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공원리
2. 가공설비장치
-전해가공기
3. 공정종류
-전해를 이용한 가공법
-전해연삭
-전해연마
4. 가공가능 재료
-초경합금
-내열강
5. 기타특이사항
6. 결론
7. 참고문헌
2. 가공설비장치
-전해가공기
3. 공정종류
-전해를 이용한 가공법
-전해연삭
-전해연마
4. 가공가능 재료
-초경합금
-내열강
5. 기타특이사항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다 평활한 면을 얻는다.전해액은 피연마금속(被硏磨金屬)에 따라 다른데,아세트산무수물·알칼리·인산을 사용하며, 이것에 산화력이 강한과염소산·크로뮴산등을 가한 것이다.전기도금의 예비처리에 많이 쓰며, 펜촉·정밀기계부품·화학장치부품·주사침과 같은 금속 및 합금제품에 응용된다. 광물·금속·합금 등의 표면조직의 연구시료 제작에도 사용된다.
4. 가공가능재료
초경합금
금속의탄화물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흔히 사용되는 것은 탄화(炭化)텅스텐을 주체로 한 결합금속인코발트와 소결합금(燒結合金)으로, 코발트는 중량비율이 6 % 정도이므로 탄화텅스텐 입자들 사이의 코발트에 탄소와 텅스텐의 녹은 것이 개재해 있다. 이런 조직의 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耐磨耗性)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절단기) ·다이스등에 사용되고, 그 밖에 광산이나 토목용에서 바위에 구멍을 뚫는 착암용 공구의 선단 등에도 사용된다. 이 합금을 만드는 데는 코발트 가루와 탄화텅스텐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여프레스하여 성형(成形)한 다음 온도를 올려 소결(燒結)하는데, 먼저 1,000 ℃에서 코발트 가루끼리를 소결(예비소결)하였을 때쯤 최종 형태로 마무리하고, 그 다음에 1,400 ℃로 가열하여 본소결한다. 이것으로 텅스텐과 탄소가 코발트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가 강한고용체가 되며, 이로 인하여 탄화텅스텐의 입자가 결합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내열강
강철을 고온에서 사용하려면, 고온에서도 강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고, 고온의 대기·가스 등의 사용조건에서도 산화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내산화에는 알루미늄·규소·크로뮴등을 첨가하면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규소는 가공하기 어려우므로, 처음에는 크로뮴만을 첨가한크로뮴강을 만들고, 이어서 크로뮴과몰리브데넘을 첨가한합금강을 만든다. 그 후 크로뮴과 니켈을 많이 첨가하여 고온에서 안정된 오스테나이트상(면심입방구조)으로 만든 것이 사용된다.
5. 기타 특이사항
전해가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경도가 크고 인성이 큰 재료에 대해서도 가공률이 높다.
② 복잡한3차원가공도쉽게 할 수 있다.
③ 열이나 힘의 작용이 없으므로금속학적인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
④ 공구인 음극의 소모가 거의 없다.
6. 결론
전해가공(電解加工·Electrochemical machining·ECM)은전기분해의원리를 이용한 것으로공구를 음극, 공작물을 양극에 연결하고 양자 사이에전해질용액을 흘려보내면서 수천암페어의 대전류를 통하게 한다. 공작물이철합금인 경우,전해질용액으로식염수를 사용하는 수가 많으며,전극공구로는구리또는황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전극공구와 마주보고 있는 공작물은 전기분해되어 철의이온이 되고수산화철혹은산화철의 분말이 되어 가라앉는다.전해가공은 3000A의 전류를 보낼 때에 공작물을 매분 40g 정도 제거할 수 있는가공속도가 되는데,방전가공에서는 기껏 해야 1분에 0.5g 정도에 불과하다.이처럼 가공속도는 전해가공 쪽이 훨씬 크다.
7. 참고문헌
-두산백과
-지식백과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인
4. 가공가능재료
초경합금
금속의탄화물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흔히 사용되는 것은 탄화(炭化)텅스텐을 주체로 한 결합금속인코발트와 소결합금(燒結合金)으로, 코발트는 중량비율이 6 % 정도이므로 탄화텅스텐 입자들 사이의 코발트에 탄소와 텅스텐의 녹은 것이 개재해 있다. 이런 조직의 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耐磨耗性)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절단기) ·다이스등에 사용되고, 그 밖에 광산이나 토목용에서 바위에 구멍을 뚫는 착암용 공구의 선단 등에도 사용된다. 이 합금을 만드는 데는 코발트 가루와 탄화텅스텐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여프레스하여 성형(成形)한 다음 온도를 올려 소결(燒結)하는데, 먼저 1,000 ℃에서 코발트 가루끼리를 소결(예비소결)하였을 때쯤 최종 형태로 마무리하고, 그 다음에 1,400 ℃로 가열하여 본소결한다. 이것으로 텅스텐과 탄소가 코발트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가 강한고용체가 되며, 이로 인하여 탄화텅스텐의 입자가 결합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내열강
강철을 고온에서 사용하려면, 고온에서도 강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고, 고온의 대기·가스 등의 사용조건에서도 산화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내산화에는 알루미늄·규소·크로뮴등을 첨가하면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규소는 가공하기 어려우므로, 처음에는 크로뮴만을 첨가한크로뮴강을 만들고, 이어서 크로뮴과몰리브데넘을 첨가한합금강을 만든다. 그 후 크로뮴과 니켈을 많이 첨가하여 고온에서 안정된 오스테나이트상(면심입방구조)으로 만든 것이 사용된다.
5. 기타 특이사항
전해가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경도가 크고 인성이 큰 재료에 대해서도 가공률이 높다.
② 복잡한3차원가공도쉽게 할 수 있다.
③ 열이나 힘의 작용이 없으므로금속학적인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
④ 공구인 음극의 소모가 거의 없다.
6. 결론
전해가공(電解加工·Electrochemical machining·ECM)은전기분해의원리를 이용한 것으로공구를 음극, 공작물을 양극에 연결하고 양자 사이에전해질용액을 흘려보내면서 수천암페어의 대전류를 통하게 한다. 공작물이철합금인 경우,전해질용액으로식염수를 사용하는 수가 많으며,전극공구로는구리또는황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전극공구와 마주보고 있는 공작물은 전기분해되어 철의이온이 되고수산화철혹은산화철의 분말이 되어 가라앉는다.전해가공은 3000A의 전류를 보낼 때에 공작물을 매분 40g 정도 제거할 수 있는가공속도가 되는데,방전가공에서는 기껏 해야 1분에 0.5g 정도에 불과하다.이처럼 가공속도는 전해가공 쪽이 훨씬 크다.
7. 참고문헌
-두산백과
-지식백과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인
추천자료
선반,밀링,범용기계
알루미늄의 양극산화(anodizing)
[행동주의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분석 및 행동...
절삭저항 결과레포트
관리회계원리(1.원가행동의 유형에 따른 원가의 종류 2.총원가의 자료로부터 고저점법(high-l...
기계 공작 용접
한국산업규격(KS)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개념과 특징,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동작원리와...
[사회복지법제론]사회복지법의 원리
이론통합 (밀링)
초음파가공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 - 배경 및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
[기계공학 실험] 전위차계(Potensiometer)를 사용한 길이측정 : 전위차계(Potensiometer)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