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아언어교육을 위한 환경구성의 중요성
2. 유아언어교육 환경구성의 원리
3. 언어환경의 구성요소
1) 물리적 환경(Physical environment)
2) 지적환경(Intellectual environment)
(1) 기대(expectation)
(2) 모델링(modeling)
(3) 흥미와 동기 유발
3) 사회-정서적 환경(social-emotional environment)
(1)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2) 협동(collaborative sharing)
4. 환경구성의 실제
1) 주요원칙
2) 문해자료가 풍부한 교실 만들기
참고문헌
2. 유아언어교육 환경구성의 원리
3. 언어환경의 구성요소
1) 물리적 환경(Physical environment)
2) 지적환경(Intellectual environment)
(1) 기대(expectation)
(2) 모델링(modeling)
(3) 흥미와 동기 유발
3) 사회-정서적 환경(social-emotional environment)
(1)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2) 협동(collaborative sharing)
4. 환경구성의 실제
1) 주요원칙
2) 문해자료가 풍부한 교실 만들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음
- 놀이 환경의 물리적인 배치를 변화시킴
(3) 문해자료가 풍부한 환경을 조직하고 유아교육기관 생활의 운영을 돕는 문자언어 활동
① 이름표 붙이기(Lavels)
- 유아들이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던 이름표가 필요함. 사물함이나 개인장에는 유아들의 이름을 붙여서 그것이 누구의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함
- 글자의 형태에 대한 변별능력과 기억능력이 덜 발달되어 있는 아주 어린 유아들을 위해서는 이름과 함께 각기 다른 동물모양, 과일모양을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하여 붙여줄 수 있음. 이렇게 함으로써 이름과 함께 붙어 있는 그림과 그것의 색을 이름을 구별하는 보조적 정보로 사용할 수 있게 됨. 즉, 처음에는 이름표의 색깔과 모양을 단서로 사물을 찾다가 후에는 그 이름표에 쓰여져 있는 이름을 단서로 찾게 됨
② 표시(sign)
- 표시는 교실의 질서 유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읽기 영역에 ‘조용히 하세요’라는 표시를 할 수 있음. 이때 입에서 ‘쉬-쉬-’라는 글자가 나오는 얼굴 그림을 함께 붙여놓으면 절달하고자 하는 것을 기억하기 쉽게 함
- 3세 유아들에게는 그림으로만 제시하고, 4,5세의 경우에는 문자와 함께 제시할 수 있음
③ 표(chart)
- 표란 정보를 나열하거나 요약한 것. 교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에는 당번표, 출석표, 일과표, 달력 등이 있음
- 출석표는 출석판에 이름표를 꽂아 두는 포켓 형식으로 만들 수도 있고, 출석판에 이름표를 붙일 수 있게 만들 수도 있음. 출석판의 이름과 이름표를 이름을 가, 나, 다순으로 제시한다면 유아는 자연스럽게 자모음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음. 또한 특별한 교구의 사용 단계 순서표, 활동 진행 순서표 등의 사용은 유아가 독립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됨
- 달력은 유아의 생활과 관련된 의미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이용됨. 유아의 생일, 공휴일, 특별한 활동을 하는 날을 표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 4,5세 유아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그림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④ 목록(list)
- 목록도 교실이 조직화되는 것을 돕는 도구. 이름 목폭 뿐만 아니라 견학시 가지고 갈 물건 목록, 먹어 볼 음식 목록, 특별한 조형 작품을 만들기 위한 자료의 목록, 극화놀이를 하기 위한 소품 목록 등도 만들어 볼 수 있음. 교사와 유아는 목록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계획과 의미 있는 사건의 요약을 구체화 함
- 유아언어교육 환경구성의 원리는 다음과 같음
1) 언어교환이 최대한 많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2) 모든 종류의 언어활동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3) 가능하다면 언어활동이 즐겁고, 재미있게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4) 언어 교환이 편안하게 그리고 개인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5) 언어활동이 교육 과정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6) 언어교환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들의 실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
7) 정서적으로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 언어환경의 구성요소는 물리적 환경, 지적 환경, 사회-정서적 환경으로 구분
- 물리적 환경은 유아가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언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
- 지적 환경을 유아들로 하여금 언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신적으로 도전하게 만드는 요소이며, ‘기대’와 ‘모델링’, ‘흥미와 동기 유발’이 포함
- 사회-정서적 환경을 유아들이 언어를 통하여 사회화를 해 나가도록 격려할 수 있는 요소이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동으로 나뉨
- 유아 언어환경을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의도한 언어 교수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며, 지시적인 방법과 비 지시적인 방법을 병행하면서, 물리적지적사회-정서적 요인의 조화를 이루어야 함
- 문해자료가 풍부한 교실이란 유아의 연령과 흥미에 적합한 다양하고 풍부한 읽기와 쓰기 자료가 제시되는 환경으로 유아들이 이러한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풍부한 문해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해환경을 지지할 수 있는 매력적이고 편안한 물리적 환경 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됨
참고문헌
이하원, 박희숙 외 저, 언어지도, 창지사 2012
서이영, 권윤정 외 저,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1
강성화, 김경회 저,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동문사 2013
이영자, 박혜경 외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12
이영자 저,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양서원 2013
이익섭 저,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 놀이 환경의 물리적인 배치를 변화시킴
(3) 문해자료가 풍부한 환경을 조직하고 유아교육기관 생활의 운영을 돕는 문자언어 활동
① 이름표 붙이기(Lavels)
- 유아들이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던 이름표가 필요함. 사물함이나 개인장에는 유아들의 이름을 붙여서 그것이 누구의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함
- 글자의 형태에 대한 변별능력과 기억능력이 덜 발달되어 있는 아주 어린 유아들을 위해서는 이름과 함께 각기 다른 동물모양, 과일모양을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하여 붙여줄 수 있음. 이렇게 함으로써 이름과 함께 붙어 있는 그림과 그것의 색을 이름을 구별하는 보조적 정보로 사용할 수 있게 됨. 즉, 처음에는 이름표의 색깔과 모양을 단서로 사물을 찾다가 후에는 그 이름표에 쓰여져 있는 이름을 단서로 찾게 됨
② 표시(sign)
- 표시는 교실의 질서 유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읽기 영역에 ‘조용히 하세요’라는 표시를 할 수 있음. 이때 입에서 ‘쉬-쉬-’라는 글자가 나오는 얼굴 그림을 함께 붙여놓으면 절달하고자 하는 것을 기억하기 쉽게 함
- 3세 유아들에게는 그림으로만 제시하고, 4,5세의 경우에는 문자와 함께 제시할 수 있음
③ 표(chart)
- 표란 정보를 나열하거나 요약한 것. 교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에는 당번표, 출석표, 일과표, 달력 등이 있음
- 출석표는 출석판에 이름표를 꽂아 두는 포켓 형식으로 만들 수도 있고, 출석판에 이름표를 붙일 수 있게 만들 수도 있음. 출석판의 이름과 이름표를 이름을 가, 나, 다순으로 제시한다면 유아는 자연스럽게 자모음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음. 또한 특별한 교구의 사용 단계 순서표, 활동 진행 순서표 등의 사용은 유아가 독립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됨
- 달력은 유아의 생활과 관련된 의미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이용됨. 유아의 생일, 공휴일, 특별한 활동을 하는 날을 표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 4,5세 유아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그림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④ 목록(list)
- 목록도 교실이 조직화되는 것을 돕는 도구. 이름 목폭 뿐만 아니라 견학시 가지고 갈 물건 목록, 먹어 볼 음식 목록, 특별한 조형 작품을 만들기 위한 자료의 목록, 극화놀이를 하기 위한 소품 목록 등도 만들어 볼 수 있음. 교사와 유아는 목록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계획과 의미 있는 사건의 요약을 구체화 함
- 유아언어교육 환경구성의 원리는 다음과 같음
1) 언어교환이 최대한 많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2) 모든 종류의 언어활동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3) 가능하다면 언어활동이 즐겁고, 재미있게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4) 언어 교환이 편안하게 그리고 개인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5) 언어활동이 교육 과정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6) 언어교환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들의 실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
7) 정서적으로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함
- 언어환경의 구성요소는 물리적 환경, 지적 환경, 사회-정서적 환경으로 구분
- 물리적 환경은 유아가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언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
- 지적 환경을 유아들로 하여금 언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신적으로 도전하게 만드는 요소이며, ‘기대’와 ‘모델링’, ‘흥미와 동기 유발’이 포함
- 사회-정서적 환경을 유아들이 언어를 통하여 사회화를 해 나가도록 격려할 수 있는 요소이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동으로 나뉨
- 유아 언어환경을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의도한 언어 교수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며, 지시적인 방법과 비 지시적인 방법을 병행하면서, 물리적지적사회-정서적 요인의 조화를 이루어야 함
- 문해자료가 풍부한 교실이란 유아의 연령과 흥미에 적합한 다양하고 풍부한 읽기와 쓰기 자료가 제시되는 환경으로 유아들이 이러한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풍부한 문해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해환경을 지지할 수 있는 매력적이고 편안한 물리적 환경 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됨
참고문헌
이하원, 박희숙 외 저, 언어지도, 창지사 2012
서이영, 권윤정 외 저,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1
강성화, 김경회 저,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동문사 2013
이영자, 박혜경 외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12
이영자 저,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양서원 2013
이익섭 저,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추천자료
C I F 매매계약의 본질과 구성요소
[인터넷마케팅]인터넷쇼핑몰의 마케팅 구성요소와 전략 및 시장분석
리조트의 개념. 본질. 형태와 구성요소
[전통민가]전통마을의 개념과 공간구성요소 및 체계
[교육의 정의] 교육의 기능과 구성요소 및 형태,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관광상품기획] 관광상품기획의 개념과 구성요소, 관광상품 기획과정
[여행] 여행의 구성요소와 형태 분류, 여행 종류
도시 마케팅, 정의, 구성요소, 역사, 형태, 리더쉽, 파트너쉽, 문화, 산업, 종류, 가치 평가,...
[사회복지행정론] 인사관리의 구성요소와 과정 및 소진과 슈퍼비전
[관광마케팅믹스] 관광마케팅 믹스의 의의와 구성요소 (제품, 서비스 믹스, 가격 믹스, 유통 ...
교육학개론 요약정리 (교육의 구성요소, 교육의 형태)
기업문화의 개념과 역할,기업문화의 구성요소,기업문화의 변화관리,조직문화,미국·일본기업의...
사회복지서비스의 질,TQM의 구성요소,고객지향,지속적 개선,리더십,교육훈련,TQM을 적용한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