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광전략론 - Disneyland[디즈니랜드] 전략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관광전략론 - Disneyland[디즈니랜드] 전략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추지 않게 한다. 참고로 시설물 관리를 위해 연간 7만 5000리터의 페인트와 10만개 이상의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이외에 50만 야드에 이르는 직물을 항상 재고로 보유하고 있으며 5에이커의 잔디와 100만 그루의 1년 식물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관개설비만 5만점에 달한다고 한다.
3. 디즈니랜드의 단점
1) 어린이들의 상상과 환상을 한정시키고, 단순화 시킨다
어린이들의 꿈과 미래를 디즈니랜드에 한정시켜 모든 꿈과 희망이 디즈니랜드에서 다 이루어지는 것처럼 단순화 시킨다.
2) 미국을 위한 꿈
미국 디즈니랜드의 관점에서는 당연한 것이겠지만, 이러한 꿈을 그대로 다른 나라에 실현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국가적 성격이나 ,미국의 사상, 디즈니만의 권력 등을 꿈으로 포장시켜 다른 나라에 주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3) 값비싼 입장료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은 디즈니랜드 방문하는 것을 꿈꾸지만 그렇게 쉽게 접할 수 없는 곳이다. 그 이유는 값비싼 입장료 인한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4) 환타지에 대한 의존
아이들의 꿈과 모험도 중요하지만 캐릭터에 의존하여 꿈을 실현 시킬 수 있는 것이지 물가
와 같이 생태공원 등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운 추억을 만들 수 있지 않다. 번쩍번쩍한 환타
지와 불꽃놀이가 꿈의 전부가 아닌 새로운 상상력과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체험공간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수익률>
The Walt Disney company condensed consolidated statements of income (unaudited : in millions expect per share data)
nine months ende
d
2005.7.2
2004.6.30
revenues
24.210
23.209
costs and expenses
gain on sale of businesses and restructing and impairment charges
(20.516)
(19.912)
59
net interest expense
364
446
equlity in the income of investees
363
300
income before income taxes and minority interests
3.693
3.092
income taxes
1.294
1.132
minority interests
127
131
net income
2.272
1.829
earnings per share (diluted)
1.09
0.88
basic
1.11
0.89
average number of common and common equiralent shares out standing : diluted
2.105
2.106
basic
2.039
2.049
<어트랙션>
어트랙션
보유량
Amuesments
8
big thrills
6
character greetings
8
discovery
3
family adventure
9
fun for little ones
13
getting around
11
총계
58
“ 미키마우스의 얼굴과 표정이 같아 보이더라도 매년 변하고 있는 것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전문가가 보아야 이들 미키의 봉제인형이 어느 해의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키티랜드는 어떨까?
=> 일본 산리오에서 만든 키티 캐릭터는 전 상품에서 유용하게 쓰여지고 있다.
비록 우리나라 캐릭터는 아니지만, 이웃 나라 일본의 캐릭터 키티가 문득 떠올랐다. 디즈니랜드의 상징은 미키마우스 이고, 이는 캐릭터성에 있어서 큰상징과 성공을 의미합니다. 저는 키티를 매우 좋아합니다. 키티 상품으로 된 생필품이나 기타 다른 악세사리를 보면 저도 모르게 손이 갑니다. 아직, 만들어 지지는 않았지만 일본에서 키티 랜드가 생기면, 어린 소녀나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캐릭터가 많지만, 키티나 미키처럼 보호받지 못해서 죽어가는 캐릭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애니메이션의 최강자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애니메이터로서 일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아직 능력있는 만화가나 애니메이터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해 주지 못한다는 이야기겠지요. 우리나라도 우리나라 고유의 캐릭터를 가지고 연구, 개발하여 특허를 주고 살려서 캐릭터 사업과 더불어 테마공원도 디즈니처럼 풍부하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캐릭터 이벤트와 상품들을 만들어 내어 디즈니랜드 못지 않은 고유의 테마랜드가 생겼으면 하고 바랍니다.
<우리나라 고유의 캐릭터들>
우리나라 테마랜드도 고유의 캐릭터 성을 잘 살려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항상 새로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적절한 이벤트도 함께 이루고, 입장료만 내고도 놀이 공원 분위기를 재밌고 신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위 사진 속에 있는 고유의 캐릭터들을 잘 이용해서 해외 관광객들이 테마랜드를 찾고 캐릭터를 보고 한국에 있다는 걸 느끼고, 또 우리나라만의 고유의 문화 행사나, 전국각지 일어나는 보령머드 축제 같은 소행사를 주기적으로 행한다면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고, 관광객도 더욱 많이 우리나라를 찾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 (테마파크의 비밀) 이토마사미 지음, 박석희 옮김 , 일신사 , 2002
*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헨리 지루 지음, 성기완 옮김,
아침이슬, 2001
* (경영의 신화 디즈니) 아리마 케츠오 지음, 박영난 옮김,
북스토리, 2002
* (우량 기업의 조건) 톰 피터스, 로버크 워터먼 공저, 이동현 옮김,
더난출판, 2005
* (디즈니 꿈의 경영) 빌 캐포더글리, 린 잭슨 공저, 아호재, 이정 옮김, 21세기 북스, 2000
<경영전략-디즈니>
<테마파크 개발 시 접근 방향에 관한 연구>
<영상 문화단지개발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테마파크 홍보에 관한 연구>
http://disney.go.com/investors/
http://disneyland.disney.go.com/
http://www.korea.disney.com/
http://www.temansa.com/
http://www.everland.com/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