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결과가 두개가 다르게 나온 것 같다.
*생각해볼 사항
1) 적정에서의 가능한 불확실도의 요인을 생각해 보아라.
① 질량-저울의 교정과 반복성
② 질량-공기의 영향으로 인한 부력
③ 온도의 영향
④ 질량을 잰 물질의 순도
⑤ 물질의 분자량
⑥ 천연 불순물 즉, 염기 안의 다른 염기
⑦ 부피 측정용 유기기구의 불확도
⑧ 종말점 발견
⑨ 공기중에서CO2 흡수
2) 0.5000 M HCl 25mL를 0.5000M NaOH로 적정하는 경우에 용액에 남아있는 수소 이온의 농도를 직접 계산해서 적정곡선을 그려보아라.
①초기 pH
염기를 첨가하기 전에는 용액은 H3O로 0.5M이다. 따라서
pH = =log[ H3O] = -log0.5000=0.3
②5mL 시약 가한 후
하이드로늄 이온의 농도는 염기와의 반응과 묽힘에 의해 감소된다. 그래서 HCl의 분석농도는
CHCl = NaOH 첨가 후 남는 mmol수 / 용액의 전체 부피
= (초기 HCl의 mmol수 - 첨가된 NaOH의 mmol수) / 용액의 전체 부피
= (25mL X 0.5000M) - (5mL X 0.5000M) / 30mL
= (12.5mmol - 2.5mmol / 30mL) = 0.33
[ H3O]= 0.33M
그리고 pH = -log[ H3O]=-log 0.33 = 0.48
10 = 10 = 0.33
pH
NaOH의 부피 (mL)
0.5M HCl 25mL를 0.5M NaOH로 적정
0.0
0.5
2.5
0.4
5.0
0.33
7.5
0.27
10.0
0.2
12.5
0.17
15.0
0.13
17.5
0.09
20.0
0.06
22.5
0.03
23.0
0.02
24.0
0.01
24.5
0.0005
*당량점 : 용액 속의 염산을 완전히 중화시킬 만큼의 수산화 나트륨을 넣어준 상태
*표준용액 : 적정을 이용해서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농도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염기나 산용액이 필요한데 정확한 농도를 미리 알고 있는 용액
*종말점 : 적정 실험에서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용액
*역적정 : 농도를 알고 있는 센 산이나 염기를 과량으로 넣어준 다음에 남아있는 센 산이나 염기를 적정해서 관심이 있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것
10. Reference
일반화학 / 일반화학교재연구회 / 자유아카데미 (2000)
분석화학 제8판 / 분석화학교재연구회 / 자유아카데미 (2004)
The Merck Index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1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