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 액소성 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역학] 액소성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 1 실험의 목적
 1 - 2 액성한계 실험
 1 - 3 소성한계 실험
 1 - 4 이론적 배경

2. 본 론
 2 - 1 액성한계 실험과정
 2 - 2 액성한계 실험결과
 2 - 3 소성한계 실험과정
 2 - 4 소성한계 실험결과

3. 결론 및 도찰

본문내용

반고체상태, 소성상태, 액체상태로 변화한다.
이렇게 고체에서 반고체상태로 되는 순간의 함수비를 수축한계라하며
반고체상태에서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소성한계 그리고
소성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한다.
이를 통틀어서 Atterberg 한계라 일컷는다.
2. 본 론
2 - 1 액성한계 실험과정
1. 액성한계 측정기의 황동접시와 고무대의 간격이 1㎝가 되도록 조정한다.
그림. 1 그림. 2
2. 시료가 알맞은 크기의 입도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잘 빻아준다.
3. 시료를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혼합한다.
그림. 3 - 1 그림. 3 - 2
4. 황동체 컵에 혼합한 시료의 높이가 1㎝가 되도록 올려준다.
그림. 4 그림. 5
5. 홈파기 날로 바닥이 보이도록 일직선이 되게 판다.
6. 1초간 약 2회의 속도로 타격하여 파여 있는 홈으로 흙이 밀려들도록 한다.
그림. 6 그림. 7
7. 접촉부위의 흙을 잘라내어 건조시킨다.
8. 11회 타격횟수 / 30회 타격횟수의 건조시킨 흙의 무게를 확인한다.
그림. 8 - 1 그림. 8 - 2
2 - 2. 액성한계 실험결과
시험횟수
1
2
용기무게
18.13
22.47
용기+습윤토 무게(g)
27.46
34.52
용기+건조토 무게(g)
24.38
30.63
횟 수
11회
30회
시료 무게(g)
9.33
12.05
물 무게(,g)
3.08
3.89
흙 무게(,g)
6.25
8.16
함수비()
0.4928
0.4767
일반적으로 log(횟수)와 함수비 관계는 직선 관계가 있으므로,
보간법에 의해서 액성 한계(25회)를 구하면
, 액성한계(LL)= 47.96% 이다.
유동곡선
유동지수를 구해보면
2 - 3. 소성한계 실험과정
1. 준비한 시료를 곱게 빻는다.
그림. 1 그림. 2
2. 시료를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혼합한다.
3. 잘 만들어진 흙덩어리를 손바닥 위에 놓고 다른 손으로 손바닥을 밀어
균일하게 3㎜ 정도 국수모양으로 만든다. 이때 흙이 부서지지 않으면
다시 반죽하여 함수비를 줄여가면서 위 과정을 반복한다.
그림. 3 - 1 그림. 3 - 2
4. 3㎜ 정도의 국수모양의 시료길이에 균일하게 균열이 가도록 밀어준다.
그림. 4
5. 이때의 시료를 모아 함수비를 측정하도록 한다.
그림. 5 - 1 그림. 5 - 2
그림. 5 - 3 그림. 5 - 4
2 - 4. 소성한계 실험결과
시험횟수
1
용기무게
16.16
용기 + 습윤토 무게 (g)
23.60
용기 + 건조토 무게 (g)
22.10
시료 무게 (g)
7.44
물 무게 (,g)
1.5
흙 무게 (,g)
5.94
함수비 ()
0.2525
소성한계 실험결과 소성한계(PL)=25.25%로 나왔다.
위의 두시험결과로 소성지수를 계산하면
소성지수(PI) = LL-PL = 47.96 - 25.25 = 22.71% 구해진다.
3. 결론 및 도찰
이번 실험은 KS F 2303으로써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이다.
실험 결과는
유동지수 3.695, 액성한계 47.96%, 소성한계 25.25%, 소성지수 22.71%로 구해졌다.
결과 값을 바탕으로 소성도표를 그려보면
이번에 실험한 시료는 “중간 압축성인 무기점토”라는 결과가 나온다.
이번 실험 중 액성 한계 시험에서는 시료의 낙하 횟수를 맞추기 위해
함수비를 조절 하는 과정에서 적정한 함수비를 찾기가 그리 쉽지 않았다. 그로 인해서 물을 더 넣고 제거 하는 시행착오를 많이 경험했다.
다음 시간에 진행된 소성 한계 실험에서는 시료를 국수가닥과 같은 모양을 만들기 위해 손바닥 위에서 계속 비벼서 목표하는 직경이 되었을 때 부슬부슬 부서지기 시작하면 그때의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였다.
하지만 시료가 마음처럼 성형이 되지 않고 마음 먹은 되로 성형이 되면 함수비가 너무 많아서 인지 부서지지 않아 여러 번 실험하게 되었다.
실험을 통하여서 결과 값 외 에 느낀 점 이라고 하면
이번 액성 / 소성한계 시험은
실험자의 주관에 의해 좌우 될 수 있다는 많은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그로 인하여 동일한 재료와 양을 가지고 실험을 했을 경우에도
매번 다른 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이는 실험의 우선 조건 중 하나인 실험의 객관성에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이상적인 액성 / 소성한계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잘 갖추어진
실험도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험의 과정이 그렇지 못했다는
점이 굉장한 아쉬움으로 남는 시험이었다고 생각을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