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dysenteriae(혈청군A), S. flexner(혈청군B), S. boydii(혈청군C), S.sonnei(혈청군D)로 분류된다. 한편 Salmonella에 속하는 세균들은 약 2,500여 혈청형을 가지며 A, B, C, D군에 속하는 것이 전체의 약 96%가 된다.
4. Neiseria
a) Neiseria는 그람음성 알균으로 수막염, 임질 및 인후두염을 일으킨다. 이 commensal bacteria의 특징은 oxidase를 생산한다는 점이다. b) Neisseria속의 균들이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에 대해 각각 당 분해능이 다르기 때문에 균종감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분리균 검사결과 후 그람음성, diplococcic, oxidase 양성인 것이 확인되어 N. gonorrhea, N. meningitidis등이 의심되면 이후 확인동정법으로 당분해능을 본다
우선 chocolate agar plate에 배양을 하였다.
1) oxidase test
청색의 indophenol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왼쪽은 시약을 뿌린 후 바로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5분 지난 후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B.catarrhalis가 더 빨리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oxidase 생산 능은 N.sicca보다 높은 것 같다. 그러나 결국 색깔로는 두 균을 동정하기 어려우므로 추가 실험을 하게 된다.
※ 동정을 위한 추가 실험 중 하나인 KIA slant 관찰실험은 따로 제출 하였다. 진행했던 나머지 추가 실험들을 계속 살펴보기로 하자.
2) 당분해 검사(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
Neisseria속의 균들이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에 대해 각각 당 분해능이 다르기 때문에 균종감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분리균 검사결과 후 그람음성, diplococcic, oxidase 양성인 것이 확인되어 N. gonorrhea, N. meningitidis등이 의심되면 이후 확인동정법으로 당분해능을 본다.
B.catarrhalis의 경우는 당 분해능이 없어서 4가지 시험관 모두 붉은색으로 그대로 존재했고, N.sicca 의 경우는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 네 가지 당을 모두 분해하여 산성 대사물질이 나와 노란색으로 변하였다. 정상적으로 실험결과가 나온 것이다.
3) Gram 염색
두 균 모두Gram(-)이며 diplococcis(쌍구균)로 강낭콩 또는 콩팥 모양 비슷하게 나오는 것을 관찰해 보았다. 왼쪽부터 B.catarrhalis, N.sicca 이고, N.sicca가 좀 더 주름져 보였다.
5. Candida albicans
효모는 보통 형태에 따라 균사의 특징을 가진 진균, 효모의 특징을 가진 진균, 실온에서 균사형/체내에서 효모모양인 것, 세균과 진균 중간에 속하는 것들이 있다 그리고 효모는 세균에 비하여 크기가 매우 커서 400배의 저배율에서도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C. albicans는 효모의 특징을 가진 진균으로 출아에 의해 증식을 한다. Sabouraud glucose agar slant에 Candida albicans를 접종하여 37℃에서 1~4일간 배양하면 효모냄새가 나는 연한 백색의 크림색 집락이 자란다. 표면은 평활하나 약간 주름이 있으며 배지내의 균사가 침입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먼저 하루 전에 C. albicans를 sabouraud glucose agar slant에 incubation 하였다.
배양한 균을 FBS에 넣어 부유액을 만든 후, 다시 incubator에 넣어 30분 간격으로 3번 slide에 도말하여 관찰하였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30분이 지나면 짧은 germ tube들이 몇 군데에서 보이기 시작하지만 대부분은 구형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1시간이 지나면 보다 긴 germ tube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하고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효모는 증식 속도가 빨라 짧은 시간 내에 germ tube 형성한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
1. 대한미생물학회, 『의학미생물학실습』, 서흥출판사, 제 5판, 2005.
2. Patrick R. Murray 외 2명, Medical Microbiology, 6/ed, 2009, ELSEVIER
3. Wikipedia 백과사전.
4. Neiseria
a) Neiseria는 그람음성 알균으로 수막염, 임질 및 인후두염을 일으킨다. 이 commensal bacteria의 특징은 oxidase를 생산한다는 점이다. b) Neisseria속의 균들이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에 대해 각각 당 분해능이 다르기 때문에 균종감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분리균 검사결과 후 그람음성, diplococcic, oxidase 양성인 것이 확인되어 N. gonorrhea, N. meningitidis등이 의심되면 이후 확인동정법으로 당분해능을 본다
우선 chocolate agar plate에 배양을 하였다.
1) oxidase test
청색의 indophenol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왼쪽은 시약을 뿌린 후 바로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5분 지난 후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B.catarrhalis가 더 빨리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oxidase 생산 능은 N.sicca보다 높은 것 같다. 그러나 결국 색깔로는 두 균을 동정하기 어려우므로 추가 실험을 하게 된다.
※ 동정을 위한 추가 실험 중 하나인 KIA slant 관찰실험은 따로 제출 하였다. 진행했던 나머지 추가 실험들을 계속 살펴보기로 하자.
2) 당분해 검사(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
Neisseria속의 균들이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에 대해 각각 당 분해능이 다르기 때문에 균종감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분리균 검사결과 후 그람음성, diplococcic, oxidase 양성인 것이 확인되어 N. gonorrhea, N. meningitidis등이 의심되면 이후 확인동정법으로 당분해능을 본다.
B.catarrhalis의 경우는 당 분해능이 없어서 4가지 시험관 모두 붉은색으로 그대로 존재했고, N.sicca 의 경우는 glucose, maltose, fructose, sucrose 네 가지 당을 모두 분해하여 산성 대사물질이 나와 노란색으로 변하였다. 정상적으로 실험결과가 나온 것이다.
3) Gram 염색
두 균 모두Gram(-)이며 diplococcis(쌍구균)로 강낭콩 또는 콩팥 모양 비슷하게 나오는 것을 관찰해 보았다. 왼쪽부터 B.catarrhalis, N.sicca 이고, N.sicca가 좀 더 주름져 보였다.
5. Candida albicans
효모는 보통 형태에 따라 균사의 특징을 가진 진균, 효모의 특징을 가진 진균, 실온에서 균사형/체내에서 효모모양인 것, 세균과 진균 중간에 속하는 것들이 있다 그리고 효모는 세균에 비하여 크기가 매우 커서 400배의 저배율에서도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C. albicans는 효모의 특징을 가진 진균으로 출아에 의해 증식을 한다. Sabouraud glucose agar slant에 Candida albicans를 접종하여 37℃에서 1~4일간 배양하면 효모냄새가 나는 연한 백색의 크림색 집락이 자란다. 표면은 평활하나 약간 주름이 있으며 배지내의 균사가 침입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먼저 하루 전에 C. albicans를 sabouraud glucose agar slant에 incubation 하였다.
배양한 균을 FBS에 넣어 부유액을 만든 후, 다시 incubator에 넣어 30분 간격으로 3번 slide에 도말하여 관찰하였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30분이 지나면 짧은 germ tube들이 몇 군데에서 보이기 시작하지만 대부분은 구형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1시간이 지나면 보다 긴 germ tube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하고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효모는 증식 속도가 빨라 짧은 시간 내에 germ tube 형성한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
1. 대한미생물학회, 『의학미생물학실습』, 서흥출판사, 제 5판, 2005.
2. Patrick R. Murray 외 2명, Medical Microbiology, 6/ed, 2009, ELSEVIER
3. Wikipedia 백과사전.
추천자료
유전학 과제 및 실험 레포트
동물실험 및 동물사육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 쟁점에 대한 분석, 해결방안
Chromosomal DNA isolation of E.coli(대장균) Gene manipulation using PCR
살모넬라증
[식품미생물] 식품미생물 핵심정리 노트
[생물]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의 관찰 및 미생물 염색법 실험 보고서
DNA 추출에 대하여
[미생물]미생물의 개념, 미생물의 생장요인, 미생물의 항원, 미생물과 균류, 미생물과 원생동...
병원미생물 - 신체 부위별 감염질환
[미생물 의약품 실험] 토양 속 미생물 채취 및 배양, Streaking을 이용한 부차배양 (Subculture)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의미, 생물바이러스(바이러스)의 역사, ...
자연과학 - 미생물의 종류와 역할
2.순수배양 미생물의 기본형태
항생제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조사 하고, 이를 관리 또는 대처하는 방법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