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절차
4. 연구 설계
가. 연구 모형
나. 연구 가설
다. 조작적 정의
라. 설문의 구성
마. 연구 대상
바. 설문조사 기간
사. 회수 방법
5. 실증분석
가. 유효 분석 대상
나. 인구통계적 특성
다.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라. 변수간 상관관계
마. 가설 검증
6. 연구결과
7. 결론
2. 연구 목적
3. 연구 절차
4. 연구 설계
가. 연구 모형
나. 연구 가설
다. 조작적 정의
라. 설문의 구성
마. 연구 대상
바. 설문조사 기간
사. 회수 방법
5. 실증분석
가. 유효 분석 대상
나. 인구통계적 특성
다.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라. 변수간 상관관계
마. 가설 검증
6. 연구결과
7. 결론
본문내용
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복원, 희망/낙관주의 모두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유연지향 문화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5-1은 채택 함
구분
조직몰입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긍정적 유머스타일
0.280
0.000
0.094
0.310
감성지능
0.428
0.000
0.332
0.000
긍정*감성지능
0.254
0.022
F
86.029
0.000
59.848
0.000
R2
0.335
0.345
R2
0.010**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긍정유머스타일과 유연지향 문화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5-2은 채택 함
구분
자기효능감/복원력
희망/낙관주의
단계1
단계2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β
Sig.
β
Sig.
부정적 유머스타일
-0.023
0.545
0.200
0.483
0.113
0.002
-0.246
0.390
감성지능
0.713
0.000
0.824
0.000
0.728
0.000
0.662
0.006
부정*감성지능
-0.262
0.441
0.156
0.639
F
179.762
0.000
119.902
0.000
194.174
0.000
129.236
0.000
R2
0.505
0.506
0.525
0.526
R2
0.001
0.001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복원력과 희망/낙관주의 모두에서 부정유머스타일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여 가설 5-3은 기각 됨
구분
조직몰입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부정적 유머스타일
-0.103
0.028
-0.348
0.000
감성지능
0.530
0.000
0.367
0.000
부정*감성지능
0.372
0.000
F
98.210
0.000
66.471
0.000
R2
0.274
0.313
R2
0.039***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부정유머스타일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5-4는 채택함
6. 연구결과
연구가설
가설 1. 리더의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1-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1-2.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가설 2. 리더의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2-2.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3.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3-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3-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3-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3-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가설 4.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4-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유연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4-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유연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4-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통제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4-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통제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가설 5.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5-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5-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5-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5-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7. 결론 분석
□ 본 논문에서는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 제시과 다음과 같은 이유로 미흡하다고 보임
-. 시사점 제시에 있어 앞의 결과와 결부시켜 설명하는 것이 부족한 것 같음
-. 연구결과 별 제시보다는 몇가지 사항에 대하여만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시사점 또한 연구목적과는 상이한 것으로 느껴짐
-. 본연구를 조직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부분에서 미흡한 것 같음
□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등을 제시하며 논문을 마쳤음
구분
조직몰입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긍정적 유머스타일
0.280
0.000
0.094
0.310
감성지능
0.428
0.000
0.332
0.000
긍정*감성지능
0.254
0.022
F
86.029
0.000
59.848
0.000
R2
0.335
0.345
R2
0.010**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긍정유머스타일과 유연지향 문화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5-2은 채택 함
구분
자기효능감/복원력
희망/낙관주의
단계1
단계2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β
Sig.
β
Sig.
부정적 유머스타일
-0.023
0.545
0.200
0.483
0.113
0.002
-0.246
0.390
감성지능
0.713
0.000
0.824
0.000
0.728
0.000
0.662
0.006
부정*감성지능
-0.262
0.441
0.156
0.639
F
179.762
0.000
119.902
0.000
194.174
0.000
129.236
0.000
R2
0.505
0.506
0.525
0.526
R2
0.001
0.001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복원력과 희망/낙관주의 모두에서 부정유머스타일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여 가설 5-3은 기각 됨
구분
조직몰입
단계1
단계2
β
Sig.
β
Sig.
부정적 유머스타일
-0.103
0.028
-0.348
0.000
감성지능
0.530
0.000
0.367
0.000
부정*감성지능
0.372
0.000
F
98.210
0.000
66.471
0.000
R2
0.274
0.313
R2
0.039***
R2 의 변화에 대한 유의 수준 * : p<0.1, ** : p<0.05, *** : p<0.01
□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부정유머스타일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증분된 R2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5-4는 채택함
6. 연구결과
연구가설
가설 1. 리더의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1-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1-2.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가설 2. 리더의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2-2.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3.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3-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3-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3-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3-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유머감각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부분 채택)
가설 4.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4-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유연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4-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유연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4-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통제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4-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통제성 지향 조직문화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가설 5. 리더의 유머스타일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5-1.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5-2. 리더의 긍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5-3.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각)
5-4. 리더의 부정적 유머스타일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채택)
7. 결론 분석
□ 본 논문에서는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 제시과 다음과 같은 이유로 미흡하다고 보임
-. 시사점 제시에 있어 앞의 결과와 결부시켜 설명하는 것이 부족한 것 같음
-. 연구결과 별 제시보다는 몇가지 사항에 대하여만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시사점 또한 연구목적과는 상이한 것으로 느껴짐
-. 본연구를 조직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부분에서 미흡한 것 같음
□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등을 제시하며 논문을 마쳤음
추천자료
논문정리(유아와 관련한 논문)
조사방법론] 대학생의 명품족에 관한 조사 설문지
연구문제(research problem)에 대한 조사방법론상 검토
연구의 분석단위와 분류에 대한 조사방법론상 검토
조사방법론상 기술적 조사연구 중 기초조사
조사방법론상 기술적 조사연구 중 현지조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 대한 조사방법론상 검토
인과관계의 추론에 대한 조사방법론상 검토
변수와 모형 그리고 측정과 척도에 대한 조사방법론상 검토
[조사방법론] 조사방법론에 따른 비판적 검토 - 대형국책사업 집행실패의 영향요인 분석
청소년스마트폰이용실태]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연구제안서 -청소년스마트...
2016년 1학기 사회조사방법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청소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문제점연구)
2016년 1학기 사회조사방법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청소년 체험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