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레포트 저술 동기
2. 유교의 이기론
3. 퇴계 이황
4. 율곡 이이
5. 퇴계 이황 vs 율곡 이이
2. 유교의 이기론
3. 퇴계 이황
4. 율곡 이이
5. 퇴계 이황 vs 율곡 이이
본문내용
직이는 일은 없다.
5. 퇴계 이황 vs 율곡 이이
이황
위정척사사상
성리학
주기론
이기호발
외세배척
성리학 전통고수
심성론
이기론
기대승
이이
실학
경세치용
이용후생학파
실사구시학파
개회사상
이와 기의 조화
주리론
이통기국
정약용
근대지향
중농주의
실증연구
실증연구
근대화 추구, 동도서기론
1) 공통점
- 존양성찰 : 본성(양심)을 잘 보존하여 邪心(사심, 사악한 마음)이 생기는 것을 경계하는 것.
- 존천리거인욕 : 천리를 보존하여 인욕을 제거함.
- 위기지학 : 성인이 되기 위한 공부나 학문, 자기의 인격수양을 위하여 학문을 함.
- 수기안인 : 다른 이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기 위해 스스로를 갈고 닦음.
이 공통점은 이황과 이이만의 것이라고 보기보다는 성리학과 양명학 맹자의 선천적인 도덕심과 마음의 발양을 통해 타인을, 나아가 인간세계와 우주를 성실하고 바르게 하자는 이상을 형이상학화한 것
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2) 차이점
이황
이이
- 사단과 칠정을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고 봄.
- 이와 기는 섞일 수 없다(이기불상잡)는 점에 주목하여 이와 기의 원천은 다르다고 봄.
- 이는 귀하고 존귀한 것이며 기는 비천한 것이다(이귀기천설, 이존기비설)을 주장.
- 이황은 이와 기가 모두 발할 수 있다고 주장함(이기호발설)
-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이를 따른 것(이발이기수지)
-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 것(기발이이승지)
- 사단과 칠정은 본래 두 가지가 아니며 칠정과 별도로 사단이 있는 것이 아님을 주장.
- 이는 발하는 근거이고 기는 발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비판함.
- 이와 기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이기불상리)는 점을 주장하여 이황의 이기불상잡,
이와 기를 분리하여 보려고 하는 이황의 사상을 비판함.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되는 것임(이통기국론)을 주장함.
- 칠정은 사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사단은 칠정을 포함할 수 없다고 주장함.
- 사단은 단지 칠정의 선한 측면일 뿐이라고 주장함.
-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다(기발이승일도설)
*주리론
-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의 우위를 주장하는 이론.
이(理)와 기(氣)가 어디까지나 두 가지이지 한 가지가 아니며, 기(氣)는 결코 상존하지 않고 생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이(理)는 항존불멸하는 것으로 기(氣)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이며, 능동성을 가진 이(理)가 발동하여 기(氣)를 주재한다.
이황이 집대성하였고 이현일(李玄逸), 이재(李栽), 이상정(李象靖), 유치명(柳致明), 이진상(李震相), 이항로(李恒老) 등에게 계승되었다.
*주기론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와 기를 일원적으로 파악하고 기의 작용을 강조하는 이론.
기(氣)만이 능동성을 가지고 발동할 수 있으므로 모든 현상은 기가 움직이는 데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理)는 단순히 기를 주재하는 보편적 원리에 불과하다는 주장.
이이에 의해 집대성되었으며, 김장생(金長生), 정엽(鄭曄),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에게 계승되었다.
5. 퇴계 이황 vs 율곡 이이
이황
위정척사사상
성리학
주기론
이기호발
외세배척
성리학 전통고수
심성론
이기론
기대승
이이
실학
경세치용
이용후생학파
실사구시학파
개회사상
이와 기의 조화
주리론
이통기국
정약용
근대지향
중농주의
실증연구
실증연구
근대화 추구, 동도서기론
1) 공통점
- 존양성찰 : 본성(양심)을 잘 보존하여 邪心(사심, 사악한 마음)이 생기는 것을 경계하는 것.
- 존천리거인욕 : 천리를 보존하여 인욕을 제거함.
- 위기지학 : 성인이 되기 위한 공부나 학문, 자기의 인격수양을 위하여 학문을 함.
- 수기안인 : 다른 이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기 위해 스스로를 갈고 닦음.
이 공통점은 이황과 이이만의 것이라고 보기보다는 성리학과 양명학 맹자의 선천적인 도덕심과 마음의 발양을 통해 타인을, 나아가 인간세계와 우주를 성실하고 바르게 하자는 이상을 형이상학화한 것
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2) 차이점
이황
이이
- 사단과 칠정을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고 봄.
- 이와 기는 섞일 수 없다(이기불상잡)는 점에 주목하여 이와 기의 원천은 다르다고 봄.
- 이는 귀하고 존귀한 것이며 기는 비천한 것이다(이귀기천설, 이존기비설)을 주장.
- 이황은 이와 기가 모두 발할 수 있다고 주장함(이기호발설)
-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이를 따른 것(이발이기수지)
-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 것(기발이이승지)
- 사단과 칠정은 본래 두 가지가 아니며 칠정과 별도로 사단이 있는 것이 아님을 주장.
- 이는 발하는 근거이고 기는 발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비판함.
- 이와 기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이기불상리)는 점을 주장하여 이황의 이기불상잡,
이와 기를 분리하여 보려고 하는 이황의 사상을 비판함.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되는 것임(이통기국론)을 주장함.
- 칠정은 사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사단은 칠정을 포함할 수 없다고 주장함.
- 사단은 단지 칠정의 선한 측면일 뿐이라고 주장함.
-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다(기발이승일도설)
*주리론
-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의 우위를 주장하는 이론.
이(理)와 기(氣)가 어디까지나 두 가지이지 한 가지가 아니며, 기(氣)는 결코 상존하지 않고 생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이(理)는 항존불멸하는 것으로 기(氣)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이며, 능동성을 가진 이(理)가 발동하여 기(氣)를 주재한다.
이황이 집대성하였고 이현일(李玄逸), 이재(李栽), 이상정(李象靖), 유치명(柳致明), 이진상(李震相), 이항로(李恒老) 등에게 계승되었다.
*주기론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와 기를 일원적으로 파악하고 기의 작용을 강조하는 이론.
기(氣)만이 능동성을 가지고 발동할 수 있으므로 모든 현상은 기가 움직이는 데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理)는 단순히 기를 주재하는 보편적 원리에 불과하다는 주장.
이이에 의해 집대성되었으며, 김장생(金長生), 정엽(鄭曄),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에게 계승되었다.
추천자료
이황의 사상의 현대적 의미 찾기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조선에서 주기철학은 가능한가
유림을 읽고
금보가(琴譜歌)
[주리론][주리철학][주리론(주리철학) 이론][주리론(주리철학) 종경정신][전거수사]주리론(주...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
철학 가져가기
한국 정치 사상의 흐름 정리
가정윤리 - 부부, 부모와 자녀, 형제
교육과 철학을 주도한 사상가들 - 교육철학 관련 사상가 동양 20명, 서양 20명 요약정리
[교육학과-교육사공통]우리나라country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