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foed, Seliwanoff, Phloroglucin 실험 결과 레포트 입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arfoed, Seliwanoff, Phloroglucin 실험 결과 레포트 입니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및 의문점

본문내용

색으로 바뀌었다. glucose는 ketone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데 색이 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렇다면 오래가열시 glucose에 케톤기가 생긴다는 말인가? 의문이 든다. 이번 실험에서 ketose 가 존재하게 되면 aldose보다 HCl 에 의하여 더 쉽게 탈수반응을 일으켜 furfural 유도체로 되기 때문에 이것이 resorcinol과 결합해서 색이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 실험 Phloroglucin test 는 pentose인 5탄당과 hexose인 6탄당의 당을 확인하기 위한 Aldopentose 에 대한 특이적인 정량법이다. 5탄당인 pentose는 적자색과 흑색의 침전이 생기고, 6탄당인 hexose는 황색을 갖는 암적색 이나 갈색을 띄게 된다. 하지만 가열을 계속하게 되면 상징액은 녹색을 띈다. 우리는 6탄당인 glucose 와 5탄당인 ribose, rhamnose 또 비당류인 citric acid를 가지고 실험을 하였다. 가열 결과 ribose와 rhamnose는 각각 짙은 녹색에서 흑색, 황색에서 옅은 갈색으로 변화하였다. 2당 모두 pentose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glucose는 황색을 띄는 갈색에서 짙은 갈색으로 변화하였다. 이유는 hexose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citric acid는 비당류이기 때문에 색의 변화는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결과는 만족스러웠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반응 색깔을 보고서 hexose인지 pentose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번 3가지 실험은 모두 변별력이 조금 떨어지는 실험이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