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노믹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베노믹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아베노믹스의 정책   
 2.아베노믹스의 효과   
 3.양적완화의 한계 및 그 부작용
 4.양적완화의 사례    
 5.한국에 미치는 영향   

Ⅲ. 결 론

Ⅳ.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환산차익으로 부채 평가액이 줄고 이자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국내주요 그룹 중에서는 롯데그룹이 엔화 약세 덕을 많이 보고 있는데, 롯데쇼핑의 지난해 말 기준 엔화 부채는 775억 엔(약 9,200억 원)이며, 롯데 상장 계열사의 총 엔화 부채도 1조 6,000억 원에 달해 롯데그룹은 2,500억 원 이상의 환산 차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엔화부채가 2조 원대인 포스코, 수천억 원 수준의 현대제철,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도 엔화부채가 큰 기업이다. 일본 관광객 감소로 실적 하락이 불가피한 대한항공도 엔화 부채에 따른 환산 차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 되는데, 모 증권사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엔화 차입금은 1조 1,000억 원 수준으로 1,000억 원 이상의 환산차익이 예상된다고 한다.
이 밖에도 엔저현상으로 이득을 보는 업체로 아웃바운드 여행업체를 꼽을 수 있는데, 이는 일본으로 나가려는 국내 관광객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일본 관광 목적 출국자는 전년 동기 대비 55% 급증했다고 밝혔다.
(3)근혜노믹스
근혜노믹스의 핵심 철학은 공정한 시장 경쟁 질서를 확립하고 서민과 중소기업 등 경제적 약자 층을 보호해 사회 전체가 균형 성장을 이루는 것이다. 원칙이 바로선 자본주의와 공정한 시장경제, 맞춤형 복지를 통한 사회 약자 층 배려, 과학기술과 IT를 앞세운 창조형 경제와 일자리 창출이 주된 핵심이다.
Ⅲ. 결론
아베 총리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양적완화’와 ‘경기부양’의 슬로건을 내세웠다. 양적완화 정책은 엔화가치를 낮춤으로써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일본경기를 살리자는 것이 본래 취지이나 자국의 인위적인 통화평가절하를 통한 경기부양은 주변의 경쟁국들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갈수록 각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더군다나 엔저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물가고통을 가중시키고 내수업체들의 채산성(이익이 나는 정도)를 악화시키는데, 후쿠시마 원전사태로 인해 수입 에너지원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에서 미치게 될 영향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문제로는 재정건전성문제가 있다. 일본의 국가부채는 무려 GDP 대비 약 230%로 그리스 174.7%, 이탈리아 26%, 미국 80%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러한 막대한 국가부채를 일본이 견딜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내국인이 국채의 90%정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태까지는 국내에서 새 국채 발행을 통해 이것을 돌려막았지만 현재 일본의 경제는 악화될 대로 악화된 상태로 개인금융자산의 50%를 60세 이상이 가지고 있고 디플레이션과 엔화강세 때문에 일본기업의 생산거점을 해외로 이전하고 임금삭감과 협력업체의 원가절감으로 생산단가를 낮춰 근로소득이 감소하고 초저금리로 인해 이자소득도 줄면서 가계의 소비여력이 악화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경상수지 덕분이었으나 무역수지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중국의 성장률 둔화, 미국과 유럽의 재정위기 등 대외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오히려 수입재의 가격을 올려 무역수지 적자폭을 더 늘릴 수 있었다. 그나마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었던 엄청난 규모의 해외자산들도 최근 매각을 통한 현금화 비중이 높아지고, 수익도 줄어들고 있어 앞으로 경상수지는 더욱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의 자금 여력이 나빠지면 해외 자금으로 눈을 돌리게 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되면 국채의 수익률 인상은 불가피해지고 국채 이자 지급액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 아베총리는 경기회복과 국토강인화를 목적으로 200조 엔 규모의 토목공사를 추진하는 정책을 약속한 바 있는데 이는 국가부채 문제를 악화시켜 국가부도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토건사업이 부실과 정경유착의 온상이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베노믹스가 일본중앙은행을 통해 공격적으로 채권을 매입하여 국가 부채를 메우고 공공사업 지출 확대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Ⅳ.출처 및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hittheroof
http://blog.naver.com/bookkkjh
http://bizkhan.tistory.com/3049 아베노믹스와 일본경제전망
http://blog.naver.com/dufdmazoq1?Redirect=Log&logNo=30159112507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http://fninside.hyundaicapital.com/967
네이버 사전
  • 가격9,66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