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 - Elton Mayo[Elton 메이요]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문학 - Elton Mayo[Elton 메이요]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Elton 메이요 소개

2. Elton 메이요 

3. 호손실험(Howthorne)

4. 4단계로 실시한 호손(Howthorne)실험

5. 인간관계론

6. 결론

본문내용

요는 결론지었다. 이는 인간관계에 대한 강조를 새로이 하였으며 경제적인 면과 동시에 사회적인 차원까지도 고려한 것이다.
오늘날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원활화를 위해 우리 나라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예를 들면 효성중공업의 청년 이사회, 삼성그룹의 청년 중역제, 럭키그룹의 프레시 보드, 대우그룹의 모임 임원회의 등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출발한 것이다. 인간관계론의 입장에서 출발한 한국 기업의 구체적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삼성그룹: 스포츠 12개 종목의 '삼성컵 리그'
삼성물산: 이른 퇴근 시간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한 주 1회 술좌석을 여는 '어우러진 마당'
선경그룹, 전경련: 직위를 떠나 상하 자유 토론의 캔 미팅
현대그룹: 임직원끼리 '한 형제 모임', 직원과 임원간의 만남은 '정공광장', 부서간의 만남은 '신나는 한마당'등 만남에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
유유산업: 총무부장 대행 순환 근무제

6. 결론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과 아담 스미스의 분업론에 의해서 전문화와 과학화를 추구하는 과학적 작업 설계만으로는 작업능률을 올리기가 어렵다. 즉, 작업능률은 환경보다도 작업자의 마음가짐과 심리적 상황의 함수관계를 이룬다. 작은 동기에서 시작한 호손 실험은 후에 허즈버그, 아지리스 등의 인간관계론 학자들에 의해 검증되고 입증된 생산성 혁신 연구로 결실을 맺게 되었다.
인간관계론적 작업설계는 허즈버그의 2가지 요인에서 기인하였는데 이는 종업원참여, 목표지향, 자율성, 집단관리에 주안점을 두고 인간관계론 입장의 작업확대(job enrichment)와 이를 연장한 작업 충실화(job enrichment)를 주창하고 있다. 작업확대: 코넨트(E.H. Conant)와 로울러(E.E. enlargement)가 주장한 것으로 전문화, 단순화, 표준화에서 오는 심리적 허탈감을 치유할 목적으로 작업내용의 다양성, 작업의 연결성, 작업능력의 활용, 작업수행의 자율성에 주안점을 둔 인간 관계론적 입장에서 전개한 작업설계이론이다. 또한 단순반복작업에서 오는 지루함을 달랠 목적으로 시행되는 순환 작업제(job rotation), 근무시간을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정할 수 있는 플렉시블 타임제도 인간관계론적 작업설계의 산물이다. 메이요의 호손실험을 계기로 갖게된 인간관계론은 테일러 이후의 기존 과학적 관리법으로 풀 수 없는 노사분규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였으며 노사분규가 많은 우리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할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