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탈리아의 문화와 건축
2. 스웨덴의 문화와 건축
3. 독일의 문화와 건축
4. 러시아의 문화와 건축
5. 프랑스의 문화와 건축
6. 미국의 문화와 건축
7. 멕시코의 문화와 건축
8. 이집트의 문화와 건축
2. 스웨덴의 문화와 건축
3. 독일의 문화와 건축
4. 러시아의 문화와 건축
5. 프랑스의 문화와 건축
6. 미국의 문화와 건축
7. 멕시코의 문화와 건축
8. 이집트의 문화와 건축
본문내용
, 경제적, 사회적 신분 등의 격차가 심화 : 르네상스문화와 종교개혁운동의 인본 주의적 본류를 접하지 못하는 오류
-1917년 레닌이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정권을 성립
-1992년 국가 연합체(Soviet Union)을 출범
-다민족 국가 (러시아인 81.5%, 타타르인 3.8%, 우크라이나인 3%)
-종교 : 비잔틴정교를 국교로 수용. (민간신앙과 자연숭배, 기독교 신앙이 자연스럽게 융화됨) 소보르노스트 형성.
*소보르노스트 : 공동체. 동방 교회(東方敎會)에서 주교(主敎)들에 의하 여 형성되는 교회 통치의 이상 형태.
Π. 주거의 특징
1. 이즈바
-러시아의 민가. 통나무 주택으로 가장 일반화된 서민주택
-기밀한 구조적 특성
-통나무사이를 건조한 이끼로 채움. 벽 내외부를 판자로 덮어 페인트칠을 하고 안쪽 은 석고를 바름.
-남부지방 : 주택의 규모가 작고, 높이가 낮고, 벽에는 진흙을 바르고, 짚으로 덮여진 완만한 기울기의 모임지붕이 많고 지하실이 없음.
-북부지방 : 기울기가 심한 맞배지붕, 지하실 부속, 규모가 큰 2층 형태의 주택
-단위성이나 이동성의 특징을 지님 : 오늘날 공업화 주택의 선례
2. 19c의 부르주아 주택
-19c 후반 러시아의 도시에는 귀족 대지주의 궁전과 시민들의 집 등 다양한 주택이 공 존 : 드보르, 코로미, 패라티나 챔벌스
-주택의 이원화
-다차 : 채원을 겸한 전원주택, 통나무로 건축되어 선명한 색상, 가을까지 머무를 수 있는 곳, 주말의 휴식처이며 도시의 열악한 식량사정을 해결할 수 있는 과일, 야채를 자급 생상하는 중요한 장소.
-도시의 주거 : 다차보다 더욱 정형화, 벽돌과 목재 등을 사용하며 더욱 현대적이며 유 럽적인 분위기를 나타냄
*톨스토이의 주택 : 1910년 사망하기 전 50년 동안 톨스토이가 생활한 집
*차이코프스키 주택 : 다양한 청회색 목조 주택의 파사드가 강조된 집.
프랑스
Ι. 일반적 배경
-유럽의 중심국가. 넓은 국토와 온화한 기후환경을 바탕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
-위치 : 유럽대륙의 서부, 지중해와 대서양의 사이
-기후 : 대륙성 기후, 지중해성 기후, 해양성 기후
1. 자연환경
-국토의 모양을 6각형이라고 하면, 3면은 바다로 나머지 3면은 산지로 둘러싸임
-국토의 2/3은 평야 및 구릉이며 산지는 적음. 동부는 산지, 중앙은 고원과 평야
-기후 : 전형적인 온대기후에 속하며 해양성,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가 모두 나타남
-프랑스 평야지역은 해양성 기후로, 연중온화
-남부의 지중해연안 지방은 여름에 무덥고 겨울에 따뜻하여 비가 많은 지중해성기후
-동부산지, 중앙고원, 피레네 산맥 지방은 대륙성 기후로 겨울에 춥고 흐린 날이 많으 며 건조한 공기 때문에 추위를 더 느끼게 함.
-사계절이 분명치 않음.
2. 사회, 문화, 경제적 환경
-1789년 시민혁명 : 다른 나라에 영향을 주어 자유와 평등에 바탕을 둔 인간적 권리를 주장
-민주주의와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성장
-로마 문화의 세계성으로부터 문명의 보편성, 가톨릭 사상으로부터 초월적이며 절대적, 보편적인 것에 대한 동경의 자세를 본받음.
-종교 : 90%이상이 카톨릭 교도
-종족 : 다인종
-개인주의와 합리주의가 철저. 예술이 양적, 질적으로 모두 높은 수준에 이름
-독자적이며 창의적인 것을 사랑(실재로 천재적인 인물도 많고 다양성을 지님)
Π. 주거형태의 종류와 특성 (중요!)
-자연환경을 그대로 수용. 지역별로 주택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남(국경 나라의 영향을 받음)
1. 도시 집합주택의 특징
-도시형 귀족주택은 중정을 중심으로, 주변에 생활공간이 구성되는 형식 : 중정이 가로 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폐쇄적인 공간.
-좌우대칭적인 배역을 선호, 실구성에서도 궁전을 모방
-18c 파리의 중산층 및 서민 아파트: 5~6층의 규모가 일반적. 좁고 긴 대지가 그대로 사용. 외관은 고전적이며 장식적. 창살과 테라스 등에는 바로크풍의 장식.
-단위공간별 구성은 일관된 방식을 적용
-살롱 : 가로에 면하여 응접실 등의 용도.
-식당과 주인침실은 중정쪽에, 일반침실은 주택의 가장 뒷부분에 위치.
-파리의 중산층 아파트는 19c에 더욱 확대되고 일반화됨.
2. 프로방스지방의 주택
-중세의 대표적인 도시. 주요한 무역통로에 위치하여 중요 상업체계를 갖춤
-거대한 성벽으로 인한 넓은 지역을 확보.
-프로방스는 도시의 성벽보다, 도시아래에 있는 미궁의 터널과 해자를 따라 있는 포즈 리비에르에 더 많은 중세의 과거유산을 가지고 있음.
-보리(borie) : 불규칙하게 돌을 쌓아올려 지은 집
-일반적인 프라이버시에 대한 욕망 : 내부지향적인 집
3. 노르망디지방의 주택
-북서풍이 강한 농가들은 바람을 등지고 초가지붕에 선채를 뒤집어 놓은 것 같은 모양 을 함 : 뒤는 서쪽바람에 면하게 하고 출입구는 동쪽에 면하도록 함. (강한 북서풍을 피하는 곳에 출입구와 창을 둔 것이지!)
-농촌지역에서 벽돌, 석재, 목재를 많이 사용. 작은 유리로 장식
*꼴롱바쥬 : 목조로 구성된 벽의 골조로, 골조사이에 짚과 흙을 섞은 것이나 벽돌로 메꿈. 돌이나 벽돌의 토대위에 떡갈나무 뼈대로 지여졌으며, 수평의 보와 수직의 목골의 벽, 그리고 불규칙하게 위치한 출입문으로 구성
-바람의 영향 : 울타리나 둑은 방어보다는 기후나 가축을 위하여 설치.
-은신처 : 마을전체가 생활공간이며 주택은 사적영역, 은신처의 개념
-전통적으로 손님을 집으로 초대하지는 않음
-과거에 대한 사랑, 전통, 전원 추구, 전통적이며 전원적 가구를 소유
-핵가족을 구성
-기후조건에 순응하여 주택을 배치, 자연재료를 이용, 농업국가의 전원적 이미지, 가족 주의적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실의 배치, 전통주거 형태를 고수
-전통과 미래 사이에서 분투하는 노르망디의 모습은 프랑스의 모습이라 할 수 있음
미국
Ι. 일반적 배경
-북아메리카에 위치. 인류역사상 가장 새로운 나라 (역사가 가장 짧음. 미국은 현대 건축 물의 상징이 됨.)
-로키산맥을 중심으로 서부는 산악, 동부는 평야지대로 구분
-힘의 논리에 의해 토착하고 있던 원주민이 이주민에 의해
-1917년 레닌이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정권을 성립
-1992년 국가 연합체(Soviet Union)을 출범
-다민족 국가 (러시아인 81.5%, 타타르인 3.8%, 우크라이나인 3%)
-종교 : 비잔틴정교를 국교로 수용. (민간신앙과 자연숭배, 기독교 신앙이 자연스럽게 융화됨) 소보르노스트 형성.
*소보르노스트 : 공동체. 동방 교회(東方敎會)에서 주교(主敎)들에 의하 여 형성되는 교회 통치의 이상 형태.
Π. 주거의 특징
1. 이즈바
-러시아의 민가. 통나무 주택으로 가장 일반화된 서민주택
-기밀한 구조적 특성
-통나무사이를 건조한 이끼로 채움. 벽 내외부를 판자로 덮어 페인트칠을 하고 안쪽 은 석고를 바름.
-남부지방 : 주택의 규모가 작고, 높이가 낮고, 벽에는 진흙을 바르고, 짚으로 덮여진 완만한 기울기의 모임지붕이 많고 지하실이 없음.
-북부지방 : 기울기가 심한 맞배지붕, 지하실 부속, 규모가 큰 2층 형태의 주택
-단위성이나 이동성의 특징을 지님 : 오늘날 공업화 주택의 선례
2. 19c의 부르주아 주택
-19c 후반 러시아의 도시에는 귀족 대지주의 궁전과 시민들의 집 등 다양한 주택이 공 존 : 드보르, 코로미, 패라티나 챔벌스
-주택의 이원화
-다차 : 채원을 겸한 전원주택, 통나무로 건축되어 선명한 색상, 가을까지 머무를 수 있는 곳, 주말의 휴식처이며 도시의 열악한 식량사정을 해결할 수 있는 과일, 야채를 자급 생상하는 중요한 장소.
-도시의 주거 : 다차보다 더욱 정형화, 벽돌과 목재 등을 사용하며 더욱 현대적이며 유 럽적인 분위기를 나타냄
*톨스토이의 주택 : 1910년 사망하기 전 50년 동안 톨스토이가 생활한 집
*차이코프스키 주택 : 다양한 청회색 목조 주택의 파사드가 강조된 집.
프랑스
Ι. 일반적 배경
-유럽의 중심국가. 넓은 국토와 온화한 기후환경을 바탕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
-위치 : 유럽대륙의 서부, 지중해와 대서양의 사이
-기후 : 대륙성 기후, 지중해성 기후, 해양성 기후
1. 자연환경
-국토의 모양을 6각형이라고 하면, 3면은 바다로 나머지 3면은 산지로 둘러싸임
-국토의 2/3은 평야 및 구릉이며 산지는 적음. 동부는 산지, 중앙은 고원과 평야
-기후 : 전형적인 온대기후에 속하며 해양성,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가 모두 나타남
-프랑스 평야지역은 해양성 기후로, 연중온화
-남부의 지중해연안 지방은 여름에 무덥고 겨울에 따뜻하여 비가 많은 지중해성기후
-동부산지, 중앙고원, 피레네 산맥 지방은 대륙성 기후로 겨울에 춥고 흐린 날이 많으 며 건조한 공기 때문에 추위를 더 느끼게 함.
-사계절이 분명치 않음.
2. 사회, 문화, 경제적 환경
-1789년 시민혁명 : 다른 나라에 영향을 주어 자유와 평등에 바탕을 둔 인간적 권리를 주장
-민주주의와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성장
-로마 문화의 세계성으로부터 문명의 보편성, 가톨릭 사상으로부터 초월적이며 절대적, 보편적인 것에 대한 동경의 자세를 본받음.
-종교 : 90%이상이 카톨릭 교도
-종족 : 다인종
-개인주의와 합리주의가 철저. 예술이 양적, 질적으로 모두 높은 수준에 이름
-독자적이며 창의적인 것을 사랑(실재로 천재적인 인물도 많고 다양성을 지님)
Π. 주거형태의 종류와 특성 (중요!)
-자연환경을 그대로 수용. 지역별로 주택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남(국경 나라의 영향을 받음)
1. 도시 집합주택의 특징
-도시형 귀족주택은 중정을 중심으로, 주변에 생활공간이 구성되는 형식 : 중정이 가로 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폐쇄적인 공간.
-좌우대칭적인 배역을 선호, 실구성에서도 궁전을 모방
-18c 파리의 중산층 및 서민 아파트: 5~6층의 규모가 일반적. 좁고 긴 대지가 그대로 사용. 외관은 고전적이며 장식적. 창살과 테라스 등에는 바로크풍의 장식.
-단위공간별 구성은 일관된 방식을 적용
-살롱 : 가로에 면하여 응접실 등의 용도.
-식당과 주인침실은 중정쪽에, 일반침실은 주택의 가장 뒷부분에 위치.
-파리의 중산층 아파트는 19c에 더욱 확대되고 일반화됨.
2. 프로방스지방의 주택
-중세의 대표적인 도시. 주요한 무역통로에 위치하여 중요 상업체계를 갖춤
-거대한 성벽으로 인한 넓은 지역을 확보.
-프로방스는 도시의 성벽보다, 도시아래에 있는 미궁의 터널과 해자를 따라 있는 포즈 리비에르에 더 많은 중세의 과거유산을 가지고 있음.
-보리(borie) : 불규칙하게 돌을 쌓아올려 지은 집
-일반적인 프라이버시에 대한 욕망 : 내부지향적인 집
3. 노르망디지방의 주택
-북서풍이 강한 농가들은 바람을 등지고 초가지붕에 선채를 뒤집어 놓은 것 같은 모양 을 함 : 뒤는 서쪽바람에 면하게 하고 출입구는 동쪽에 면하도록 함. (강한 북서풍을 피하는 곳에 출입구와 창을 둔 것이지!)
-농촌지역에서 벽돌, 석재, 목재를 많이 사용. 작은 유리로 장식
*꼴롱바쥬 : 목조로 구성된 벽의 골조로, 골조사이에 짚과 흙을 섞은 것이나 벽돌로 메꿈. 돌이나 벽돌의 토대위에 떡갈나무 뼈대로 지여졌으며, 수평의 보와 수직의 목골의 벽, 그리고 불규칙하게 위치한 출입문으로 구성
-바람의 영향 : 울타리나 둑은 방어보다는 기후나 가축을 위하여 설치.
-은신처 : 마을전체가 생활공간이며 주택은 사적영역, 은신처의 개념
-전통적으로 손님을 집으로 초대하지는 않음
-과거에 대한 사랑, 전통, 전원 추구, 전통적이며 전원적 가구를 소유
-핵가족을 구성
-기후조건에 순응하여 주택을 배치, 자연재료를 이용, 농업국가의 전원적 이미지, 가족 주의적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실의 배치, 전통주거 형태를 고수
-전통과 미래 사이에서 분투하는 노르망디의 모습은 프랑스의 모습이라 할 수 있음
미국
Ι. 일반적 배경
-북아메리카에 위치. 인류역사상 가장 새로운 나라 (역사가 가장 짧음. 미국은 현대 건축 물의 상징이 됨.)
-로키산맥을 중심으로 서부는 산악, 동부는 평야지대로 구분
-힘의 논리에 의해 토착하고 있던 원주민이 이주민에 의해
추천자료
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및 목표
미국보건의료정책과 간호
미국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사
미국대공황과 뉴딜정책
[특허제도][미국의 특허제도 사례]특허제도의 가치, 특허제도의 목표, 특허제도의 진보성, 특...
[미술교육][미술교육 방법][미국 미술교육 사례]미술교육의 정의, 미술교육의 목표, 미술교육...
미국 행정개혁
[사회복지] 미국과 한국의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미국의 사회 복지 발달사
미국의 장애아동 교육과 시사점
미국 학교사회사업의 발달과정
[유아교육사와 보육] 서구의 유아교육(영국과 미국) - 영국과 미국의 유아교육의 이해 (유아...
[전자상거래][EC][미국][일본][독일]미국의 전자상거래(EC), 일본의 전자상거래(EC), 독일의 ...
[평생교육] 미국의 평생교육 - 대학 위기극복과 평생교육, 성인학위제도, 미국 대학의 학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