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과 응원의 심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중과 응원의 심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주제 선정 이유

2.본론
1) 관중의 개념
2) 관중의 특징
3) 사회적 촉진개념(관중효과)
4) 사회적 촉진이론
( Zajonc의 단순 존재 가설, Cottrell의 평가 우려 가설)
5) 관중에 따른 선수 경기력 변화
(홈과 어웨이가 미치는 경기력 변화,관중의 수에 따른 경기력 변화)
6) 2002 월드컵 한국의 4강과 관중

3.결론

본문내용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긴장되고 타인에게 민감해지며 경기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팀을 응원하는 관중이 상대를 응원하는 관중보다 많고, 응원에 대한 그들의 참여율이 상대팀 보다 높은 경우가 약 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외에 수영과 같은 특정 종목에서는 자신을 응원하는 관중이 상대를 응원하는 관중보다 적을 때 보다 긴장되고 타인에게 민감해 진다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긴장감과 타인에 대한 민감도의 상승, 그리고 경기 의욕의 상승은 대체로 좋은 성적을 내는데 도움이 된다는 평이었다.
5-2) 관중의 수에 따른 경기력 변화
Zajonc의 관중효과에 따르면 관중이 많이 존재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선수들의 욕구 수준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선수들의 운동능력은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관중의 절대적인 수가 증가할수록 경기력은 향상될 것이다.
높은 긴장도
평가에 대한 높은 민감도
경기에 대한 높은 욕구
항목1. 총 관중수가 많고 그들의 참여도가 높은 경기
30
30
32
항목2. 총 관중수가 많으나 그들의 참여도가 낮은 경기
1
2
1
항목3. 총 관중수가 적으나 그들의 참여도가 높은 경기
17
17
19
항목4. 총 관중수가 많고 그들의 참여도가 낮은 경기
1
1
1
경기력 향상
관계없음
경기력 저하
잘 모르겠음
기타
긴장도가 높은 때
26
0
6
0
0
평가에 민감할 때
27
0
5
0
0
욕구가 높을 때
27
0
4
1
0
이번에도 역시 긴장도와 타인의 평가에 대한 민감도, 그리고 경기에 대한 의욕은 서로 같은 양상을 보인다. 이때 긴장도와 민감도, 의욕을 상승시키는 경우로는 총 관중수가 평소보다 많고 응원에 대한 그들의 참석율 역시 평소보다 높은 경우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총 관중수가 평소보단 적으나 응원에 대한 그들의 참석율은 평소보다 높은 경우 역시 긴장도와 민감도, 의욕을 상승시켜준다. 이를 통해 볼 때 관중의 높은 참석율이 있을 때 긴장도, 민감도, 의욕이 상승하며 여기에 더해 관중의 수가 많다면 그 상승의 폭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2002 월드컵 한국의 4강과 관중
월드컵 당시 열두 번째 선수라 불릴 정도로 많은 관중이 몰렸었다. 붉은 악마에 의한 응원이 4강신화의 기적을 일구에 낸 것에 대해서는 ‘관중효과’라는 단어로 설명될 수 있다. 관중효과란 다시 한 번 간단히 정리하자면 경기에 나서는 선수들이 관중을 ‘평가단’으로 인식하여 관중의 기대심리에 부응하기 위해 실수를 줄이고 평소의 기량 이상을 해내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자연스레 관중인 붉은 악마의 수가 많아질수록, 그로인해 응원 함성이 높을수록 선수의 기량이 향상되어 결국 ‘4강 신화’ 라는 기적을 일구어 낼 수 있었던 것이라고 전문가 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실례로 당시 신문기자에 의해 이루어진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2년 월드컵 주역이었던 김태영 올림픽팀 코치는 "홈 팬들의 성원을 받으면 몸과 마음에서 긍정적인 기운을 얻어 경기력이 향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1986년과 1990년 월드컵에 출전했던 A씨와 B씨는 "상대 편을 응원하는 관중을 보면서 위축됐다. 잔디가 내 다리를 잡아끄는 느낌이었다"고 말해 베스트 컨디션을 유지하지 못했음을 토로했다.
3. 결론
조사를 해본 결과 선수 경기력에 변화에는 관중의 수와 경기응원에 대한 참여도, 홈과 원정에 대한 관중의 응원 태도가 선수 경기력에 긍 부정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로 2002년 월드컵 당시 12번째 선수라 불리었던 붉은악마 응원단(관중)의 응원역시 대한민국 4강 진출에 도움이 되었다 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2.0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