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 뇌농양 (brain abscess)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 뇌농양 (brain absces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연구기간
2.사례 연구 장소
3.관련 주제 고찰
 (1) 병태생리/원인
 (2)증상
 (3)치료
 (4)예후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본 론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소개 및 입원시 정보
2. 투약력
3. 과거건강력
4. 신경학적인 검사
5. 일반적 검사 결과
6. Medication

◆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 수술 전 간호

1. 의식수준 사정
2. Pupil 사정
3. 정서적지지
4.근육운동력의 단계

◆결론

본문내용



환자: (질병으로 인한 self talking)
보호자: 수술은 언제하게 되는 것인가요? 수술하면 경과는 어떨까요?
수술 전에 하는 검사는 무엇인가요? 이번 촬영은 또 어떤 것이죠?
객관적 자료
① brain abscess로 10/17(금) OP예정임.
② 수술 전
10/4(L-spine MRI) 10/7 (Pet CT), 10/10(bone scan), 10/13(abdomen 촬영), 10/15(MRI)
10/16(Bx.예정) 10/17(OP예정)
③잦은 촬영과 검사로 불안해하고 걱정하는 보호자의 모습이 보임.
④C.T 검사 결과 Rt. temporal lobe에 농양이 있으며 5.2x 5x 5.7cm이며 mass effect 에 의 해 midline 이 L sided shifting을 보임
◆ 수술 전 간호
1. 의식수준 사정
(1) mental check
의식의 사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verbal communication여부와 painful stimulation에 대한 반응임.
(2) Glasgow Coma Scale
두부 외상 및 뇌수술 이후의 예후를 알 수 있도록 점수화 한 scale(최고 15점, 최저 3점)
* GSC 수준
- Good prognosis..................13점 이상
- Moderate prognosis..........8~12점
- Poor prognosis...................7점 이하
2. Pupil 사정
(1) Size
① 종류 : pin point, dilatation
② 정상 크기: 1.5~3mm, 정상인도 양쪽 동공 크기 차이가 0.5mm발생 가능(physiologic anisocoria), 양쪽 동공이 2mm이상(anisocoria)
(2) Shape
① 정상: round shape
② 비정상: ovoid, keyhole, irregular shape(녹내장 수술을 받았던 환자)
(3) Reation to light
① Direct light reflecx : 동공에 빛을 비추었을 때 비친 쪽 동공이 즉각적으로 수축하여 동공으로 부터 빛이 사라질 때 확대되는 반응
② consensual light reation : 한쪽 눈에 빛을 비추었을 때 동공 수축과 함께 반대편 동공수축이 일어나며 비칭 사라질 때 동시에 반대쪽 동공의 크기가 확대되어지는 반응
* light reflex는 시신경에서 빛을 감지하여 뇌교의 핵들을 거쳐 동측 및 반대측 동안신경의 작용으로 동공을 수축케 하는 반응으로 뇌의 총괄적인 기능 이상 유무를 확인.
0단계
근육 수축이 안됨. : 혼수
1단계
근육 수축이 겨우 보이나, 관절 운동이 안됨(10%).
2단계
중력을 없게 하면, 부분적 범위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육의 힘(25%)
3단계
중력을 이길 수 있는 전 범위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육(50%)
4단계
중력과 어느 정도의 저항을 함께 이길 수 있는 전 범위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육의 힘(75%)
5단계
중력과 최대의 저항을 이기며, 피로 없이 수 차례 전 범위의 운동을 시행할 수 있는 근육의 힘(100%): 정상
3. 정서적지지
(1) 환자의 고통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
(2) 행해지는 처치에 대해 친절히 설명.
(3) 낯선 환경에 대해 친절히 설명.
(4)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가족들의 방문이 있다고 안심시킴.
4.근육운동력의 단계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2시간마다 사정한다.
매 2시간마다 환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고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의식수준 사정은 대상자 파악의
가장 기초가 될 수 있다.
사정결과 drowsy C confusion함.
GSC 10~12점임.
Pupil을 Q2로 사정한다.
대상자의Pupil의 상태를 2시간마다 관찰하였다.
Pupil 사정은 환자의 현재 상태 파악에 도움이 된다.
사정 결과 R/L가
3+/3+로 체크됨.
근육운동력을 Q2로 측정한다.
대상자의 근육운동력을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근육운동력을 자주 측정함으로써 현재 환자 상태를 파악한다.
근육운동력 4~5단계로 측정됨
(All G4>G5)
환자와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현 상황을 설명해 주고 불안감을 표현하도록 한다.
면담시간때 보호자에게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불안감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보호자와 환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수술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정서적으로 도움을 줄수 있다.
보호자는 “수술을 언제하나요. 상태는 어떠한가요?” 등의 불안감을 표현하였으며
정서적으로 지지를 받음.
VlS 을 Q2로 체크하고 자주 라운딩을 하여 환자상태를 관찰한다.
환자의 활력증후를 매 2시간마다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활력증후는 환자의 상태를 빨리 알 수 있는 것으로 자주 체크할 수록 환자파악에 도움을 준다.
140/80-78-18-37.8
100/60-82-26-36.8
90/50-90-17-36
열이 있어 발렌탁을 주었더니 교정됨.
◆결론
대상자는 본 학생간호사가 실습기간 중 관찰한 환자로 두 달전 온몸 떨리는 증상으로 CT상 RT. Temporal ICH로 입원하여 Care 받으며 증상 호전되다 컨디션 저하되어 Br. CT찍고 ICH보다는 brain abscess 가능성 높아 본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입원 후에 잦은 촬영과 검사로 불안해하고 걱정하는 환자와 보호자의 모습을 여러차례 관찰할 수 있었고 C.T 검사 결과 Rt. temporal lobe에 농양이 있으며 5.2x 5x 5.7cm이며 mass effect 에 의해 midline 이 L sided shifting을 보인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환자의 의식수준 또한 현저하게 저하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실습기간 동안 대상자의 OP를 보지 못하고 실습을 마치게 되어 안타까웠지만 그동안의 실습기간동안 본 학생간호사는 대상자를 위해 할 수 있는 처치를 최선을 다하여 시행하였음은 자신할 수 있다. 환자는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 낙상의 위험성이 큰 환자였고 또한 입원 중에 신체적 손상을 가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었기에 이를 중점으로 진단을 잡게 되었다.
감사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1.11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3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