유
♠ 국제사면위원회 (Amnesty International)
http://www.amnesty.org
개발도상국은 물론, 선진국에서의 인권침해 사례를 감시하고 대안 제시하는 세계적인 조 직. 매년 인권보고서를 발간, 다양한 분야의 인권침해에 대해 여론을 조성함.
  • 가격1,000
  • 페이지수0페이지
  • 등록일2013.11.11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