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및 관절 수술후 관리, 간호 및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추 및 관절 수술후 관리, 간호 및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척추 및 관절 수술의 관리 방법
1. Rotator cuff tear 회전근개 파열
2.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고관절 골절에 대한 개방성 정복과 내적고정술
3. Clavicle Fracture 쇄골골절
4. Total hip replacement 고관절 완전치환술
5. Total knee replacement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6. Patellar Fracture 슬개골 골절
7.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전십자인대 손상
8.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내측 십자인대 손상
9.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후십자인대 손상
10. Ankle Fracture 발목골절
11. 척추 수술요법


간호 및 교육
1. 척추 수술 후 간호
2. 척추수술 후 일상생활

본문내용

못할 경우에는 간헐적 도뇨를 시행하며 유 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온 경우에는 도뇨관을 통해 소변이 잘 배뇨되고 있는 지 확인하고 소변 양과 양상을 사정한다.
② 복부 불편감, 복부팽만 여부를 관찰하고 장음을 확인한다. 수술 후 배변을 돕기 위하여 변완하제를 경구로 투여하며 경우에 따라 좌약이나 관장을 시행할 수도 있다.
③ 식이 섭취를 장 기능에 따라 단계별로 조절하며 일반적으로 수술 당일은 금 식하여 수술 다음날부터 물 → 죽 → 밥 순으로 한 단계씩 늘려가며 섭취한 다. 경추부위 수술환자인 경우에는 gag and swallowing reflex를 먼저 사정 하여 흡인의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면 식이 섭취를 시작한다.
7) 활동관리
① 요추부위 수술환자의 활동
보조기를 착용한 후 걷기를 시작한다. 처음에는 화장실까지만 보행하고 점차 보행시간과 거리를 늘려가도록 하며 1회 보행시간은 20분 정도로 하며 무리 하지 않도록 한다.
·단순 요추추간판 탈출증, 제한적 후궁절제술(관절의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 를 받은 경우에는 허리를 고정하는 보조기를 착용하고 수술 수 1~2일에 침상에서 내려와 Walker를 이용하여 걷도록 한다.
·척추강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으로 광범위한 후궁절제술을 시행하고 내 고정술 및 인공디스크(cage)를 삽입한 수술(관절의 불안정성, 척추관절)을 받은 경우에는 허리를 고정하는 보조기를 착용하고 수술 후 2~3일에 침상 에서 내려와 Walker를 이용하여 걷도록 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다 르다.
② 경추부위 수술환자의 활동
Philladelphia brace를 착용하고 보행하며 수술방법에 따라 보행시기는 다르 다.
·경추간판절제술을 받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술 수 3~7일이 지나면 침상 에서 내려와서 걸을 수 있다.
·전방추체관 고정술이나 내고정술을 받은 경우에는 X-ray 소견에 따라 활동 범위를 결정하며 먼저 침상에서 앉는 것을 단계별로 앉는 각도를 15 ~ 90 까지 점차 증가시켜 연습한 후 보행을 시작한다.
③ 침상에서 일어나는 방법
보조기를 누운 자세에서 착용한 다음 일어나려고 하는 쪽을 향해 옆으로 눕 도록 한다. 일어나려고 하는 쪽 팔로 상체를 일으켜 세우면서 다리를 침대 난간 밑으로 떨어뜨린 다음 앉도록 한 후 앉은 자세에서 발을 땅에 대고 일 어서도록 한다. 경추부위 환자는 일으키는 자세를 취할 때 팔을 잡으면 수술 부위의 긴장을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팔을 잡지 않도록 한다.
2. 척추수술 후 일상생활
1)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근육의 무리한 사용이나 잘못된 사용 → 근육피로를 초래 → 근육경련 및 수축 → 혈액공급 감소(국소빈혈) → 통증 → 근육경련 증가 → 국소빈혈 상태 증가 → 통증 증가
2) 올바른 자세
수술 부위에 따라 정확한 자세(수술 후 간호 참조)를 취하도록 하며 침대는 단단한 매트리스를 사용한다. 엎드린 자세나 굴곡 상태인 자세를 피하고 보조 기를 착용하고 바른 자세로 활동한다.
3) 운동
근육강화 운동요법을 단계적으로 계속한다. 심호흡을 하고 관절근육운동, 복부근, 사두근, 다리근육 운동을 시행한다.
① 운동의 기본 원칙
·각 운동은 빠른 속도로 많이 하는 것이 중용한 것이 아니고 각각의 동작을 정확하게 천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는 각 동작을 5회 반복하고 익숙해지면 단계적으로 10회까지 늘린다.
·각각의 동작 사이에 충분히 쉰다.
·운동을 하루에 10분씩 2회 매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만 효과가 있다.
·자신에게 쉬운 운동부터 실시하며, 운동시 약간의 통증을 느끼는 정도로 하며 참기 어려운 정도는 해서는 안된다.
② 수술 후 2일부터 시행하는 운동(바로 누운 자세에서 시행)
·발목운동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발목을 올리고 내린 후 다음으로 발목을 안으로 돌려 올리고 밖으로 돌려 올린다.
발목을 안으로 돌린 다음 밖으로 돌린다.
발가락을 구부리고 편다.
·대퇴 사두근 수축운동
발목을 위로 올리고 무릎을 밑으로 눌러 힘을 준다. 무릎을 구부리지 않아야하며 슬개골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야 대퇴 사두근이 제대로 수축한다.
·하지 신전 거상 운동
무릎을 편 채로 다리를 들어올린다(30 이상)
한 쪽을 5~10회 끝내고 반대쪽을 하며 교대로 하지 않는다.
③ 수술 후 5일부터 시행하는 운동
·골반기울기 운동(운동요법 참조)
·쭈구리고 앉기(Flat footed squat)
의자 뒤를 손으로 잡고 선다. 등을 똑바로 하여 웅크려 앉았다가 다시 처음 자세로 일어서는 운동으로 이 때 발의 위치는 약 10cm 가량 벌리고 서며 발바닥은 땅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고 앉을 때에는 발뒤꿈치를 세워 엉덩이 부분에 닿게 한다.
④ 수술 후 1~2달 이후 시행하는 운동
·무릎을 가슴에 가져오기 운동
·한 다리 들기 운동
·코에 무릎 갖다 대기 운동
·상체 반 일으키기 운동
4) 목욕
실밥제거 3~5일 후 샤워가 가능하고 7~10일 후부터 통목욕이 가능하다. 물의 온도는 38~40 가 적당하고 처음에는 15분 이내로 하여 차츰 적응 상태에 따라 30분까지 연장할 수 있다. 대중 목욕탕은 한 달 후부터 가능하며 더운물 목욕을 자주 하는 것이 좋다.
5) 보조기
보조기의 착용은 1~3개월간 하도록 하며 특별한 경우 의사의 지시를 따르도록 한다.
6) 운전 및 직장생활
수술 후 1개월 후부터 심한 통증이나 힘이 약한 경우를 제외하고 운전이나 직장생활을 할 수 있으며 충분한 요양 기간은 2개월이다.
① 운전
·척추감압술을 받은 환자는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로 수술 후 1개월부터 자동변속 자동차 운전을 할 수 있고 수동변속 자동차는 2개월 후부터 운전할 수 있다.
·척추후방추체간 고정술을 받은 환자는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로 수술 후 2~3개월 부터 자동변속 자동차를, 4~5개월부터 수동변속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운전하는 시간은 처음에는 3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몸이 회복되는 정 도에 따라 운전 시간을 늘리도록 하며 1시간에서 2시간 운전 후에는 반드시 쉬도록 한다.
② 직장생활
수술 후 1개월 후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앉아서 하는 업무를 수행할 때는 1시간마다 5분에서 10분 정도 쉬는 것이 좋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2.0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