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실험연구의 개념
3.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개념
4.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특징
5.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장단점
6.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 가설을 설정 및 설계
7.참고 자료
2.실험연구의 개념
3.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개념
4.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특징
5.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의 장단점
6.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 가설을 설정 및 설계
7.참고 자료
본문내용
다는 제약이 따른다.
둘째, 실험은 반응적인 방법이다. 실험자의 기대가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자가 조사대상자에게 암시를 주게 되면 그들은 실험자가 바라는 대로 응답하거나 반응한다. 따라서 실험자는 실험결과를 그가 세운 가설에 보다 일치되도록 잘못 해석한다.
셋째, 표본의 비 대표성이다. 실험을 위해 선정된 실험대상은 연구자가 전제하고 있는 모집단의 대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모집단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여 실험대상으로 삼기는 대단히 곤란한 경우가 많다.
넷째, 비용의 과중이다. 특히 통제집단사전사후검사설계는 다른 조사 설계에 비해 대단히 많은 비용이 든다.
6.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 가설을 설정 및 설계
가설: 업무 중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독립변수: 스트레칭 프로그램
종속변수: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업무 피로도 감소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 50명을 선정한 뒤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었다. 일단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직장인들에게 스트레칭 테스트와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평균 40점, 통제집단 평균 40점으로 동질한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확인한 뒤 실험집단에게만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점심 식사 후 15분 동안, 3개월 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실험집단 직장인들과 통제집단 직장인들이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확산을 방지하였다. 3개월 뒤 두 집단 직장인들 모두에게 스트레칭 테스트와 스트레스 검사를 다시 한 번 실시하였고, 그 결과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직장인들은 평균 70점으로 향상되었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직장인들은 평균 42점으로 전과 비슷하게 나왔다. 사전사후 검사 점수가 비슷한 통제집단과 달리 프로그램 실시 후 점수가 오른 실험집단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스트레칭 프로그램이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업무피로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참고 자료
- 홍두승, “사회복지조사론”, 다산출판사, 2000
- 김경동·이온죽, 「사회조사연구방법」, 서울: 박영사
- 최영주 역, 「실험심리학」서울: 성원사
-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 차배근,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둘째, 실험은 반응적인 방법이다. 실험자의 기대가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자가 조사대상자에게 암시를 주게 되면 그들은 실험자가 바라는 대로 응답하거나 반응한다. 따라서 실험자는 실험결과를 그가 세운 가설에 보다 일치되도록 잘못 해석한다.
셋째, 표본의 비 대표성이다. 실험을 위해 선정된 실험대상은 연구자가 전제하고 있는 모집단의 대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모집단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여 실험대상으로 삼기는 대단히 곤란한 경우가 많다.
넷째, 비용의 과중이다. 특히 통제집단사전사후검사설계는 다른 조사 설계에 비해 대단히 많은 비용이 든다.
6.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 가설을 설정 및 설계
가설: 업무 중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독립변수: 스트레칭 프로그램
종속변수: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업무 피로도 감소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 50명을 선정한 뒤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었다. 일단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직장인들에게 스트레칭 테스트와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평균 40점, 통제집단 평균 40점으로 동질한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확인한 뒤 실험집단에게만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점심 식사 후 15분 동안, 3개월 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실험집단 직장인들과 통제집단 직장인들이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확산을 방지하였다. 3개월 뒤 두 집단 직장인들 모두에게 스트레칭 테스트와 스트레스 검사를 다시 한 번 실시하였고, 그 결과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직장인들은 평균 70점으로 향상되었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직장인들은 평균 42점으로 전과 비슷하게 나왔다. 사전사후 검사 점수가 비슷한 통제집단과 달리 프로그램 실시 후 점수가 오른 실험집단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스트레칭 프로그램이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업무피로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참고 자료
- 홍두승, “사회복지조사론”, 다산출판사, 2000
- 김경동·이온죽, 「사회조사연구방법」, 서울: 박영사
- 최영주 역, 「실험심리학」서울: 성원사
-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 차배근,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추천자료
한국적 심리학의 가능성: 집단주의-개인주의 연구가 주는 시사점
[학교 폭력] 집단따돌림 예방 및 치유 방안 연구
논문분석 - 독서활동을 이용한 구조화된 집단놀이치료 사례연구
개인과 집단 인센티브로써의 성과급 제도에 대한 연구
[수준별교육과정]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이론적 기초,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
정신장애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주요 상담 심리학의 연구나 실험을 한 가지 찾아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주세요
종이 헬리콥터 체공시간 최대화를 위한 실험(계획실험 계획, 체공시간 최대화 실험 조사, 실...
[물리학 실험] 힘의 벡터합성 (힘의 평형실험) : 힘의 합성 대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
패션소재 특성 연구 - 팬션소재에 관한 여러가지 실험 {실의 번수 실험,실의 꼬임수 실험,직...
★ 사회복지조사론 - 학령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 또래집단관...
[아동복지론 연구] 아동복지서비스의 대상과 분류 아동복지실천방법과 기술 [아동복지서비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